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토지임대부 분양주택 장점살리고 단점보완한 '기본주택분양형' 공급 추진
입력
수정
17일 손임성(왼쪽) 경기도 도시정책관은 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현행 토지임대부 분양주택의 장점은 살리고 단점을 보완한 '기본주택 분양형' 공급 계획을 발표했다. 경기도 제공
경기도가 기존 토지임대부 분양주택의 장점은 살리고, 단점을 보완해 저렴한 가격으로 주택을 소유할 수 있는 ‘기본주택 분양형(공공환매 토지임대부)’을 추진하기로 하고 법적 근거 마련을 위해 정부와 국회에 특별법 제정을 건의하기로 했다. 이는 지난 7월 기본주택 장기임대형에 이은 도의 두 번째 무주택자를 위한 주거대책이다.
손임성 도 도시정책관은 17일 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 같은 내용의 기본주택 분양형 정책제안과 함께 제도개선 계획을 발표했다.
손 도 도시정책관은 “최근 계속되는 주택가격의 폭등으로, 무주택자 서민의 소득수준으로는 주택을 쉽게 구매하기 어려운 현실이 됐다”며 “보편적 주거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무주택자들이 평생을 안정적으로 거주할 수 있는 다양한 주택유형이 제시돼야 한다”고 도입 배경을 설명했다.도가 발표한 기본주택 분양형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 경기주택도시공사(GH) 등 공공이 토지를 소유하고 주택만 분양하는 기존 토지임대부 분양주택의 장점은 살리면서 문제점을 보완한 새로운 유형이다.
2011년 서울 서초와 2012년 서울강남에 각각 358가구, 402가구가 공급했던 현행 토지임대부 분양주택과 같이 기본주택 분양형을 무주택자에 저렴한 가격에 분양해, 매달 적정한 토지임대료를 내면 평생 거주가 가능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반면 토지임대부 분양주택은 전매제한 기간 5년이 지나면 개인 간 매매가 가능해 당초 저렴한 가격의 주택을 무주택자에게 제공한다는 정책취지가 훼손되고 있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들 주택의 경우 최근 분양가 대비 6배가 넘는 호가를 기록하고 있어 분양을 받은 사람의 경우 수억원의 시세 차익을 얻는 등 투기 수단이 되고 있다.도는 기본주택 분양형의 경우 저렴한 가격에 무주택자에 제공하는 장점은 살리고, 전매제한 기간이 지나면 개인 간 거래하는 단점을 보완해 당초 주택을 공급했던 공공기관에만 환매할 수 있도록 보완했다. 이는 무주택자에 저렴하게 제공하는 정책취지를 되살리기 위한 것이다. 도는 전매제한(의무거주)기간은 10년 이내로 정할 계획이다.
도는 또 전매제한 기간 후 주택을 분양했던 공공기관에 환매할 때의 가격은 분양가격에 물가상승률 등을 감안한 조정액을 더한 금액으로 정해 투기수요를 차단할 계획이다.
예를 들어 싱가포르와 같이 시세차익의 최대 25%까지 인정하는 등의 방안이 있을 수 있지만 도는 앞으로 국회토론회, 전문가 간담회, 정부와의 협의 등을 통해 구체적 환매가격을 산정할 예정이다.분양가도 건설원가에 최소 수수료만 더해 공급하고, 토지임대료는 토지매입비(조성원가) 또는 감정평가액에 지가상승분을 반영해 책정할 방침이다. 전매제한(의무거주)기간은 10년 이내로 정할 계획이다.
가령 조성원가가 평당 2000만원인 토지에 1000가구(용적률 200%)를 조성할 경우 도가 시뮬레이션을 통해 예상한 추정 가격은 전용면적 74㎡(30평)의 분양가는 2억5700만원, 월 토지임대료는 60만2000원 정도다.
손 도시정책관은 “낮은 분양가에 저렴한 임대료로 주택을 소유할 수 있고, 일부 시세차익도 기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를 필요로 하는 무주택자도 있다고 본다”면서 “다만, 기본주택 분양형이 또다른 특혜가 되지 않게 하기 위해 공공이 영구적 환매, 토지임대기간 및 거주의무기간 확대, 자산가치 상승이익 환원시스템 마련, 공공의 토지소유권 보존장치 도입 등 제도개선을 통해 보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도가 정부와 국회에 건의할 ‘기본주택 분양형’ 특별법 제정 내용에는 ▲주택은 공공이 영구적 환매 ▲토지임대기간 50년, 거주의무기간 10년으로 확대 ▲자산가치 상승이익 사회환원 ▲주변 주택가격을 고려한 재공급 가격 설정 ▲적정한 토지임대료 조정 기준 등이 포함됐다.
또 ▲토지매입 및 건설비 지원을 위해 주택도시기금 등 공공지원 근거 마련 등 분양형 기본주택에 필요한 ‘주택법’, ‘공공주택특별법’, ‘지방공기업법’ 등의 관련 법령과 지침 개정도 정부에 건의할 계획이다.
한편 도는 내년 초 국회토론회와 컨퍼런스 개최를 통해 관련 제도 개선의 필요성을 공론화해 우선 특별법 제정을 추진할 방침이다. 수원=윤상연 기자 syyoon1111@hankyung.com
경기도가 기존 토지임대부 분양주택의 장점은 살리고, 단점을 보완해 저렴한 가격으로 주택을 소유할 수 있는 ‘기본주택 분양형(공공환매 토지임대부)’을 추진하기로 하고 법적 근거 마련을 위해 정부와 국회에 특별법 제정을 건의하기로 했다. 이는 지난 7월 기본주택 장기임대형에 이은 도의 두 번째 무주택자를 위한 주거대책이다.
손임성 도 도시정책관은 17일 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 같은 내용의 기본주택 분양형 정책제안과 함께 제도개선 계획을 발표했다.
손 도 도시정책관은 “최근 계속되는 주택가격의 폭등으로, 무주택자 서민의 소득수준으로는 주택을 쉽게 구매하기 어려운 현실이 됐다”며 “보편적 주거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무주택자들이 평생을 안정적으로 거주할 수 있는 다양한 주택유형이 제시돼야 한다”고 도입 배경을 설명했다.도가 발표한 기본주택 분양형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 경기주택도시공사(GH) 등 공공이 토지를 소유하고 주택만 분양하는 기존 토지임대부 분양주택의 장점은 살리면서 문제점을 보완한 새로운 유형이다.
2011년 서울 서초와 2012년 서울강남에 각각 358가구, 402가구가 공급했던 현행 토지임대부 분양주택과 같이 기본주택 분양형을 무주택자에 저렴한 가격에 분양해, 매달 적정한 토지임대료를 내면 평생 거주가 가능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반면 토지임대부 분양주택은 전매제한 기간 5년이 지나면 개인 간 매매가 가능해 당초 저렴한 가격의 주택을 무주택자에게 제공한다는 정책취지가 훼손되고 있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들 주택의 경우 최근 분양가 대비 6배가 넘는 호가를 기록하고 있어 분양을 받은 사람의 경우 수억원의 시세 차익을 얻는 등 투기 수단이 되고 있다.도는 기본주택 분양형의 경우 저렴한 가격에 무주택자에 제공하는 장점은 살리고, 전매제한 기간이 지나면 개인 간 거래하는 단점을 보완해 당초 주택을 공급했던 공공기관에만 환매할 수 있도록 보완했다. 이는 무주택자에 저렴하게 제공하는 정책취지를 되살리기 위한 것이다. 도는 전매제한(의무거주)기간은 10년 이내로 정할 계획이다.
도는 또 전매제한 기간 후 주택을 분양했던 공공기관에 환매할 때의 가격은 분양가격에 물가상승률 등을 감안한 조정액을 더한 금액으로 정해 투기수요를 차단할 계획이다.
예를 들어 싱가포르와 같이 시세차익의 최대 25%까지 인정하는 등의 방안이 있을 수 있지만 도는 앞으로 국회토론회, 전문가 간담회, 정부와의 협의 등을 통해 구체적 환매가격을 산정할 예정이다.분양가도 건설원가에 최소 수수료만 더해 공급하고, 토지임대료는 토지매입비(조성원가) 또는 감정평가액에 지가상승분을 반영해 책정할 방침이다. 전매제한(의무거주)기간은 10년 이내로 정할 계획이다.
가령 조성원가가 평당 2000만원인 토지에 1000가구(용적률 200%)를 조성할 경우 도가 시뮬레이션을 통해 예상한 추정 가격은 전용면적 74㎡(30평)의 분양가는 2억5700만원, 월 토지임대료는 60만2000원 정도다.
손 도시정책관은 “낮은 분양가에 저렴한 임대료로 주택을 소유할 수 있고, 일부 시세차익도 기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를 필요로 하는 무주택자도 있다고 본다”면서 “다만, 기본주택 분양형이 또다른 특혜가 되지 않게 하기 위해 공공이 영구적 환매, 토지임대기간 및 거주의무기간 확대, 자산가치 상승이익 환원시스템 마련, 공공의 토지소유권 보존장치 도입 등 제도개선을 통해 보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도가 정부와 국회에 건의할 ‘기본주택 분양형’ 특별법 제정 내용에는 ▲주택은 공공이 영구적 환매 ▲토지임대기간 50년, 거주의무기간 10년으로 확대 ▲자산가치 상승이익 사회환원 ▲주변 주택가격을 고려한 재공급 가격 설정 ▲적정한 토지임대료 조정 기준 등이 포함됐다.
또 ▲토지매입 및 건설비 지원을 위해 주택도시기금 등 공공지원 근거 마련 등 분양형 기본주택에 필요한 ‘주택법’, ‘공공주택특별법’, ‘지방공기업법’ 등의 관련 법령과 지침 개정도 정부에 건의할 계획이다.
한편 도는 내년 초 국회토론회와 컨퍼런스 개최를 통해 관련 제도 개선의 필요성을 공론화해 우선 특별법 제정을 추진할 방침이다. 수원=윤상연 기자 syyoon111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