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 '콘크리트 지지율 40%' 무너졌다
입력
수정
지면A6
정부 출범 이후 최저 37.4%
1주일 새 6.4%P나 떨어져
尹 찍어내기·부동산 실책 '역풍'
선거 앞둔 서울·부산서 약세 뚜렷
조국 사태 때보다 악화…靑 당황
與 지지율도 28.9% 역대 최저
국민의힘 31.2% 1위 올라서

대통령 지지율 취임 후 최저치

해당 조사는 TBS 의뢰로 11월 30일~12월 2일 3일간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50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신뢰수준 95%에 표본오차 ±2.5%포인트)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30%대 지지율을 받아든 청와대는 당황스러워하는 기색이 역력했다. 문 대통령의 직전 국정수행 긍정 평가 최저치는 지난해 10월이다.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사태가 한창이던 시기다. 당시 문 대통령의 국정수행 긍정 평가는 41.4%였다. 이후 남북관계 경색, 부동산 정책 실패 등에 비판 여론이 거셀 때도 대통령 지지율은 40%를 굳건히 지켰다. 전문가들은 이를 문 대통령에 대한 흔들리지 않는 ‘콘크리트 지지층’ 덕분이라고 분석했다.하지만 추·윤 갈등이 장기화하면서 진보 지지층 사이에서도 균열이 감지되고 있다. 이날 여론조사에서 정치 성향별로 보면 자신을 진보라고 답한 응답자의 지지율은 평균보다 높은 7.8%포인트 떨어졌다. 지난달 24일 추 장관이 윤 총장에 대해 직무 정지 조치를 취하고 그에 따른 검찰의 반발과 추 장관의 조치가 부당했다는 법무부 감찰위 결과, 법원의 윤 총장 직무정지 집행정지 가처분 신청 인용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내년 보궐선거가 치러지는 서울과 부산에서 지지율 하락폭은 평균보다 더 컸다. 서울과 부산의 지지율은 각각 36.5%, 31.0%에 그쳤다. 여권 관계자는 “리얼미터 조사는 모수가 적어 여론이 극단적으로 오가는 측면이 있다”면서도 “지지율이 하락 추세인 것은 명백하고 그에 대해 청와대와 여당 모두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고 말했다.
임대차 3법 통과 후 연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는 전셋값과 전세난도 지속적으로 지지율에 부정적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전세 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0.8% 상승했다. 2018년 12월 이후 최고치다. 이준한 인천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추·윤 갈등이 1년째 이어지고 있는 것에 대한 피로감, 대통령이 이를 해결하지 않는다는 실망감, 부동산 정책에 대한 불만, 임기 말로 접어들고 있다는 점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동반 급락한 여당 지지율
민주당 지지율도 역대 최저치를 기록하며 국민의힘에 1위를 내줬다. 여야 지지율이 역전된 것은 4개월 만이다. 민주당 지지율은 28.9%로 지난주보다 5.2%포인트 하락했다. 국민의힘 지지율은 같은 기간 3.3%포인트 오른 31.2%였다.민주당은 여당 지지 기반인 진보층에서 지지율이 빠지면서 타격을 입었다. 진보층의 민주당 지지율은 이 기간 9.9%포인트 급락한 47.3%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보면 내년 4월 보궐선거가 예정된 서울과 부산에서 여당의 약세가 두드러졌다. 서울과 부산의 민주당 지지율은 28.4%와 22.2%를 기록했다. 국민의힘은 서울(32.4%)과 부산 (38.5%)에서 민주당을 오차범위 밖에서 앞섰다.
강영연/조미현 기자 yy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