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도 눈치 보는 與…단일화 불 지핀 野

서울·부산시장 보궐선거 D-100

민주당 유력 후보들 장고
당은 검찰개혁 등에 화력 집중
이낙연 대표 리더십 시험대 될 듯

국민의힘은 여기저기서 출사표
안철수와 단일화 기싸움도
내년 ‘4·7 서울·부산시장 보궐선거’가 28일을 기점으로 꼭 100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초반 선거 준비 분위기에서 여야 간 온도차가 확연하게 나타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의 간판 후보들은 예비후보 등록을 미룬 채 ‘눈치 보기’ 작전에 들어간 반면 국민의힘 등 야권에서는 후보 등록이 잇따르며 벌써부터 ‘후보 단일화’ 논의까지 거론되고 있다.

‘썰렁한’ 민주당 VS ‘북적대는’ 국민의힘

민주당 핵심 관계자는 27일 “내년 보궐선거는 차기 대선으로 가는 징검다리로서의 상징성이 커 당의 총력을 기울여야 하지만, 최근 여러 이슈 때문에 우선순위가 밀리고 있다”고 전했다.이번 보궐선거는 차기 정권의 향방을 미리 가늠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어느 때보다 정치적 파급력이 클 것이란 관측이 제기된다. 여당 내에선 이번 선거를 통해 부동산 정책 실패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 등으로 떨어진 정권 지지율을 만회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지만, 정작 당내 분위기는 가라앉아 있다는 평가다. 현재 민주당에서 서울시장 보궐선거 출마를 공식화한 후보는 우상호 의원이 유일하다. 유력 후보로 거론되는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과 추미애 법무부 장관, 박주민 민주당 의원 등은 모두 장고에 들어갔다.

부산시장 보궐선거 분위기도 비슷하다. 지난 24일 기준 선거관리위원회에 총 10명의 예비후보가 등록했지만, 민주당 후보는 전무(全無)하다. 김영춘 국회 사무총장은 후보 출마 조건으로 내년 2월 내 가덕도 신공항 건설 관련 특별법의 통과를 내걸었다. 사실상 추대를 노리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다. 이 외에 변성완 부산시장 권한대행, 최지은 민주당 국제대변인 등의 출마가 거론되지만 아직 불투명하다.

국민의힘 등 야권은 후보들의 출마가 줄을 잇고 있다. 박춘희 전 송파구청장이 서울시장 보궐선거 출마 스타트를 끊었고, 이혜훈 전 의원, 김선동 전 사무총장, 조은희 서초구청장, 이종구 전 의원도 잇따라 출사표를 던졌다. 최근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도 차기 대선 출마의 꿈을 접고 서울시장 출마를 선언하며 야권 서울시장 구도는 더욱 복잡해졌다. 차기 대권후보로 꼽히는 오세훈 전 서울시장, 유승민 전 의원 등이 등판할 가능성도 예상된다.부산시장 보궐선거 역시 박민식, 이진복, 유재중 등 전 국민의힘 의원들이 예비후보 등록 첫날인 이달 8일 후보자 등록을 마치고 선거전에 뛰어들었다. 박형준, 이언주 전 의원도 최근 출마를 공식화하면서 본격적인 경쟁에 들어갔다. 정규재 개혁자유연합 창당 준비위원장도 지난 17일 출마 선언을 했다.

이낙연 ‘역할론’ 대두

민주당에서는 선거 흥행과 승리를 위한 이낙연 민주당 대표의 역할론이 대두되고 있다. 최근 윤석열 검찰총장의 거취 문제나 중대재해기업처벌법 등을 두고 당내 분열이 일어난 것을 서둘러 봉합하고, 당 전체를 선거 국면으로 몰아가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 대표의 ‘리더십’이 본격적인 심판대에 올랐다는 분석도 나온다.

하지만 당 일각에서는 이 대표가 당의 중심을 잡기보다 친문(친문재인) 세력에 기대어 당내 분열을 증폭시키고 있는 게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된다. 이 대표가 25일 윤 총장의 직무복귀 판결이 나온 뒤 즉각적으로 윤 총장에게 공직자로서 책임을 묻고, 검찰개혁을 강화하겠다고 밝힌 것은 갈등을 해소하기보다 친문 지지자를 부추기는 메시지였다는 평가가 우세하다. 중대재해기업처벌법을 미래 입법 과제에 포함시켜 무리하게 입법을 밀어붙이는 것에 대해서도 당의 부담을 가중하는 행위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높다.야권에서는 재보궐 선거 분위기가 서서히 달아오르면서 벌써부터 후보 단일화 이슈가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안 대표가 가장 적극적으로 야권 후보 단일화를 주장하고 있다. 24일에는 국민의힘 입당 가능성도 열어뒀다면서 선택지를 넓혔다. 장제원 국민의힘 의원 등은 안 대표의 후보 단일화 제안을 환영한다는 뜻을 밝혔지만, 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과 주호영 국민의힘 원내대표 등 지도부는 언급을 피하고 있어 후보 단일화 경선 룰 등을 두고 ‘기싸움’에 들어간 게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이동훈 기자 leed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