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환 서린 '시간의 흔적'만 그대로…80년 적산가옥의 재탄생
입력
수정
지면A21
명품건축물 열전 - 경북 문경 산양양조장
기존 뼈대·기둥 남기고
사이사이 현대적 요소 더해
작년 공간문화대상 수상
'옥색 도장' 옛것 살린 내부
진한 레트로 감성 '물씬'

하지만 2018년 경북의 산업유산으로 지정된 문경 산양양조장은 달랐다. 지난해 1월 산업유산 문화재생 리모델링 사업을 통해 재탄생한 산양양조장은 현재 지역이주·청년단체인 리플레이스가 ‘산양정행소’라는 이름의 카페로 운영하고 있다.
80년 된 건물, 핫한 카페로 변신

이 건물의 리모델링은 80년 가까이 된 건물을 원형 그대로 살리는 것이 아니라 건축적 가치를 극대화하면서 지역 사회가 활용 가능한 다목적 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기존 건물을 완전히 허물지 않고 살려내고 남길 수 있는 부분을 최대한 유지했다. 양조장 리모델링의 설계 및 감리를 맡은 스튜디오히치는 썩은 기존 기둥을 완전히 새로 교체하기보다는 썩은 기둥의 밑단만 잘라내고, 새롭게 연결해 새로운 기둥과 옛기둥의 차이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했다. 옛것들 사이에는 얇은 철제 창호, 높은 폴딩도어, 강판 캐노피, 단순한 조명 등 현대적인 요소를 넣었다. 닫혀 있던 양조장 벽은 슬라이딩도어와 목재 폴딩도어를 통해 외부 공간과 연결될 수 있게 됐다.박희찬 스튜디오히치 대표는 “오랜 시간 방치된 근대 목조 건물이 가진 시간의 흔적을 그대로 보존하고 또 경험할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고자 했다”고 설명했다.
지역 문화허브로 활용
리플레이스는 산양양조장에 지역 주민, 방문객이 참여할 수 있는 행사를 열고, 청년들의 지역 유입 및 정착을 돕는 커뮤니티도 운영하고 있다. 문경시 관계자는 “산양양조장은 이제 술을 생산하지는 않지만 지역 사회의 연대를 상징하는 문화 허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고 했다.
윤아영 기자 youngmone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