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이후 인플레 온다는건 기우…세계화와 기술혁신이 억제할 것"
입력
수정
글로벌 경제가 코로나19 여파에서 빠르게 벗어남에 따라 물가 상승에 대한 기대도 점차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기술 혁신과 생산·교역의 세계화 등을 감안하면 과거와 같은 인플레이션 국면에 접어들 가능성은 그리 높지 않다는 분석이 나왔다.
미국의 투자회사 오펜하이머는 최근 발표한 시장 전략 보고서에서 “현 상황은 당신의 아버지 세대가 경험했던 인플레이션 환경과 같지 않다”고 밝혔다.
현재 미국에서는 코로나19 백신 접종 개시와 경기 부양책에 대한 기대감 등으로 인플레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은행에 따르면 지난 4일 기준 연간 기대 인플레이션율은 1.89%를 기록해 2019년 3월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월스트리트의 일부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높은 인플레이션율이 코로나19 이후 경제 회복 과정에서 주식시장의 상승세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됐다. 이에 대해 오펜하이머의 존 스톨츠푸스 수석전략가(사진)는 “코로나19 이후 회복과정에서의 리플레이션(물가가 적정한 수준으로 상승하는 것)은 1970년대 후반부터 나타났던 우려스러운 수준의 인플레이션은 아닐 것”이라고 일축했다.
스톨츠푸스는 1970년대 후반 글로벌 경제에 몰아닥친 인플레이션은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대규모 감산에 따른 ‘오일 쇼크’가 촉발했다고 짚었다. 당시 유가가 급등하자 많은 기업들은 그만큼 더 높은 비용을 감당해야 했고, 이는 공산품 등 상품 가격 인상으로 이어졌다. 생활비 상승에 직면한 소비자들 역시 높은 수준의 임금 인상을 요구하면서 인플레가 이어지는 악순환이 되풀이됐다. 1970년대 후반 미국의 물가상승률은 연 14%에 달했고, 다른 국가들에선 그보다 훨씬 높았다.
결국 ‘인플레이션 파이터’로 유명한 폴 볼커 전 미국 중앙은행(Fed) 의장이 1981년 기준금리를 연 21%까지 높이는 통화정책을 실시하는 극약처방으로 인플레를 잡아냈다. 스톨츠푸스는 당시 미국 등 각국 중앙은행 통화정책의 역할을 인정하면서도 전 세계적으로 인플레가 억제된 데엔 보다 근본적 원인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통화정책 뿐 아니라 기술혁신과 세계화에 따른 무역경쟁이라는 장기적 추세가 인플레를 억제하는데 크게 기여했다”고 덧붙였다.
중국 경제의 부상이 대표적이다. 중국이 싼값에 대량의 제품을 생산하는 ‘세계의 공장’으로 자리매김한 결과 나머지 지역의 인건비와 생산비 인상 억제에 큰 영향을 줬다는 얘기다. 스톨츠푸스는 “기술과 세계화로 인한 경쟁 심화에는 ‘역(逆) 인플레이션 추세’가 내재돼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일부 상품 및 서비스에서 벌어진 인플레이션 현상은 코로나19에 따른 공급망 중단 등 요인이 잦아들면 곧 해결될 것이라는 게 스톨츠푸스의 판단이다. 그는 “현재 금리가 지난 11년간 최저수준으로 떨어진 건 격화된 경쟁과 글로벌화 된 노동력, 사무실의 알고리즘화, 공장의 로봇화, 산업자재 및 농산물 관련 기술의 발전이 영향을 미쳤다”면서 “코로나19 이후 경제 회복 과정이 이런 기술혁신과 세계화라는 궤도를 이탈하지 않는 이상 한 과거와 같은 인플레이션이 도래할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강조했다.
오형주 기자 ohj@hankyung.com
미국의 투자회사 오펜하이머는 최근 발표한 시장 전략 보고서에서 “현 상황은 당신의 아버지 세대가 경험했던 인플레이션 환경과 같지 않다”고 밝혔다.
현재 미국에서는 코로나19 백신 접종 개시와 경기 부양책에 대한 기대감 등으로 인플레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은행에 따르면 지난 4일 기준 연간 기대 인플레이션율은 1.89%를 기록해 2019년 3월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월스트리트의 일부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높은 인플레이션율이 코로나19 이후 경제 회복 과정에서 주식시장의 상승세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됐다. 이에 대해 오펜하이머의 존 스톨츠푸스 수석전략가(사진)는 “코로나19 이후 회복과정에서의 리플레이션(물가가 적정한 수준으로 상승하는 것)은 1970년대 후반부터 나타났던 우려스러운 수준의 인플레이션은 아닐 것”이라고 일축했다.
스톨츠푸스는 1970년대 후반 글로벌 경제에 몰아닥친 인플레이션은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대규모 감산에 따른 ‘오일 쇼크’가 촉발했다고 짚었다. 당시 유가가 급등하자 많은 기업들은 그만큼 더 높은 비용을 감당해야 했고, 이는 공산품 등 상품 가격 인상으로 이어졌다. 생활비 상승에 직면한 소비자들 역시 높은 수준의 임금 인상을 요구하면서 인플레가 이어지는 악순환이 되풀이됐다. 1970년대 후반 미국의 물가상승률은 연 14%에 달했고, 다른 국가들에선 그보다 훨씬 높았다.
결국 ‘인플레이션 파이터’로 유명한 폴 볼커 전 미국 중앙은행(Fed) 의장이 1981년 기준금리를 연 21%까지 높이는 통화정책을 실시하는 극약처방으로 인플레를 잡아냈다. 스톨츠푸스는 당시 미국 등 각국 중앙은행 통화정책의 역할을 인정하면서도 전 세계적으로 인플레가 억제된 데엔 보다 근본적 원인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통화정책 뿐 아니라 기술혁신과 세계화에 따른 무역경쟁이라는 장기적 추세가 인플레를 억제하는데 크게 기여했다”고 덧붙였다.
중국 경제의 부상이 대표적이다. 중국이 싼값에 대량의 제품을 생산하는 ‘세계의 공장’으로 자리매김한 결과 나머지 지역의 인건비와 생산비 인상 억제에 큰 영향을 줬다는 얘기다. 스톨츠푸스는 “기술과 세계화로 인한 경쟁 심화에는 ‘역(逆) 인플레이션 추세’가 내재돼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일부 상품 및 서비스에서 벌어진 인플레이션 현상은 코로나19에 따른 공급망 중단 등 요인이 잦아들면 곧 해결될 것이라는 게 스톨츠푸스의 판단이다. 그는 “현재 금리가 지난 11년간 최저수준으로 떨어진 건 격화된 경쟁과 글로벌화 된 노동력, 사무실의 알고리즘화, 공장의 로봇화, 산업자재 및 농산물 관련 기술의 발전이 영향을 미쳤다”면서 “코로나19 이후 경제 회복 과정이 이런 기술혁신과 세계화라는 궤도를 이탈하지 않는 이상 한 과거와 같은 인플레이션이 도래할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강조했다.
오형주 기자 oh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