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일산병원 등 공공병원서 병상 1천개 추가 확보 계획"(종합)
입력
수정
"수도권 생활치료센터 확충 중…현재 1천48명 추가 수용 가능"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급증에 대비해 수도권 공공병원 등을 중심으로 병상 1천여 개를 추가로 확보해 이르면 다음 주부터 가동할 방침이다. 무증상·경증 확진자가 머무르게 될 생활치료센터도 추가로 늘려 의료 대응 역량을 대폭 확대하겠다는 방침이지만, 지금의 유행 확산세를 고려하면 병상 문제가 쉽사리 해결되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가 크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방역총괄반장은 11일 브리핑에서 "환자 급증에 대비해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확충하는 전담병원 외에도 중수본 차원에서 전담병원을 확보해 즉시 운영 가능한 형태로 준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윤 반장은 "(어제) 해외유입을 포함해 총 689명의 신규 환자가 발생했다. 어제 520명이 (격리 해제돼) 퇴소했지만 169명의 추가 입원 (및) 입소가 필요하다"면서 의료역량 확보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최근 들어 신규 확진자가 매일 500∼600명로 발생하면서 치료 병상이 빠르게 소진되고 있다.
중환자 병상 문제는 더욱 심각하다. 중앙사고수습본부에 따르면 전날 기준으로 중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병상은 전국 583개 가운데 52개밖에 남지 않았다.
이미 90.3%(486개)의 병상이 꽉 차 있는 것이다.
확진자가 몰려있는 수도권의 경우 서울, 경기, 인천을 모두 합쳐도 8개뿐이다. 윤 반장은 "코로나19 전담 치료병상은 현재 210개까지 확충했으며 연말 기준으로는 총 331개까지 최대한 확보할 계획"이라며 "수도권의 중증환자 전담치료병상 역시 연말에 215개까지 확보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는 감염병 전담병원 추가 확보와 관련해 "우선 중앙부처에서 운영 중인 국립중앙의료원,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등을 포함한 수도권 공공병원 병상 약 1천여 개를 확보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정부는 현재 총 23곳에서 운영 중인 생활치료센터 역시 추가로 확충할 계획이다.
윤 반장은 "수도권의 경우, 오늘 서울시 자치구 생활치료센터 4곳과 경기도 1곳, 인천시 1곳 등 6곳을 추가로 개소해 약 1천48명 규모를 더 수용할 수 있다.
다음 주까지 계속 신속하게 늘려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는 "대규모 환자 발생 등 긴급상황에 대비해 중수본에서 지정·공동 운영하는 1천여 명 규모의 생활치료센터도 동시에 준비하고자 한다"며 "중수본 지정 전담병원 등 추가 확충은 금주 말까지 완료해서 다음 주부터 가동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인력 확충과 관련해서는 "의료진 추가 확보 부분은 관련 협의와 함께 계속 모집하고 있다"면서 "중환자 전담 간호사 역시 350여명 이상이 교육·훈련을 마무리하는 단계에 있어 (향후 치료에 있어) 차질 없도록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이 외에도 중환자 치료 병상을 확보하기 위해 전담병원을 지정하는 방안 등도 검토하고 있다.
중수본 관계자는 "의료계에서 특정 병원을 '거점형 중환자 전담병원'으로 지정하는 방안을 제안주신 바 있고, 병원 전체를 비우는 것, 아니면 1∼2개 병동을 비워 진행하는 방안 등을 (검토)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전담병원 지정은 오래 걸리지 않을 것"이라며 "경기도의 한 민간병원도 이야기하고 있고 중수본(복지부) 산하의 병원 일부 병동을 비워 진행하는 것도 계획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감염병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병상 부족을 우려하는 지적이 여러 차례 나왔지만, 대비가 미흡했다는 지적에 대해 정부는 "환자 급증에 대비해 의료역량 확보에도 총력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손영래 중수본 전략기획반장은 "지금 의료체계 부분에 있어서는 계속 (병상 등을) 확충해 나가면서 환자 대기가 최소 이틀 이상은 발생하지 않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앞선 1·2차 유행을 언급하며 "지난 8월(수도권 중심의 2차 대유행) 혹은 2∼3월(대구·경북 중심의 1차 대유행) 당시의 대응과는 달리 지자체 쪽에서 의료 동원 대응 체계가 잘 준비돼 이를 실행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그는 "중환자실은 고도로 훈련된 인력이 필요하기에 무한대로 확대할 수는 없는 한계를 갖는다"며 "이달 말까지 중환자실을 확충하겠지만 현재의 환자 증가 추세가 꺾이기 시작하는 부분이 동반돼야 중환자실 의료 여력도 충분히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방역총괄반장은 11일 브리핑에서 "환자 급증에 대비해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확충하는 전담병원 외에도 중수본 차원에서 전담병원을 확보해 즉시 운영 가능한 형태로 준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윤 반장은 "(어제) 해외유입을 포함해 총 689명의 신규 환자가 발생했다. 어제 520명이 (격리 해제돼) 퇴소했지만 169명의 추가 입원 (및) 입소가 필요하다"면서 의료역량 확보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최근 들어 신규 확진자가 매일 500∼600명로 발생하면서 치료 병상이 빠르게 소진되고 있다.
중환자 병상 문제는 더욱 심각하다. 중앙사고수습본부에 따르면 전날 기준으로 중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병상은 전국 583개 가운데 52개밖에 남지 않았다.
이미 90.3%(486개)의 병상이 꽉 차 있는 것이다.
확진자가 몰려있는 수도권의 경우 서울, 경기, 인천을 모두 합쳐도 8개뿐이다. 윤 반장은 "코로나19 전담 치료병상은 현재 210개까지 확충했으며 연말 기준으로는 총 331개까지 최대한 확보할 계획"이라며 "수도권의 중증환자 전담치료병상 역시 연말에 215개까지 확보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는 감염병 전담병원 추가 확보와 관련해 "우선 중앙부처에서 운영 중인 국립중앙의료원,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등을 포함한 수도권 공공병원 병상 약 1천여 개를 확보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정부는 현재 총 23곳에서 운영 중인 생활치료센터 역시 추가로 확충할 계획이다.
윤 반장은 "수도권의 경우, 오늘 서울시 자치구 생활치료센터 4곳과 경기도 1곳, 인천시 1곳 등 6곳을 추가로 개소해 약 1천48명 규모를 더 수용할 수 있다.
다음 주까지 계속 신속하게 늘려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는 "대규모 환자 발생 등 긴급상황에 대비해 중수본에서 지정·공동 운영하는 1천여 명 규모의 생활치료센터도 동시에 준비하고자 한다"며 "중수본 지정 전담병원 등 추가 확충은 금주 말까지 완료해서 다음 주부터 가동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인력 확충과 관련해서는 "의료진 추가 확보 부분은 관련 협의와 함께 계속 모집하고 있다"면서 "중환자 전담 간호사 역시 350여명 이상이 교육·훈련을 마무리하는 단계에 있어 (향후 치료에 있어) 차질 없도록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이 외에도 중환자 치료 병상을 확보하기 위해 전담병원을 지정하는 방안 등도 검토하고 있다.
중수본 관계자는 "의료계에서 특정 병원을 '거점형 중환자 전담병원'으로 지정하는 방안을 제안주신 바 있고, 병원 전체를 비우는 것, 아니면 1∼2개 병동을 비워 진행하는 방안 등을 (검토)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전담병원 지정은 오래 걸리지 않을 것"이라며 "경기도의 한 민간병원도 이야기하고 있고 중수본(복지부) 산하의 병원 일부 병동을 비워 진행하는 것도 계획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감염병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병상 부족을 우려하는 지적이 여러 차례 나왔지만, 대비가 미흡했다는 지적에 대해 정부는 "환자 급증에 대비해 의료역량 확보에도 총력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손영래 중수본 전략기획반장은 "지금 의료체계 부분에 있어서는 계속 (병상 등을) 확충해 나가면서 환자 대기가 최소 이틀 이상은 발생하지 않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앞선 1·2차 유행을 언급하며 "지난 8월(수도권 중심의 2차 대유행) 혹은 2∼3월(대구·경북 중심의 1차 대유행) 당시의 대응과는 달리 지자체 쪽에서 의료 동원 대응 체계가 잘 준비돼 이를 실행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그는 "중환자실은 고도로 훈련된 인력이 필요하기에 무한대로 확대할 수는 없는 한계를 갖는다"며 "이달 말까지 중환자실을 확충하겠지만 현재의 환자 증가 추세가 꺾이기 시작하는 부분이 동반돼야 중환자실 의료 여력도 충분히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