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리딩방 이어 '가짜 HTS'까지 등장
입력
수정
지면A24
금융투자사 위장 불법업체 성행
카톡 등 단체대화방 만들어 모집
사설 HTS 통해 '가상거래' 속여
수익 요구땐 연락 끊고 '먹튀'
금감원, 올해 광고 1105건 적발

금융감독원은 이런 무인가·위장 금융투자업체가 성행하고 있다며 소비자경보 ‘주의’ 단계를 발령한다고 28일 발표했다. 금감원에 접수된 불법 금융투자업 관련 신고는 작년 139건에서 올해 495건으로 급증했다.올해 주식투자 열풍을 타고 활개를 치고 있는 ‘주식 리딩방’이 대표적이다. 리딩방 운영자들은 유튜브와 카카오톡 등을 통해 “곧 상승할 가능성이 있는 ‘대박 종목’을 단체대화방에서 알려준다”고 광고한다.

금감원 관계자는 “무인가 업자들은 주로 SNS나 문자 등으로 안내하는 것이 특징”이라며 “제도권 금융회사는 메신저 등을 통해 HTS를 배포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금감원이 이런 무인가 금융투자업자의 홈페이지와 광고글 등을 적발한 건수는 올해 1105건에 달한다. 투자 권유를 받은 경우에는 제도권 금융회사인지 여부를 ‘금융소비자 정보포털 파인’에서 먼저 확인해보는 것이 좋다. 제도권 금융회사로 조회된 경우엔 대표번호로 투자 권유 사실 여부를 다시 확인해봐야 한다.금감원은 “‘소액 증거금만으로 해외선물 거래’ ‘수수료 면제’ ‘매입대금 10배까지 대출’ 등 광고에 현혹되지 않도록 주의해달라”고 당부했다.
오형주 기자 oh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