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 못사고 아이 덜 낳았다"…집값 폭등에 괴로운 신혼부부들
입력
수정

10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9 신혼부부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초혼 신혼부부 수는 99만8000쌍인 것으로 집계됐다. 작년보다 5만4000쌍 줄어 처음으로 100만쌍 미만이 됐다. 통계청은 작년 11월1일을 기준으로 결혼한지 만 5년이 되지 않는 부부를 신혼부부로 분류하고 있다.신혼부부 수가 줄어든 것은 결혼을 선택하는 데 상당한 경제적 어려움이 수반되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특히 살 집을 구하기 어려운 점이 가장 큰 문제로 지적된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신혼부부의 주택 소유율은 42.9%로 2018년 43.8%에 비해 0.9%포인트 하락했다. 최근에 결혼한 부부일수록 이같은 경향이 극명하게 드러났다. 1년차 신혼부부 중 70.1%는 무주택자였다. 무주택 비율은 2018년 67.5%에서 2.6% 뛰었다. 2년차는 61.6%에서 62.7%로, 3년차는 55.6%에서 57.0%로 각각 뛰었다. 반면 이 정부 출범 전에 결혼한 5년차 부부는 무주택 비율이 46.8%에서 46.6%로 소폭 줄었다.
신혼부부가 소유한 주택 가액(2020년 1월 1일 공시가격 기준)을 보면 1억5000만원 초과 3억원 이하 구간의 비중이 36.7%로 가장 많았다. 3억원 초과는 23.5%로 1년 전보다 3.0%포인트 올랐다. 아파트에 거주하는 비중은 1년 전보다 2.2%포인트 오른 69.8%였다.
출산에도 주택 소유 여부가 영향을 끼친 것으로 조사됐다. 신혼부부의 평균 출생아 수는 2018년 0.74명에서 지난해 0.71명으로 줄었는데, 무주택자의 감소 폭은 -0.4명으로 유주택자의 -0.2명보다 컸다. 빚은 크게 늘고 있다. 초혼 신혼부부 중 금융권 대출 잔액이 있는 부부 비중은 85.8%(85만6972쌍)로 1년 전보다 0.7%포인트 상승했다. 대출이 있는 신혼부부의 대출금 잔액 중앙값은 1억1208만원으로 1년 사이 1208만원(12.1%) 늘었다. 주택 소유 부부가 1억4674만원으로, 무주택 부부(8790만원) 보다 약 1.7배 높았다. '영끌'로 집을 산 사람들이 많았다는 의미다.
문제는 이 통계에 올해 집값 폭등은 반영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올들어 전국 주택 가격과 전세가격이 대폭 오른 것을 고려하면 내년 신혼부부 통계는 더욱 악화됐을 것이란 전망이 제기된다.
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