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AI혁명 시대…제도·의식 바꿔 '문화지체' 극복해야
입력
수정
지면A35
코로나 팬데믹 속에 어제 개막한 세계 최대 IT·가전 전시회 ‘CES 2021’은 연례행사임에도 더욱 특별하게 다가온다. ‘넥스트 노멀’이라는 이번 전시회 주제처럼 인류 기술과 문명이 새로운 단계로 진입 중이라는 분명한 메시지로 넘치고 있어서다. 세계 1964개 기업·기관의 출품작 중 사물인터넷(IoT)·센서 및 인공지능(AI) 제품이 60%에 달한 것은 디지털 혁명의 조기 도착을 알리는 강력한 신호다.
CES 2021은 산업과 생활 전반이 ‘뉴 노멀’로 치닫고 있음을 새삼 일깨워준다. 넓은 라스베이거스센터를 인파로 채웠던 행사가 최초로 ‘올(all) 디지털’로 열린 것부터 의미심장하다. 비대면·데이터 경제의 유례없는 확산을 예고하는 다양한 혁신제품과 논의들은 디지털 대전환이 일자리와 총수요를 잠식할 것이란 편견에서 탈피할 것을 요구한다. 파격적인 홈코노미·모빌리티 기술과 이에 쏟아지는 호평은 4차 산업혁명이 오히려 일자리를 진화시키고 새로운 수요를 창출할 것이란 희망을 준다.전시회에 참가한 한국 기업이 341개사로 미국에 이어 두번째로 많은 점도 고무적이다. 삼성 LG 같은 ‘단골’뿐 아니라 GS 만도 등으로 참여폭이 확대된 것은 한국 기업이 아직은 선도대열에서 탈락하지 않았다는 증좌다. 개방형 혁신 생태계 조성에 꼭 필요한 중소기업과 스타트업이 대거 참가한 점도 든든하다.
기업들의 이런 고군분투는 역설적으로 ‘뉴 노멀’에 대비하는 우리 사회의 준비 소홀에 대한 안타까움을 증폭시킨다. 법·제도, 의식과 가치관, 사회적 상호작용 양식 등의 비(非)물질문화가 급속한 물질문화의 변화를 따라잡지 못해서 생기는 ‘문화지체’ 현상이 뚜렷해서다. 지금도 헬스케어, 자율주행, 공유경제, 디지털 유통·금융 같은 신산업 전반에서 혁신이 연쇄적으로 가로막히고 있는 게 엄연한 현실이다. 경쟁력의 원천이 석유·석탄에서 데이터·AI 파워로 바뀌었지만 칼자루를 쥔 관료·권력집단이 기득권적 사고를 벗어나지 못한 탓이다.
그 결과 대학은 시대를 앞서갈 인재 양성보다 정부가 주는 ‘눈먼 돈’ 따내기에 급급하다. 기업은 부족한 AI 인재를 구하느라 해외를 전전하고 있다. 기술을 먼저 개발해도 규정 미비와 낡은 ‘포지티브 법제’에 밀려 상용화에 뒤처지는 일도 비일비재하다. 마차를 보호하기 위해 자동차 최고속도를 시속 3㎞로 제한한 19세기 영국의 ‘붉은 깃발법’이 회자될 정도다. CES 2021이 전하는 ‘코로나 이후 선도국가’ 해법에 모두 주목해야 할 때다.
CES 2021은 산업과 생활 전반이 ‘뉴 노멀’로 치닫고 있음을 새삼 일깨워준다. 넓은 라스베이거스센터를 인파로 채웠던 행사가 최초로 ‘올(all) 디지털’로 열린 것부터 의미심장하다. 비대면·데이터 경제의 유례없는 확산을 예고하는 다양한 혁신제품과 논의들은 디지털 대전환이 일자리와 총수요를 잠식할 것이란 편견에서 탈피할 것을 요구한다. 파격적인 홈코노미·모빌리티 기술과 이에 쏟아지는 호평은 4차 산업혁명이 오히려 일자리를 진화시키고 새로운 수요를 창출할 것이란 희망을 준다.전시회에 참가한 한국 기업이 341개사로 미국에 이어 두번째로 많은 점도 고무적이다. 삼성 LG 같은 ‘단골’뿐 아니라 GS 만도 등으로 참여폭이 확대된 것은 한국 기업이 아직은 선도대열에서 탈락하지 않았다는 증좌다. 개방형 혁신 생태계 조성에 꼭 필요한 중소기업과 스타트업이 대거 참가한 점도 든든하다.
기업들의 이런 고군분투는 역설적으로 ‘뉴 노멀’에 대비하는 우리 사회의 준비 소홀에 대한 안타까움을 증폭시킨다. 법·제도, 의식과 가치관, 사회적 상호작용 양식 등의 비(非)물질문화가 급속한 물질문화의 변화를 따라잡지 못해서 생기는 ‘문화지체’ 현상이 뚜렷해서다. 지금도 헬스케어, 자율주행, 공유경제, 디지털 유통·금융 같은 신산업 전반에서 혁신이 연쇄적으로 가로막히고 있는 게 엄연한 현실이다. 경쟁력의 원천이 석유·석탄에서 데이터·AI 파워로 바뀌었지만 칼자루를 쥔 관료·권력집단이 기득권적 사고를 벗어나지 못한 탓이다.
그 결과 대학은 시대를 앞서갈 인재 양성보다 정부가 주는 ‘눈먼 돈’ 따내기에 급급하다. 기업은 부족한 AI 인재를 구하느라 해외를 전전하고 있다. 기술을 먼저 개발해도 규정 미비와 낡은 ‘포지티브 법제’에 밀려 상용화에 뒤처지는 일도 비일비재하다. 마차를 보호하기 위해 자동차 최고속도를 시속 3㎞로 제한한 19세기 영국의 ‘붉은 깃발법’이 회자될 정도다. CES 2021이 전하는 ‘코로나 이후 선도국가’ 해법에 모두 주목해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