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창흠 "주택 공급, 분양 중심…패스트트랙·신규 지정 가능"
입력
수정
주택공급 유관기관과 화상 정책간담회
"신속한 주택공급 위해 민관협력 패스트트랙 도입"
변 장관은 5일 주택공급 관련 민관 주요기관과 정책간담회를 열고 “주택 공급확대가 주택시장 안정에 중요한 만큼 민관협력의 모범적 모델이 될 수 있도록 긴밀한 협력 체계를 가동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날 간담회는 서울시, 경기도, 한국주택토지공사(LH), 한국주택협회 등과 진행됐다. 변 장관이 설 명절 이전 발표를 공언한 추가 주택공급대책과 관련한 논의다.변 장관은 주택부지 확보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역세권 등 도심 내 가용용지와 공공택지를 통해 충분한 물량 공급해야 한다”며 “수도권과 지방 대도시를 대상으로 역세권, 준공업지역, 저층주거지, 도시재생 연계 정비사업 등 다양한 도심 내 공급 방식을 검토 중”이라고 전했다. 이어 “기존 공공택지, 학교·공공기관 부지 활용 및 신규 공공택지 지정도 추진하겠다”고 했다.
정부는 서울 도심에 주택 공급을 늘리기 위해 역세권과 준공업지역, 저층 주거지 등지를 고밀 개발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이를 위해 이들 지역에 용적률과 주차장, 일조권 등 도시계획상 규제를 대폭 완화해 개발을 촉진하되, 공공기관이 사업에 직접 참여하면서 공공성을 높이고 개발이익을 환수해야 한다. 이 때문에 사업을 직접 이끌게 될 공공기관의 역할이 중요해졌고, 민간 건설업계의 적극적인 참여도 필수적이다.
변 장관은 "교통이 편리한 지역에서 지구단위계획 수립을 통해 용적률을 400~500%에서 700%로 높이고 입지규제 최소구역 주거비율을 완화하고 공공 재건축에 대해 종상향을 해주는 등의 기존 과제는 차질 없이 마무리 지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특별건축구역을 적극적으로 지정하는 등 추가적으로 규제 개선할 사항을 발굴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한국주택협회, 대한주택건설협회 등은 회원사 조사 결과를 통해 “올해 아파트 분양 예정물량이 지난해 28만1000가구(실적 예상) 대비 약 23% 증가한 총 34만6000가구 수준”이라고 밝혔다.
안혜원 한경닷컴 기자 anh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