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초·중·고 AI 수업 확대…산·학·연 생태계 구축 마중물 되겠다"
입력
수정
지면A10
한경 밀레니엄포럼“인공지능(AI)을 활용해 좋은 신소재를 빨리 찾을 수 있고 기존 약품을 새로운 곳에 적용하는 약물 재창출도 가능합니다. 정부가 AI와 산업 각 분야를 결합한 ‘AI+X(트랜스포메이션)’를 확산하는 마중물 역할을 하려고 합니다.”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27일 온라인으로 열린 제188차 한경 밀레니엄포럼에서 AI를 기존 산업과 융합하는 AI+X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같이 말했다. 최 장관은 “AI 기술력은 선도국인 미국 중국에 비해 취약하다”면서도 “높은 인적 수준과 반도체산업 강국이라는 강점을 살리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AI 기술을 산업과 결합한 융합 프로젝트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최 장관은 “AI를 도입해 의료 서비스를 고도화하고 에너지를 효율화하는 등 7대 프로젝트를 작년부터 정부 주도로 추진하고 있다”며 “중소벤처기업도 AI를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바우처를 지급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다음은 최 장관과 토론자들의 일문일답.
작년부터 디지털 뉴딜 위해 '데이터댐' 사업 시작
중소벤처기업도 AI 활용할 수 있게 바우처 지급
끝장토론 통해 규제 해소·갈등 조정 적극 나설 것
▷김진형 KAIST 명예교수 겸 중앙대 석좌교수=AI 국가전략의 총론은 매우 훌륭하다고 생각하지만 각론에 들어가면 문제가 보인다. 데이터댐 사업이 대표적이다. 지금과 같은 방식으로는 기업들이 현장에서 쓸 수 있는 좋은 데이터를 모으기 어렵다고 본다.
▷최 장관=데이터댐 사업은 이미 상당히 많은 일자리를 창출했다는 점에서 성공적이다. 단순한 일자리가 아니라 미래 산업의 기반을 마련해 주는 일자리다. 데이터 품질에도 신경을 많이 쓰고 있다. 수요 기업과 함께 데이터를 구축해 피드백을 주면 사후서비스도 하고 있다. 이 같은 작업이 반복되면 데이터의 품질도 더 좋아질 것이다.
▷김 교수=2018년부터 초·중·고교에서 코딩 교육을 도입했다. 중학교는 34시간을 교육해야 하는데 시수(교육시간)가 적다 보니 학교에서 정규교사 1명을 온전히 채용할 수 없다. 교사 한 명이 여러 학교를 돌아다니다 보니 품질 관리가 쉽지 않다. 이 와중에 AI 교과목을 따로 도입하려는 움직임도 있다. AI 과목을 포함한 정보교육체계를 확립할 필요가 있다.▷최 장관=초·중학교에서 컴퓨팅 사고를 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게 중요하다. 어린 학생들이 재미를 붙여 자발적으로 공부하도록 해야 한다. 정보교육 시수를 늘리는 것은 교육부와 협의하고 있다. 모든 교사가 소프트웨어와 AI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필수과목으로 지정할 계획이다. 대학 입시에 선택과목으로 소프트웨어 과목을 넣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다.
▷배경훈 LG AI연구원장=AI 인재 전쟁이 가속화하고 있다. 국내 주요 대학원에 AI대학원을 설치해 인재를 양성하고 있지만 해외로 더 많이 빠져나가고 있다. 프랑스는 AI 인재 확보와 활용에 들어가는 인건비 일부를 정부가 보조하고 스위스는 AI 연구소를 세우면 기업에 세제 혜택을 주는 등 인재를 자국으로 유치하려는 노력을 국가적으로 하고 있다.
▷최 장관=정부도 많은 고민을 하고 있다. 지난해 AI 관련 학과 교수의 기업 겸직을 허용하도록 제도를 바꿨다. 서울대는 이런 방식으로 AI 인재를 채용하고 있다. 정부는 법제 정비 노력을 하고 있다. 일부는 대학과 기업의 몫이라고 생각한다. 함께 고민해 개선해나갔으면 한다. 정부가 보조금을 제공하는 건 또 다른 어려움이 있을 것 같다. 앞으로 살펴보겠다.▷배 원장=AI를 발전시키기 위해선 데이터 못지않게 컴퓨팅 자원이 중요하다. 특히 오픈AI의 GPT-3 같은 인공신경망 활용을 위해선 어마어마한 컴퓨팅 자원이 필요하다. 국가 주도적으로 기업 참여를 유도해 인프라를 구축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최 장관=크고 작은 기업과 정부출연연구소, 대학 등을 네트워크로 엮어 일종의 가상 허브 역할을 하는 연구소를 두면 어떨까 고민 중이다. 정부가 나서서 큰 AI 시스템과 좋은 컴퓨팅 자원을 갖추고 누구나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민간이 연구를 주도할 수 있도록 정부가 마중물 역할을 하겠다.
▷장병탁 서울대 AI연구원장=현장의 가장 큰 어려움은 인력 부족이다. 일단 절대적인 인력이 늘어야 하는데 대학의 관련 학과 입학정원이 제한돼 있어 한계가 있다.▷최 장관=인력 부족을 절감하고 있다. 기업들이 우선 바우처 제도를 잘 활용하면 어떨까 싶다. 입학정원 증원 문제도 노력 중이다. 서울대는 연합전공을 활성화하는 방식으로 어려움을 해결하고 있다. 컴퓨터 전공자뿐만 아니라 다른 전공자를 활용하면 새로운 융합이 나올 수도 있다. 기업과 대학, 정부가 모두 같이 협력해야 한다.
▷이동근 현대경제연구원장=AI 기술을 민간이 주도할 수 있도록 여러 규제를 풀어주는 게 정부의 역할이라고 본다. AI와 관련된 산업의 육성이 개인정보보호 문제와 충돌이 생길 수 있는데 이런 갈등을 정부가 적극 조정해야 한다.
▷최 장관=원격의료와 같은 분야는 산업 발전이 필요하지만 기득권을 가진 사람들과의 충돌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쉽진 않지만 균형을 잘 지켜가면서 조정하려고 한다. 해커톤(끝장 토론) 등을 통해 접점을 찾을 수 있도록 하겠다.
이승우/김진원/이시은/최한종 기자 leesw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