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초미세먼지 농도 관측 이래 최저…전년대비 17% 감소
입력
수정
국내 정책효과·중국 미세먼지 개선·코로나19·기상 조건 등 복합 작용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은 전국 472개 국가대기오염측정망의 관측값을 분석한 결과 2020년 전국의 초미세먼지(PM2.5) 연평균 농도가 19㎍/㎥로, 관측 이래 최저였다고 4일 밝혔다. 2020년 당초 목표는 20㎍/㎥였다.
2020년 농도는 2019년(23㎍/㎥)과 비교해 17.4%(4㎍/㎥) 감소한 것으로, 초미세먼지 관측을 시작한 2015년(26㎍/㎥) 이래 가장 낮았다.
연간 감소 폭도 2015년 이후 가장 컸다. 연평균 초미세먼지 농도는 2015·2016년 26㎍/㎥에서 2017년 25㎍/㎥, 2018·2019년 23㎍/㎥로 감소 추이를 보였다.
2020년 초미세먼지가 '나쁨'(36㎍/㎥ 이상)보다 안 좋았던 일수는 총 27일로, 2019년 대비 20일 감소해 관측 이래 최소였다.
'좋음'(15㎍/㎥ 이하) 일수는 154일로, 2019년 대비 39일 증가했다. 특히 2019년에는 '매우 나쁨'(76㎍/㎥ 이상) 일수가 6일 발생했으나, 2020년에는 발생하지 않았다.
[표] 전국 초미세먼지 등급별 발생일수(단위: 일수)
┌───┬───────┬────────┬───────┬────────┐
│구분 │좋음(0∼15㎍/ │보통(16∼35㎍/㎥│나쁨(36∼75㎍/│매우나쁨(76㎍/㎥│
│ │㎥) │) │㎥) │) │
├───┼───────┼────────┼───────┼────────┤
│2019년│115 │203 │41 │6 │
├───┼───────┼────────┼───────┼────────┤
│2020년│154 │185 │27 │0 │
└───┴───────┴────────┴───────┴────────┘
2020년 초미세먼지 농도 감소 경향을 기간별로 살펴보면 첫 계절관리제가 시행됐던 1∼3월의 전년 동기 대비 농도 감소 폭이 9∼18㎍/㎥로, 4∼12월의 감소 폭보다 컸다. 특히 2020년 3월은 2019년 동월 대비 초미세먼지 농도 감소 폭이 전국 18㎍/㎥, 수도권 21㎍/㎥로 농도 개선이 가장 뚜렷했다.
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영향을 받기 전인 1월의 경우 중국은 2019년 같은 달보다 농도가 증가했지만 우리나라는 1월부터 뚜렷한 농도 감소 경향이 있었다.
한편 전국 시도별 2019년 대비 2020년 초미세먼지 농도 개선 폭은 충북(7㎍/㎥↓), 세종·전북(6㎍/㎥↓) 등에서 크게 나타났다.
대구(2㎍/㎥↓), 울산·경북·경남·제주(3㎍/㎥↓)의 개선 폭이 상대적으로 작았다.
아울러 서해 백령도의 2020년 초미세먼지 농도는 전년 대비 1㎍/㎥ 감소한 19㎍/㎥로, 전국 평균 농도 개선 폭 4㎍/㎥보다 적게 나타나 국내 미세먼지 정책에 따른 농도 개선 효과를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환경부는 "계절풍에 따라 국외 영향이 적고 국내 영향이 지배적인 5∼9월의 초미세먼지 농도도 2015년 이후 지속해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며 "국내 정책효과와 국민 참여로 국내 미세먼지의 기저 농도가 낮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던 것"이라고 밝혔다. 환경부는 2020년 국내 초미세먼지 농도가 획기적으로 개선된 것이 ▲ 국내 정책효과 ▲ 중국의 지속적인 미세먼지 개선추세 ▲ 코로나19 영향 ▲ 양호한 기상 조건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2019년 12월부터 2020년 3월까지 첫 미세먼지 계절관리제가 시행됐고, 사업장 대기오염물질 배출허용기준을 강화하는 등 강력한 미세먼지 대책이 추진했다.
환경부는 코로나19에 따라 국가 최종에너지 소비량, 선박 입출항 수, 항공 운항편 수 등이 감소한 영향도 있었다고 판단했다.
국립환경과학원은 국가미세먼지정보센터와 함께 지역별 대기오염물질배출량 변화 등 2020년 초미세먼지 개선 원인을 정밀 분석할 예정이다. 김영우 국립환경과학원 기후대기연구부장은 "아직은 기상 등 외부요인에 따라 언제든지 고농도 미세먼지가 발생할 수 있다"며 "앞으로도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정부의 탄소중립 전략에 발을 맞춰 산업·수송·발전 등 부분별 대책을 강화해 미세먼지와 온실가스를 동시에 줄여나가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2020년 농도는 2019년(23㎍/㎥)과 비교해 17.4%(4㎍/㎥) 감소한 것으로, 초미세먼지 관측을 시작한 2015년(26㎍/㎥) 이래 가장 낮았다.
연간 감소 폭도 2015년 이후 가장 컸다. 연평균 초미세먼지 농도는 2015·2016년 26㎍/㎥에서 2017년 25㎍/㎥, 2018·2019년 23㎍/㎥로 감소 추이를 보였다.
2020년 초미세먼지가 '나쁨'(36㎍/㎥ 이상)보다 안 좋았던 일수는 총 27일로, 2019년 대비 20일 감소해 관측 이래 최소였다.
'좋음'(15㎍/㎥ 이하) 일수는 154일로, 2019년 대비 39일 증가했다. 특히 2019년에는 '매우 나쁨'(76㎍/㎥ 이상) 일수가 6일 발생했으나, 2020년에는 발생하지 않았다.
[표] 전국 초미세먼지 등급별 발생일수(단위: 일수)
┌───┬───────┬────────┬───────┬────────┐
│구분 │좋음(0∼15㎍/ │보통(16∼35㎍/㎥│나쁨(36∼75㎍/│매우나쁨(76㎍/㎥│
│ │㎥) │) │㎥) │) │
├───┼───────┼────────┼───────┼────────┤
│2019년│115 │203 │41 │6 │
├───┼───────┼────────┼───────┼────────┤
│2020년│154 │185 │27 │0 │
└───┴───────┴────────┴───────┴────────┘
2020년 초미세먼지 농도 감소 경향을 기간별로 살펴보면 첫 계절관리제가 시행됐던 1∼3월의 전년 동기 대비 농도 감소 폭이 9∼18㎍/㎥로, 4∼12월의 감소 폭보다 컸다. 특히 2020년 3월은 2019년 동월 대비 초미세먼지 농도 감소 폭이 전국 18㎍/㎥, 수도권 21㎍/㎥로 농도 개선이 가장 뚜렷했다.
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영향을 받기 전인 1월의 경우 중국은 2019년 같은 달보다 농도가 증가했지만 우리나라는 1월부터 뚜렷한 농도 감소 경향이 있었다.
한편 전국 시도별 2019년 대비 2020년 초미세먼지 농도 개선 폭은 충북(7㎍/㎥↓), 세종·전북(6㎍/㎥↓) 등에서 크게 나타났다.
대구(2㎍/㎥↓), 울산·경북·경남·제주(3㎍/㎥↓)의 개선 폭이 상대적으로 작았다.
아울러 서해 백령도의 2020년 초미세먼지 농도는 전년 대비 1㎍/㎥ 감소한 19㎍/㎥로, 전국 평균 농도 개선 폭 4㎍/㎥보다 적게 나타나 국내 미세먼지 정책에 따른 농도 개선 효과를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환경부는 "계절풍에 따라 국외 영향이 적고 국내 영향이 지배적인 5∼9월의 초미세먼지 농도도 2015년 이후 지속해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며 "국내 정책효과와 국민 참여로 국내 미세먼지의 기저 농도가 낮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던 것"이라고 밝혔다. 환경부는 2020년 국내 초미세먼지 농도가 획기적으로 개선된 것이 ▲ 국내 정책효과 ▲ 중국의 지속적인 미세먼지 개선추세 ▲ 코로나19 영향 ▲ 양호한 기상 조건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2019년 12월부터 2020년 3월까지 첫 미세먼지 계절관리제가 시행됐고, 사업장 대기오염물질 배출허용기준을 강화하는 등 강력한 미세먼지 대책이 추진했다.
환경부는 코로나19에 따라 국가 최종에너지 소비량, 선박 입출항 수, 항공 운항편 수 등이 감소한 영향도 있었다고 판단했다.
국립환경과학원은 국가미세먼지정보센터와 함께 지역별 대기오염물질배출량 변화 등 2020년 초미세먼지 개선 원인을 정밀 분석할 예정이다. 김영우 국립환경과학원 기후대기연구부장은 "아직은 기상 등 외부요인에 따라 언제든지 고농도 미세먼지가 발생할 수 있다"며 "앞으로도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정부의 탄소중립 전략에 발을 맞춰 산업·수송·발전 등 부분별 대책을 강화해 미세먼지와 온실가스를 동시에 줄여나가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