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00만원 골프회원권 샀는데…올 예약 세 번뿐
입력
수정
지면A35
'부킹대란'에 회원권 민원 속출“회원권 하나로 수도권 골프장 30여 개를 정회원 요금으로 자유롭게 쓸 수 있다고 광고했지만, 올해 예약된 건 세 번뿐이었습니다.”
올 민원 969건…작년보다 22%↑
주중 무기명회원권도 예약 불통
대중제골프장 선불카드 불만도
금액 다 못썼는데도 사용 제한
중소기업 사장 A씨는 올해 멤버십 골프회원권을 산 뒤 속앓이를 했다. 5000만원 수준의 입회비만 내면 제휴 골프장에서 정회원 대우를 받을 수 있다는 업체의 말을 믿은 것이 화근이었다. 그는 “회원권만 믿고 있다가 거래처와의 골프 약속이 틀어지는 등 피해가 여간 큰 것이 아니다”며 “환불 기간이 지나 입회금을 돌려줄 수 없다니 답답할 따름”이라고 하소연했다.
회원권 민원 22% 증가
![Getty Images Bank](https://img.hankyung.com/photo/202012/AA.24775639.1.jpg)
20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올 들어 지난달까지 골프회원권 관련 소비자 민원 건수는 969건을 기록했다. 지난해 전체 민원 건수(789건)를 22%나 넘어선 수치다. 경기 용인에 있는 회원제 골프장의 주중 무기명 회원권을 보유한 B씨는 “골프장 측이 매달 한 번 전화로 예약받는데, 예약이 시작되자마자 통화 자체가 안 된다”며 “20분쯤 지나 겨우 예약팀과 연결이 닿아도 팀이 꽉 차서 예약이 안 된다는 말만 늘어놓는다”고 말했다. 이어 “비싼 그린피를 내는 비회원을 받으려고 골프장이 회원을 홀대하는 꼼수를 부리고 있다”고 말했다.대중제 골프장들이 발행한 선불카드에 대한 불만도 이어졌다. 선납한 금액을 다 쓰지 못했는데도 기간 만료를 이유로 카드 사용을 막는 것은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다. 중견기업 재무부장 C씨는 “골프장 측이 부킹 대란을 핑계로 예약을 안 해줘서 돈을 다 못 쓴 것”이라며 “코로나19라는 특수상황을 고려해 기간 연장 등을 해줘야 하는 것 아니냐”고 되물었다.
11개 골프장 편법 운영 적발
김순신 기자 soonsin2@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