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떠돌던 윤석열, 정권에 찍혀서 좌천됐을 때 목격담 보니…
입력
수정
익명 게시판에 올라온 윤석열 검찰총장의 실체
"역대급 리더인데 정치할지는 잘 모르겠다"

직장별로 가입이 가능한 이 게시판은 검찰청 소속 직원임을 인증한 이들만 글쓰기와 보기가 가능하다.대검찰청에 재직 중인것으로 추정되는 A 씨는 윤 총장에 대해 본인이 지켜본 보습과 주위에서 들은 말 등을 섞어 평소 일반인들이 알 수 없는 그의 일상을 전했다.
A 씨는 "윤석열 총장은 같이 근무한 8급 수사관, 청소하시는 같은 층 여사님을 진심으로 다 챙긴다"면서 "야구선수 박찬호 같이 말하는 거 좋아하고 정이 많은 스타일"이라고 말했다.
이어 "장관급 공직자인데 메신저로 쪽지를 보내면 읽자마자 답장을 해준다"면서 "그날 (추미애 법무부 장관에 의해) 징계 당하고 퇴근하는 날도 한 막내 수사관이 미친 척하고 메세지를 보냈다가 답장이 왔다더라"라고 했다.그러면서 "좌천됐을 때 대구랑 대전에서 저녁에 구내식당에서 혼자 밥 먹고 야근하던 모습에 직원들이 반했다"면서 "정권에 찍혀서 좌천됐을때 일반 형사사건 붙들고 혼자 밤새가면서 일하던 모습을 봤다는 증언이 계속 나왔다"고 공개했다.
A 씨는 "이 당시에 대구고검에서 행사 사진 올린 거 보면 윤 총장 진짜 불쌍하다"면서 "그러면서 행사는 또 다 참석해서 지역 탐방 이런 사진을 봐도 다 저 뒤 멀리 간부들과 떨어져 혼자 서 있었다"고 했다.
이어 "이 당시는 윤 총장이 정권에 찍힌 사람이라 가까이 하기 힘들었다. 나 같았으면 행사에 안나갔을 것이다"라는 말을 덧붙이기도 했다.A 씨는 친 정권 검찰개혁 검사들의 평판에 대해서도 폭로했다.
그는 "착하고 인성 바르고 하위직한테 잘할 것 같죠? (검사들이) 안 따르는 이유가 다 있다"고 저격하며 "언론에서 띄워주는 여검사 방에 여직원이 일년새 다섯번이나 바뀌고 나중에 다 안가려고 해서 제비뽑기를 하는 일도 있었다"고 말했다.
A 씨는 윤 총장이 평소 "여러분의 정의로운 마음 지켜주겠다"는 말을 자주 한다고도 전했다.
언론에서 주목하는 한 여검사에 대해서는 "휴직을 자주해서 지금도 휴직 중인데 페이스북을 자주 한다"면서 "이명박 정권 때 국비유학 받아서 뉴욕대 가서 뉴욕주 변호사 자격증 땄다. 전 정권 욕하면서 빼먹을 건 다 빼먹는다"고 비판했다.
해당 여검사가 천안에 발령 났을 당시의 일화도 전했다.
"관사 도배 맘에 안든다고 총무과에 도배해달라 했는데, 한 지 일년 됐다고 못해준다고 하니 자기 돈으로 도배 직접했다. 생각해봐 2년마다 전국 돌아다니는데 그 관사를 내집도 아닌데 도배를 왜 하니. 문제는 2년 뒤에 나올 때 그 도배 자기 돈으로 한 거라고 다 뜯어 버렸대. 레전드 썰이지. 뉴욕주 변호사라는 거에 딱 답 나오지 않냐. 국민세금으로 가서. 밑에 직원들 하대하고 피의자한테 친절편지 모으기로 소문 났어."
서울대 게시판 스누라이프에도 공유된 이 글에는 "박범계 이용구는 자기들 유리할 때는 형형 거리더니 자기랑 다른 길 간다고 생각하니까 '자세 똑바로 앉으라'고 망신 주지를 않나, 징계위서 말도 안되는 사유로 처벌하려고 하지를 않나", "휴직했다는 거 보니 저격당한 여검사는 진모 검사 아닌가. 진 검사 연말에 휴직하는 걸로 유명하다"는 추측성 댓글이 달렸다.
아울러 "생각해보면 웃긴 게 '다스의 실소유주는 이명박이다'라고 발표한 게 한동훈이다. 그때는 정의로운 검사고 이젠 적폐인가", "이 모든 문제는 문재인 대통령이 기수 다 파괴해 가면서 윤석열을 임명한데서 비롯됐다" 등의 반응이 이어졌다.
윤 총장은 앞서 2013년 10월 국가정보원 정치·대선개입 수사팀장 시절 정직 1개월을 받았으며2014년부터 3년 가까이 지방을 떠돌다 박영수 특별검사팀의 수사팀장으로 발탁돼 수사 일선에 복귀했다.
“저는 사람에게 충성하지 않는다”는 윤 총장의 발언도 두고두고 회자됐다.그로부터 7년 뒤 추미애 법무부 장관은 윤 총장에게 정직 2개월 징계를 내리려 했으나 행정법원이 이에 대한 윤 총장 측의 정지 요청을 인용하며 무산됐다.
이미나 한경닷컴 기자 help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