중국산 김치가 국제 표준됐다?…ISO 원문 살펴보니 [팩트체크]
입력
수정
중국이 중국산 김치를 국제 표준으로 등록했다고 주장하고 있는 것에 대해 한국 정부가 강력히 반박하고 나섰다. 중국이 등록한 것은 중국식 절임 채소인 '파오차이'의 국제 표준이며, 한국 김치는 이미 이에 앞서 국제표준으로 등록돼있다는 것이 요지다.
29일 농림축산식품부는 중국 언론이 제기한 '중국산 김치의 국제표준 등록'에 대해 "우리 김치와는 전혀 관련이 없다"는 내용을 보도설명자료를 배포했다. 앞서 지난 28일 중국의 환구시보가 중국 정부의 '중국시장감관보'의 보도를 인용해 '중국이 주도하는 김치산업 국제표준이 지난 24일 정식으로 탄생했다'고 보도한 것에 대해 강력 반발한 것이다.환구시보는 중국의 쓰촨(四川)성 메이산(眉山)시 시장감독관리국을 주도로 중국이 국제표준화기구(ISO)의 틀 속에서 김치산업의 6개 식품 표준을 제정했다고 보도했다. ISO는 각종 분야의 제품이나 서비스의 국제적 교류를 용이하게 하고 상호 협력을 증진하는 걸 목적으로 하는 기구다. 1946년 설립돼 현재 165개의 회원국이 있으며 중국은 ISO의 상임이사국이다. 한국은 2022년까지 비상임 이사국으로 활동하고 있다.환구시보는 이날 ‘중국 주도로 김치산업 국제표준 제정, 한국 언론 폭발: 김치 종주국 굴욕’이라는 제목으로 관련 내용을 보도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이 김치를 많이 수입하는 김치 적자국이며, 수입 김치의 99%가 중국산이라는 점도 강조했다.
이에 대해 농식품부는 "중국 쓰촨의 파오차이를 우리의 김치와 구분하지 않고 보도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농식품부는 "ISO 24220으로 제정되는 내용은 쓰촨의 염장 채소인 파오차이에 관한 사항"이라며 "해당 문서에도 식품규격이 김치(Kimchi)에 적용되지 않는다는 내용이 명시돼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한국의 김치는 2001년 국제연합(UN) 국제식량농업기구(FAO) 산하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에 국제 표준으로 등록된 상태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코덱스 등록 내용을 기반으로 중국의 절임채소 대장균군 기준 개정을 요구해 관철시킨 사례도 있다"고 설명했다. 중국이 이같은 사실을 알고 있음에도 한국을 자극하고 자국 우선주의를 강화하기 위해 무리한 보도를 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
29일 농림축산식품부는 중국 언론이 제기한 '중국산 김치의 국제표준 등록'에 대해 "우리 김치와는 전혀 관련이 없다"는 내용을 보도설명자료를 배포했다. 앞서 지난 28일 중국의 환구시보가 중국 정부의 '중국시장감관보'의 보도를 인용해 '중국이 주도하는 김치산업 국제표준이 지난 24일 정식으로 탄생했다'고 보도한 것에 대해 강력 반발한 것이다.환구시보는 중국의 쓰촨(四川)성 메이산(眉山)시 시장감독관리국을 주도로 중국이 국제표준화기구(ISO)의 틀 속에서 김치산업의 6개 식품 표준을 제정했다고 보도했다. ISO는 각종 분야의 제품이나 서비스의 국제적 교류를 용이하게 하고 상호 협력을 증진하는 걸 목적으로 하는 기구다. 1946년 설립돼 현재 165개의 회원국이 있으며 중국은 ISO의 상임이사국이다. 한국은 2022년까지 비상임 이사국으로 활동하고 있다.환구시보는 이날 ‘중국 주도로 김치산업 국제표준 제정, 한국 언론 폭발: 김치 종주국 굴욕’이라는 제목으로 관련 내용을 보도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이 김치를 많이 수입하는 김치 적자국이며, 수입 김치의 99%가 중국산이라는 점도 강조했다.
이에 대해 농식품부는 "중국 쓰촨의 파오차이를 우리의 김치와 구분하지 않고 보도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농식품부는 "ISO 24220으로 제정되는 내용은 쓰촨의 염장 채소인 파오차이에 관한 사항"이라며 "해당 문서에도 식품규격이 김치(Kimchi)에 적용되지 않는다는 내용이 명시돼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한국의 김치는 2001년 국제연합(UN) 국제식량농업기구(FAO) 산하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에 국제 표준으로 등록된 상태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코덱스 등록 내용을 기반으로 중국의 절임채소 대장균군 기준 개정을 요구해 관철시킨 사례도 있다"고 설명했다. 중국이 이같은 사실을 알고 있음에도 한국을 자극하고 자국 우선주의를 강화하기 위해 무리한 보도를 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