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쓰레기 독립 '잰걸음'…주민 설득이 관건
입력
수정
지면A28
쓰레기 발생지 처리원칙 따라
자체 매립지·소각장 건설 필요
후보지 주민들 '철회' 반발에
市, 주민협의체 구성 제안
2일 인천시에 따르면 시는 옹진군에 ‘인천에코랜드 주민협의체’ 구성을 공식 제안했다. 시·군과 주민 대표 등 총 15명이 모여 협의 창구로 활용해 주민의견 수용성을 높이겠다는 전략이다. 시는 이달 안에 주민협의체 출범을 추진하고 있다.에코랜드는 시의 자체 쓰레기 매립시설에 대한 명칭이다. 소각재와 불연성 폐기물만 지하 30~40m 깊이에 매립하기 때문에 기존 수도권 매립지와 다른 차원의 친환경 시설이라는 논리를 내세우고 있다.
시는 또 소각 가능한 폐기물 범위를 넓히기 위해 첨단 소각장 증설을 결정했다. 쓰레기양을 줄이기 위해 가정, 공공기관, 병원 등에서 사용하는 일회용품을 최대한 줄이기로 했다. 시청을 ‘일회용품 제로 공공청사’로 설정해 배달음식용 일회용품 반입을 중단시켰다. 일회용품 없는 장례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관내 주요 종합병원과 협약하기도 했다.
소각장이 추가 설치되는 지역 주민들의 의견수렴에도 나선다. 소각장 용량의 적절성을 유지하고, 가동일을 연 300일 이내로 정해 나머지 기간에는 시설의 안정성을 최우선으로 하는 유지보수에 나선다. 시 관계자는 “해당 기초단체 주민들의 의견을 종합해 다음달 수용성 여부에 대해 종합 검토에 들어가겠다”고 말했다.
소각장 설치와 관련된 남동, 연수, 미추홀구는 ‘자원순환 정책협의회’를 출범시키고 현안에 공동 대응하는 등 반발의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인천=강준완 기자 jeff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