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2030년까지 어촌 소득 7000만원 만들겠다"
입력
수정
정부가 2030년 어가(漁家) 연소득을 7000만원까지 끌어올리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2019년 평균 소득 (4842만원)보다 2000만원 넘게 많은 목표치다. 이 밖에도 정부는 스마트양식장 비율을 현재 2.5% 수준에서 50%로 끌어올리고, 수산물 식중독 비율을 15%에서 4%로 낮추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가장 눈에 띄는 건 '머물고 싶은 어촌 조성'이다. 해수부는 현재 85% 가량인 도시 대비 어촌 소득비율을 2030년까지 90%로 끌어올리겠다고 밝혔다. 목표가 실현되면 2030년 어가 평균 소득은 7000만원까지 오른다.
해수부는 "충분히 실현 가능한 목표"라고 자신했다. 문성혁 해수부 장관은 "7000만원은 보수적으로 잡은 목표고, 오히려 이를 넘어서야 한다"며 "유럽 등 선진국을 보면 수산분야 종사자들의 생활 수준이 매우 높은데, 한국도 수산분야에 4차 산업혁명 바람이 불면서 10년 뒤에는 수산 분야가 크게 발전할 것"이라고 했다. 엄기두 해수부 수산정책실장은 "어촌 소득이 매년 3%가량 증가한다고 가정하면 2030년 7000만원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며 "유통시장 혁신 및 수산 공익형 직불제 도입으로 이를 뒷받침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해양수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위해서는 지난해 전체 양식장의 2.5%에 불과한 스마트양식장 비율을 2030년 50%까지 높이기로 했다. 2030년까지 무인 자율운항선박을 개발하고 세계 자율운항선박 시장 점유율 50%를 달성하겠다는 계획도 내놨다.친환경 분야에서는 친환경선박 전환율을 지난해 1%에서 2030년 15%까지 늘린다. 체계적인 금어기 설정 등 수산자원 보호를 통해 수산자원량을 2019년 437만t에서 2030년 503만t 수준까지 늘리고, 해양쓰레기도 절반 수준으로 줄이기로 했다.
성수영 기자 syoung@hankyung.com
"2030년 어촌 연소득 7000만원, 충분히 가능"
해양수산부는 12일 이 같은 내용의 '제 3차 해양수산발전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양수산발전 기본계획은 해양수산 분야 최상위 국가계획으로, 2021년부터 2030년까지의 해양수산 분야 정책의 기본방향을 제시한다. 이번 계획에는 15개 관계부처가 수립에 참여했다.해수부는 2030년까지 여섯 가지 방향의 정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는 △머물고 싶은 어촌·연안 조성 △해양수산업의 디지털 전환 △해양수산 안전 강화 △신산업 개발 등 해양수산업의 질적 도약 △환경친화적 해양 이용 △국제협력 선도 등이다.가장 눈에 띄는 건 '머물고 싶은 어촌 조성'이다. 해수부는 현재 85% 가량인 도시 대비 어촌 소득비율을 2030년까지 90%로 끌어올리겠다고 밝혔다. 목표가 실현되면 2030년 어가 평균 소득은 7000만원까지 오른다.
해수부는 "충분히 실현 가능한 목표"라고 자신했다. 문성혁 해수부 장관은 "7000만원은 보수적으로 잡은 목표고, 오히려 이를 넘어서야 한다"며 "유럽 등 선진국을 보면 수산분야 종사자들의 생활 수준이 매우 높은데, 한국도 수산분야에 4차 산업혁명 바람이 불면서 10년 뒤에는 수산 분야가 크게 발전할 것"이라고 했다. 엄기두 해수부 수산정책실장은 "어촌 소득이 매년 3%가량 증가한다고 가정하면 2030년 7000만원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며 "유통시장 혁신 및 수산 공익형 직불제 도입으로 이를 뒷받침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식중독·안전사고 확 줄인다
해수부는 이 밖에도 각 분야에서 2030년까지 달성할 목표치를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먼저 안전 강화 분야에서는 항만작업자 사고를 2018년 1만명당 2.55명에서 2030년 0.51명으로 확 줄이기로 했다. 수산물식중독 비율은 같은 기간 1만명당 15명에서 4명으로 줄인다.해양수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위해서는 지난해 전체 양식장의 2.5%에 불과한 스마트양식장 비율을 2030년 50%까지 높이기로 했다. 2030년까지 무인 자율운항선박을 개발하고 세계 자율운항선박 시장 점유율 50%를 달성하겠다는 계획도 내놨다.친환경 분야에서는 친환경선박 전환율을 지난해 1%에서 2030년 15%까지 늘린다. 체계적인 금어기 설정 등 수산자원 보호를 통해 수산자원량을 2019년 437만t에서 2030년 503만t 수준까지 늘리고, 해양쓰레기도 절반 수준으로 줄이기로 했다.
성수영 기자 syo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