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미없는 보고서의 반복…죽고 싶다" 중앙부처 공무원의 절규
입력
수정
"저는 중앙부처 공무원입니다. 행정고시를 쳤고 3년 만에 붙었습니다. IMF로 부모님의 사업이 붕괴되는 경험을 한 저는 신분 보장, 연금 두 개만 보고 공무원을 선택했습니다. 지금은 고민 없이 직업을 선택한 것이 미칠 듯이 후회스럽고 괴로워 죽고 싶습니다."
한 중앙부처 공무원의 자괴감 섞인 심경 글이 지난 17일 서울대 온라인 커뮤니티 스누라이프에 올라왔다.공무원 A 씨는 '죽고 싶다'는 제하의 글을 통해 "군대도 버텼는데 이깟 회사 일쯤이야 쉽게 버틸 거라 생각했지만 현실은 달랐다"면서 "하루하루 말도 안 되는 지시가 상부에서 내려온다"고 말했다.
A 씨는 "상부 지시는 '정부가 민간보다 빨리 세상을 혁신하라, 단 문제가 생기면 안 된다', '모두가 만족하는 대책을 내놔라' 등이다"라며 "애초에 질문이 모순적이라 답이 없는데 상사들은 위에 굽신거리며 복종하고 실무자를 힘들게 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러면 실무자는 기존의 것들을 짜깁기해 의미 없는 대책 보고서를 만들어낸다. 만족하지 못한 상부는 또 요구하기를 반복한다"고 지적했다.그러면서 "한 대책 보고서에는 수많은 실무자와의 실랑이가 들어간다. 협업을 하면 되지 않겠냐고 하지만 협업을 하면 실무자에게 돌아오는 건 더 많은 숙제다. 10장을 채우려면 50명과는 실랑이를 해야 하는데 이런 시스템 속에서 누가 협업을 하나. 지치고 고되는데 거절하는 상대의 마음도 이해가 돼서 더 고통스럽다"라며 "중앙부처 공무원이라면 보람 있는 일을 할 줄 알았는데 제 착각이었다"고 자괴감을 표했다.
A 씨는 "구조가 잘못됐다. 시민단체의 사적인 요구가 상부를 통해 행정부에 지시로 내려온다. 불합리한 지시는 규정대로 거절하면 될 줄 알았지만 현실은 그렇게 호락호락하지 않았다"면서 "제각기 다른 규정이 정합적으로 맞아떨어지기 때문에 개인의 판단이 필요한 영역이 생길 수 밖에 없다. 국가를 위해서 일할 줄 알았는데, 시민단체 개인의 이익을 위해 소모되는 제 자신이 싫다"고 했다.
이어 "살고 싶지 않다. 제 죽음으로 이 시스템을 개선할 수 있다면 기꺼이 그러고 싶다. 죽음이 아니라면 답이 안 보인다"라며 "다른 공무원들한테 욕먹는 것도 지치고 그만하고 싶다"고 절망감을 드러냈다.해당 글에는 "어떤 류의 힘듦인지 알고 있는데, 그 정도로 힘들면 윗선에서 관심이 덜한 곳으로 옮겨보는 것은 어떨까. 내가 사는 게 먼저다", "진짜 변화를 일으키고 싶다면 죽음이나 사표나 이런 항의와 체념의 수단으로는 안된다. 부당한 지시와 불법을 공개하고 그들이 합당한 처벌을 받게 함으로써 이후에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게 함으로써만 가능하다. 물론 고발 자체가 개인에게 무거운 짐을 줄 수 있는 일이지만 죽음으로 해결하려 하지 말길 바란다", "업무는 내가 피하고 싶다고 쉽게 나 몰라라 할 수가 없다. 어차피 내가 안 하면 결국 동료가 하는데 그 동료로부터 시선은 어쩌나. 그렇게 한다고 내가 편해지지도 않을뿐더러 다음 인사이동에선 이상한 데로 발령 난다. 다들 국가 정책에 기여한다는 꿈을 가지고 공부 열심히 해서 들어왔는데 누가 저성과자 소리 들으며 회사 다니고 싶을까" 등의 다양한 조언이 쏟아졌다.
이미나 한경닷컴 기자 helper@hankyung.com
한 중앙부처 공무원의 자괴감 섞인 심경 글이 지난 17일 서울대 온라인 커뮤니티 스누라이프에 올라왔다.공무원 A 씨는 '죽고 싶다'는 제하의 글을 통해 "군대도 버텼는데 이깟 회사 일쯤이야 쉽게 버틸 거라 생각했지만 현실은 달랐다"면서 "하루하루 말도 안 되는 지시가 상부에서 내려온다"고 말했다.
A 씨는 "상부 지시는 '정부가 민간보다 빨리 세상을 혁신하라, 단 문제가 생기면 안 된다', '모두가 만족하는 대책을 내놔라' 등이다"라며 "애초에 질문이 모순적이라 답이 없는데 상사들은 위에 굽신거리며 복종하고 실무자를 힘들게 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러면 실무자는 기존의 것들을 짜깁기해 의미 없는 대책 보고서를 만들어낸다. 만족하지 못한 상부는 또 요구하기를 반복한다"고 지적했다.그러면서 "한 대책 보고서에는 수많은 실무자와의 실랑이가 들어간다. 협업을 하면 되지 않겠냐고 하지만 협업을 하면 실무자에게 돌아오는 건 더 많은 숙제다. 10장을 채우려면 50명과는 실랑이를 해야 하는데 이런 시스템 속에서 누가 협업을 하나. 지치고 고되는데 거절하는 상대의 마음도 이해가 돼서 더 고통스럽다"라며 "중앙부처 공무원이라면 보람 있는 일을 할 줄 알았는데 제 착각이었다"고 자괴감을 표했다.
A 씨는 "구조가 잘못됐다. 시민단체의 사적인 요구가 상부를 통해 행정부에 지시로 내려온다. 불합리한 지시는 규정대로 거절하면 될 줄 알았지만 현실은 그렇게 호락호락하지 않았다"면서 "제각기 다른 규정이 정합적으로 맞아떨어지기 때문에 개인의 판단이 필요한 영역이 생길 수 밖에 없다. 국가를 위해서 일할 줄 알았는데, 시민단체 개인의 이익을 위해 소모되는 제 자신이 싫다"고 했다.
이어 "살고 싶지 않다. 제 죽음으로 이 시스템을 개선할 수 있다면 기꺼이 그러고 싶다. 죽음이 아니라면 답이 안 보인다"라며 "다른 공무원들한테 욕먹는 것도 지치고 그만하고 싶다"고 절망감을 드러냈다.해당 글에는 "어떤 류의 힘듦인지 알고 있는데, 그 정도로 힘들면 윗선에서 관심이 덜한 곳으로 옮겨보는 것은 어떨까. 내가 사는 게 먼저다", "진짜 변화를 일으키고 싶다면 죽음이나 사표나 이런 항의와 체념의 수단으로는 안된다. 부당한 지시와 불법을 공개하고 그들이 합당한 처벌을 받게 함으로써 이후에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게 함으로써만 가능하다. 물론 고발 자체가 개인에게 무거운 짐을 줄 수 있는 일이지만 죽음으로 해결하려 하지 말길 바란다", "업무는 내가 피하고 싶다고 쉽게 나 몰라라 할 수가 없다. 어차피 내가 안 하면 결국 동료가 하는데 그 동료로부터 시선은 어쩌나. 그렇게 한다고 내가 편해지지도 않을뿐더러 다음 인사이동에선 이상한 데로 발령 난다. 다들 국가 정책에 기여한다는 꿈을 가지고 공부 열심히 해서 들어왔는데 누가 저성과자 소리 들으며 회사 다니고 싶을까" 등의 다양한 조언이 쏟아졌다.
이미나 한경닷컴 기자 help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