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국무부 동아태 부차관보에 한국계 대북전문가 정 박(종합2보)
입력
수정
트위터에 "국무부 합류" 밝혀…CIA 등 정보당국서 오래 근무
바이든 인수위서 활동…최근 문재인 정부 대북정책 정면 비판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인수위원회에 참여했던 한국계 대북전문가 정 박(한국명 박정현)이 동아시아태평양 부차관보로 국무부에 합류한다고 밝혔다. 정 박은 26일(현지시간) 트위터에 글을 올려 "동아태부차관보로 국무부에 합류하게 됐다는 걸 발표하게 돼 기쁘다"면서 "미국 국민에 다시 봉사할 수 있게 돼 영광"이라고 전했다.
미 국무부 동아태국은 동아시아 지역 외교를 총괄하는 부서다.
주한미국대사와 대북정책특별대표, 동아태 부차관보를 지낸 성 김이 현재 동아태 차관보 대행에 지명돼 있다. 미 정보당국에서 오랜 기간 동아시아 지역을 담당했던 경험이 부차관보 발탁 배경으로 보인다.
그는 미 국가정보국(DNI) 동아시아 담당 부정보관, 중앙정보국(CIA) 동아태미션센터 국장 등을 역임했다.
북한을 포함해 한반도 전문가로 활동한 이력도 발탁에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그는 2017년 9월부터는 미 싱크탱크 브루킹스연구소 한국석좌를 지냈다.
그는 바이든 인수위원회가 지난해 대선 승리 직후 구성한 정보당국 기관검토팀 23명의 명단에 이름을 올린 바 있다.
이 때문에 국무부나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고위직에 발탁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미 외교전문지 포린폴리시도 바이든 대통령 당선에 앞서 바이든에게 동아시아 외교전략을 조언하는 인사로 일라이 라트너 신미국안보센터(CNAS) 부센터장과 정 박을 꼽으며 요직 기용 가능성을 내다본 바 있다.
박 부차관보는 한반도 전문가로 활동하면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비핵화 의지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을 보이는 한편 문재인 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해서도 비판적인 입장을 여러 차례 공개적으로 밝힌 바 있다.
그는 지난 22일 브루킹스연구소 홈페이지에 '한국 민주주의에 드리운 북한의 긴 그림자'라는 제목의 기고문을 싣고 문 대통령의 대북정책을 정면으로 비판하기도 했다.
부차관보는 상원 인준이 필요한 자리는 아니다.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이 이날 상원 인준을 받고 곧바로 취임한 만큼 대북정책을 별도로 담당할 직책 마련 여부를 포함해 관련 업무 분장을 조만간 마무리할 것으로 보인다.
버락 오바마 행정부에는 대북정책특별대표가 따로 있었고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에서는 대북특별대표를 맡았던 스티븐 비건이 국무부 부장관으로 승진하면서 대북특별대표직을 겸했다.
성 김 대행이 동아태 차관보에 지명될지도 관심이다.
상원 인준이 필요한 자리로 이렇게 되면 동아태 차관보와 부차관보가 둘 다 한국계가 되는 셈이다.
앞서 바이든 대통령은 당선인 시절 국무부 대북정책조정관을 지낸 웬디 셔먼을 국무부 이인자인 부장관에 지명했다. 인도태평양 전략을 총괄하는 백악관 조정관에는 동아태차관보를 지낸 커트 캠벨이 낙점되는 등 한반도 사안에 밝은 인사들이 속속 요직을 맡았다.
/연합뉴스
바이든 인수위서 활동…최근 문재인 정부 대북정책 정면 비판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인수위원회에 참여했던 한국계 대북전문가 정 박(한국명 박정현)이 동아시아태평양 부차관보로 국무부에 합류한다고 밝혔다. 정 박은 26일(현지시간) 트위터에 글을 올려 "동아태부차관보로 국무부에 합류하게 됐다는 걸 발표하게 돼 기쁘다"면서 "미국 국민에 다시 봉사할 수 있게 돼 영광"이라고 전했다.
미 국무부 동아태국은 동아시아 지역 외교를 총괄하는 부서다.
주한미국대사와 대북정책특별대표, 동아태 부차관보를 지낸 성 김이 현재 동아태 차관보 대행에 지명돼 있다. 미 정보당국에서 오랜 기간 동아시아 지역을 담당했던 경험이 부차관보 발탁 배경으로 보인다.
그는 미 국가정보국(DNI) 동아시아 담당 부정보관, 중앙정보국(CIA) 동아태미션센터 국장 등을 역임했다.
북한을 포함해 한반도 전문가로 활동한 이력도 발탁에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그는 2017년 9월부터는 미 싱크탱크 브루킹스연구소 한국석좌를 지냈다.
그는 바이든 인수위원회가 지난해 대선 승리 직후 구성한 정보당국 기관검토팀 23명의 명단에 이름을 올린 바 있다.
이 때문에 국무부나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고위직에 발탁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미 외교전문지 포린폴리시도 바이든 대통령 당선에 앞서 바이든에게 동아시아 외교전략을 조언하는 인사로 일라이 라트너 신미국안보센터(CNAS) 부센터장과 정 박을 꼽으며 요직 기용 가능성을 내다본 바 있다.
박 부차관보는 한반도 전문가로 활동하면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비핵화 의지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을 보이는 한편 문재인 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해서도 비판적인 입장을 여러 차례 공개적으로 밝힌 바 있다.
그는 지난 22일 브루킹스연구소 홈페이지에 '한국 민주주의에 드리운 북한의 긴 그림자'라는 제목의 기고문을 싣고 문 대통령의 대북정책을 정면으로 비판하기도 했다.
부차관보는 상원 인준이 필요한 자리는 아니다.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이 이날 상원 인준을 받고 곧바로 취임한 만큼 대북정책을 별도로 담당할 직책 마련 여부를 포함해 관련 업무 분장을 조만간 마무리할 것으로 보인다.
버락 오바마 행정부에는 대북정책특별대표가 따로 있었고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에서는 대북특별대표를 맡았던 스티븐 비건이 국무부 부장관으로 승진하면서 대북특별대표직을 겸했다.
성 김 대행이 동아태 차관보에 지명될지도 관심이다.
상원 인준이 필요한 자리로 이렇게 되면 동아태 차관보와 부차관보가 둘 다 한국계가 되는 셈이다.
앞서 바이든 대통령은 당선인 시절 국무부 대북정책조정관을 지낸 웬디 셔먼을 국무부 이인자인 부장관에 지명했다. 인도태평양 전략을 총괄하는 백악관 조정관에는 동아태차관보를 지낸 커트 캠벨이 낙점되는 등 한반도 사안에 밝은 인사들이 속속 요직을 맡았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