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한 서울 50+세대 64%가 '창직추구형 인생재설계'

서울시50플러스재단 2019년 설문조사 결과 분석

주된 일자리에서 퇴직한 서울의 '50+세대'(만 50∼64세) 중 거의 3분의 2가 본인 경력을 바탕으로 경제적 소득을 지속하려는 '창직추구형' 인생재설계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50플러스재단(대표이사 김영대)는 이런 내용을 포함한 심층분석 보고서를 27일 발표했다.

이 보고서는 '생애 주된 일자리'에서 퇴직했으며 연령이 만 50세부터 64세까지인 서울 거주자 806명을 상대로 2019년에 실시된 '서울시 50+세대 실태조사 -- 직업 이력 및 경제활동' 가구방문 면접조사의 결과를 분석한 것이다.

당시 면접조사에서는 ▲ 일과 활동 이력 ▲ 생애 주된 일자리 퇴직 후 일과 활동 실태 ▲ 소득 ▲ 소비 ▲ 자산 ▲ 부채 ▲ 삶의 질 ▲ 노후준비 등 8개 영역이 조사됐다. 재단은 이를 바탕으로 주된 일자리부터 퇴직 후 일자리까지 생애경력 경로를 크게 5개 집단으로 유형화했다.

▲ 중소기업 정규직 유지형(38.3%) ▲ 중소기업 재직 후 자영업 이동형(14.8%) ▲ 대기업 재직 후 자영업 이동형(20.8%) ▲ 자영업 유지형(10.0%) ▲ 직업혼재형(16.7%) 등이다.

재단은 이를 바탕으로 퇴직 후 인생재설계를 위해 노력하는 진로준비행동을 생계형(24.7%), 창직추구형(64.3%), 활동추구형(11.0%) 등 크게 세 집단으로 유형화했다. 김영대 서울시50플러스재단 대표이사는 "50+세대에 꼭 필요한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정책 대상자에 대한 면밀한 분석이 필요하다"며 "보다 체감도 높은 정책 수행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표] 퇴직한 서울 50+세대 생애경력 경로 유형화
(자료: 서울시50플러스재단)
┌─────────┬───────────────────────────┐
│중소기업 정규직 유│비중이 가장 크며, 대부분 정규직 중소기업 재직연수가 길│
│ 지형 │고, 이후 공공기관 또는 개인사업체로 경력을 변경하는 경│
│ (38.32%) │향성을 보임 │
│ │성별의 비율은 6(남):4(여)로 분포하고 있으며, 평균 연령│
│ │은 57세, 고졸 및 대졸이상의 고학력으로 구성 │
│ │약 30세에 주된 일자리를 시작하여 약 48세에 퇴직 │
├─────────┼───────────────────────────┤
│중소기업 재직후 자│남성보다 여성이 많은 편이며, 평균 연령은 약 54세 │
│ 영업 이동형 │약 28세의 이른 나이에 주된 일자리를 시작하여, 40세에 │
│ (14.79%) │주된 일자리 퇴직 │
│ │약 8년의 전환기를 두고 다시 노동시장에 진입하여 자영업│
│ │, 프리랜서로 근무 │
├─────────┼───────────────────────────┤
│대기업 재직후 자영│유형가운데 대기업/정규직 재직분포가 가장 많으며, 이후 │
│ 업 이동형 │개인사업체의 자영업으로 경력을 변경하는 경향 │
│ (20.79%) │남성이 여성보다 많은 편이며, 집단 가운데 대졸 이상이 │
│ │가장 많은 편(54.29%), 평균연령은 57세 │
│ │약 30세에 주된 일자리를 시작하여 47세에 퇴직하는 경향 │
├─────────┼───────────────────────────┤
│ 자영업 유지형 │주된 일자리부터 개인사업체/자영업 형태로 일생의 경력을│
│ (10.00%) │ 형성 │
│ │남성과 여성의 비율이 고루 분포, 평균연령은 61.6세, 집 │
│ │단 가운데 중졸자 비중이 가장 높은 편이고, 혼인상태는 │
│ │이별이나 사별, 미혼의 분포가 가장 높음 │
├─────────┼───────────────────────────┤
│ 직업혼재형 │중소기업, 개인사업체, 정규직 및 자영업의 고용형태가 균│
│ (16.73%) │형적으로 분포 │
│ │여성의 비중이 압도적으로 많고(95.27%), 대졸 이상의 비 │
│ │중이 가장 적은 편(5.92%), 대부분이 고졸의 학력, 평균연│
│ │령은 약 61.8세로 집단 중 가장 높은 편, 이별이나 사별, │
│ │미혼의 분포도 다른 집단에 비해 비중이 높은 편 │
└─────────┴───────────────────────────┘

[표] 퇴직한 서울 50+세대 진로준비행동 유형화
(자료: 서울시50플러스재단)
┌───────┬─────────────────────────────┐
│진로준비행동 │프로파일 특성 │
│집단 │ │
├───────┼─────────────────────────────┤
│생계형 │- 비자발적 퇴직 비중이 39.2%로 집단 중 가장 높음 │
│(24.69%) │- 50+캠퍼스권역 중 남부지역 거주자들의 비중이 높음 │
│ │- 주된 일자리와 가교 일자리간의 경력 연관성이 낮으나, 정부│
│ │ 지원 정책으로 경력을 살릴 수 있는 일자리 정책을 원함 │
├───────┴─────────────────────────────┤
│→ 생계형 집단의 경우 비자발적 퇴직 비중이 높고, 일과 활동의 개수가 많은 │
│만큼, 재취업 과정에서 기존경력을 살릴 수 있는 일자리 지원 정책을 원하는 것│
│으로 나타남 │
├───────┬─────────────────────────────┤
│창직 추구형 │- 구직 준비행동과 적극적 구직행동을 하는 비중이 가장 높음 │
│(64.27%) │- 성별에 있어 남성의 비중이 높음 │
│ │- 정부 지원 정책으로 창업과 자영업 지원 정책을 원함 │
├───────┴─────────────────────────────┤
│→ 창직추구형 집단의 경우 장기 근속한 도시의 사무직 직종 남성 노동자의 모 │
│습으로서, 다양한 사회관계망을 통해 구직준비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며, 정│
│부의 지원 정책에 있어서도 창업과 자영업 지원 정책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남 │
├───────┬─────────────────────────────┤
│활동 추구형 │- 자아존중감이 높다 응답한 비중이 65.17%로 집단 중 가장 높│
│(11.04%) │음 │
│ │- 집단 중 생활비 부족을 가장 적게 경험함 │
│ │- 다른 집단 대비 학력 수준이 높음 │
│ │- 50+캠퍼스권역 중 북부 및 중부 지역 거주자들의 비중이 높 │
│ │음 │
│ │- 생애 주된 일자리 퇴직 이후 재취업이 아닌 노동시장 은퇴 │
│ │및 휴식을 원하는 비중이 높음 │
├───────┴─────────────────────────────┤
│→ 활동추구형 집단은 주된 일자리의 전문성이 가장 높은 집단으로 타 집단에 │
│비해 학력 수준이 높고, 생활비 부족을 적게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남→ 활동추 │
│구형 집단은 주된 일자리 퇴직 이후, 가교 일자리에 대한 욕구가 다른 집단에 │
│비해 상대적으로 낮으며, 노동시장 은퇴 또는 사회공헌 활동을 원하는 비중이 │
│높음 │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