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 보 개방으로 수질 개선…남조류 먹이 '총인'은 오히려 증가

보 개방 후 BOD·COD 개선…총인 농도는 4대강 사업으로 개선
충남도 금강 수질 모니터링 용역 보고회
4대강 사업으로 금강에 설치된 다목적 보를 개방한 이후 수질·퇴적물 오염도가 개선되고 모래톱이 확장되면서 자연성이 회복된 것으로 나타났다. 충남도는 21일 '금강 수 환경 모니터링 2단계 5차년도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열고 결과를 공개했다.

도는 세종시와 함께 2011년부터 금강 4대강 사업 전 구간에 걸쳐 환경 모니터링을 해왔다.

2011년 준공한 공주보와 세종보는 2017년 6월과 같은 해 11월 각각 수문 개방을 시작해 현재까지 3년째 완전 개방을 유지하고 있다. 백제보 수문은 탄력적으로 개방하는 방식으로 운영 중이다.

모니터링 결과 금강 수질은 4대강 사업 이후 환경 기초시설과 고도처리시설 등을 집중적으로 설치해 수질이 개선되는 듯 보였지만, 보 운영 기간 수질이 다시 악화했다.

하지만 수문을 개방한 이후부터는 다시 수질이 점차 개선됐다고 도는 밝혔다. 금강 공주보 상류(곰나루) 지점은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BOD)이 4대강 사업 전 평균 2.9㎎/L에서 보가 설치된 이후 3.3㎎/L로 높아졌다가 수문을 연 뒤에는 다시 2.9㎎/L로 농도가 낮아졌다.
화학적산소요구량(COD)도 4대강 사업 전 6.1㎎/L에서 사업 후 7.9㎎/L로 악화한 뒤, 보 수문 개방 이후 6.7㎎/L로 개선됐다.

여름철 녹조 발생을 가늠하는 클로로필-에이(녹조) 농도는 사업 전 33.0㎎/L, 사업 후 48.2㎎/L, 보 수문 개방 후 33.6㎎/L를 기록했다. 하지만 녹조를 일으키는 남조류의 먹이로 알려진 총인 농도는 0.189㎎/L에서 4대강 사업 이후 0.091㎎/L로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총인은 물속에 포함된 인화합물의 총 농도다.

수문 개방 이후에는 농도가 0.093㎎/L로 오히려 약간 증가했다.

충남도는 보 개방에 따른 유속 증가로 강바닥 퇴적물이 수중에 떠다니고 본류 담수량 감소 등으로 지류 하천 오염도가 높아진 영향으로 분석했다.

세종보와 백제보 수질 역시 공주보와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보 수문 개방으로 모래톱과 자갈밭, 하중도, 습지 등 다양한 수변공간이 회복됐고, 이곳에 멸종위기종이나 천연기념물 등 다양한 생물이 찾아왔다.
공주·세종보 모래톱과 하중도 등지에서는 멸종위기 야생 생물 2급인 흰목물떼새와 1급인 수달, 천연기념물 원앙, 국제멸종위기종인 큰주홍부전나비 등이 확인됐다.

금강 본류 유수성 어종을 대표하는 피라미와 돌마자는 보가 설치된 뒤 개체 수가 감소하다 수문을 전면 개방한 2018년부터 개체 수가 급증했다.

금강 3개 보 주변 지하수위 국가 측정망이 금강 본류와 많이 떨어져 있어 이번 조사에서는 보 수문 개방에 따른 지하수 영향을 파악하지 못했다.

하지만 금강 주변에 측정망을 직접 설치한 환경부 4대강 조사에선 세종보와 공주보는 전반적으로 보 개방에 따른 지하수위 영향이 적었으나, 백제보는 비닐하우스 수막 재배 지역(자왕펄)에서 지하수위 감소 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김찬배 도 기후환경국장은 "금강 환경 모니터링을 통해 최적의 관리 방안을 찾고, 미래 발전을 위한 정책을 개발하겠다"고 말했다. 충남도는 내년부터 2025년까지 3단계 금강 환경 모니터링 사업을 금강하굿둑까지 확대해 추진할 계획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