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한파에 작년 취업자 22만명↓…외환위기 이후 최대 감소(종합)

대면서비스업·임시직 중심으로 줄어…실업자는 111만명 육박
12월 취업자 63만명↓, 1999년 2월 이후 최대폭…10개월 연속 감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 따른 지난해 고용시장 충격이 외환위기 이후 최악이었다. 취업자 수가 11년 만에 줄어들었고 감소 폭도 외환위기 이후 22년 만에 가장 컸다.

◇ 22년 만에 최대 감소…대면서비스업·임시직 타격
통계청이 13일 발표한 '2020년 12월 및 연간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연간 취업자는 2천690만4천명으로 1년 전보다 21만8천명 감소했다.

1998년(-127만6천명) 이래 22년 만에 최대 감소 폭이다. 취업자 수가 줄어든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8만7천명) 이후 11년 만이다.

취업자 수 감소는 1998년과 2009년 이외 오일쇼크가 덮친 1984년(-7만6천명), 카드 대란이 벌어진 2003년(-1만명) 등 모두 4차례 있었다.

지난해 취업자는 60세 이상(37만5천명)을 제외하고 모든 연령대에서 감소했다. '경제 허리'에 해당하는 30대(-16만5천명)와 40대(-15만8천명)에서 감소 폭이 컸고,20대(-14만6천명)와 50대(-8만8천명)도 타격을 입었다.

산업별로는 도·소매업(-16만명), 숙박·음식점업(-15만9천명), 교육서비스업(-8만6천명) 등 대면서비스업이 직격탄을 맞았다.

반면 보건업·사회복지서비스업(13만명), 운수·창고업(5만1천명), 농림어업(5만명)은 증가했다. 임금근로자(-10만8천명)와 비임금근로자(-11만명) 모두 줄었다.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30만5천명)는 늘었으나 임시근로자(-31만3천명), 일용근로자(-10만1천명) 감소가 컸다.

코로나19 충격이 고용 취약계층에 집중된 모습이다.

비임금근로자 중에는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9만명)는 늘었고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16만5천명)는 줄었다.

일시휴직자는 83만7천명으로 43만명 늘었는데, 1980년 관련 통계 작성 후 최대 증가다.
◇ 실업자 111만명 육박, 실업률 4.0%로 19년 만에 최고치
실업률과 고용률, 비경제활동인구 등 취업자 외 각종 지표도 나빠졌다.

작년 실업자는 전년보다 4만5천명 늘어난 110만8천명이었다.

통계 기준을 바꾼 이래 연도별 비교가 가능한 2000년 이후로는 가장 많다.

실업률은 4.0%로 0.2%포인트 올랐다.

2001년(4.0%) 이후 최고치다.

15∼29세 청년층 실업률은 9.0%로 2018년(9.5%) 이후 2년 만에 다시 9%대로 올라섰다.

고용률은 0.8%포인트 하락한 60.1%로 2013년(59.8%) 이후 가장 낮았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65.9%로 0.9%포인트 하락했다.

2015년(65.9%) 이후 최저치다.

비경제활동인구는 1천677만3천명으로 45만5천명 증가했다.

증가 폭이 2009년(49만5천명) 이후 가장 컸다.

쉬었음(28만2천명)과 가사(15만4천명) 등에서 늘었고 재학·수강 등(-9만2천명)에서 감소했다.

취업준비자는 79만1천명으로 4만3천명 증가했다.
◇ 코로나 재확산에 12월 취업자 62만8천명↓…10개월 연속 감소
지난해 내내 코로나19 확산세에 따라 전년 대비 취업자 감소 폭도 등락을 거듭했다.

코로나19 영향이 시작된 3월 취업자가 19만5천명 줄어든 것을 시작으로 4월(-47만6천명), 5월(-39만2천명), 6월(-35만2천명), 7월(-27만7천명), 8월(-27만4천명), 9월(-39만2천명), 10월(-42만1천명), 11월(-27만3천명)까지 감소세가 이어졌다.

코로나19 3차 대유행으로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가 올라간 12월에는 취업자가 62만8천명 줄어 1999년 2월(-65만8천명) 이후 가장 큰 감소를 보였다.

3월부터 12월까지 10개월 연속으로 취업자가 줄어든 것인데, 이는 1998년 1월부터 1999년 4월까지 16개월 연속 감소한 이후 최장기간이다. 정동욱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작년 12월 8일 거리두기 조치 격상으로 숙박·음식점업이 특히 타격을 받아 취업자 감소 폭이 깊어졌다"며 "2019년 12월 취업자 증가 폭이 51만6천명으로 컸기에 그에 대한 기저효과도 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