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중 '진짜 5G 통신' 터진다

KT, 단독모드 시범 서비스
SKT·LGU+도 준비 마쳐
단말·서비스 생태계 마련 시급
이르면 올 상반기 ‘진짜 5세대(5G) 이동통신’으로 통하는 5G 단독모드(SA)를 이용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통신사들이 속속 5G SA 상용화 채비를 마무리하고 있다.

KT는 상용망에서 5G SA 시범 서비스를 시작했다고 27일 발표했다. 시범 서비스는 임직원이 참여해 KT 주요 사옥과 도심 지역에서 한다. 5G SA 정식 서비스 전 마지막 품질 검사다.현재 통신 3사는 5G 서비스를 3.5㎓ 대역에서 LTE와 5G 망을 혼용하는 ‘5G 비단독모드’(NSA)로 제공하고 있다. NSA는 데이터 전송은 5G망, 제어 측면은 LTE망을 이용한다. 반면 SA는 데이터와 제어 모두 5G망으로 처리한다. NSA 방식에 비해 지연시간 감소, 배터리 소모량 절감 등이 가능해진다.

이번 시범 서비스에서 KT는 통신 서비스의 안정성을 시험한다. 진화한 패킷 시스템 폴백 기술에 자체 개발한 특허 기술을 적용하는 방식이다. KT의 특허기술은 5G와 LTE 간 원활한 신호처리를 기반으로 묵음없는 음성 서비스를 가능하게 한다.

KT를 비롯해 통신사들은 5G SA 도입을 위한 준비를 속속 마치고 있다. SK텔레콤은 지난달 부산지역 5G 상용망에서 5G SA 통신을 구현하며 상용 서비스 준비를 마쳤다.LG유플러스도 이동통신 기지국과 코어 장비, 유선망 구간에서 활용 가능한 네트워크 슬라이싱 기능(용도별 주파수 분리)을 개발했다. 지난 11월에는 어디서든 이용할 수 있는 컨테이너 기반 5G 코어 장비(이동교환기·패킷교환기) 시험을 마쳤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이르면 상반기를 목표로 SA를 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5G SA를 적용할 수 있는 단말과 관련 서비스 등 생태계 마련이 우선이라는 게 통신사의 입장이다. 서비스 측면에서는 5G SA가 가진 저지연 효과를 누릴 수 있는 스마트팩토리, 원격의료 등 서비스가 나와야 한다는 뜻이다. 이 때문에 예상보다 SA 도입이 늦어질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통신사들은 지난해 SA 상용화를 계획했지만 코로나19 등을 이유로 미뤘다.

28GHz 대역 상용화는 올해 안에는 어려울 전망이다. 이 대역이 상용화되면 LTE보다 20배 빠른 5G가 가능해진다. 통신사들은 이 대역을 기업간 거래(B2B) 서비스용으로 사용하려는 계획인데, 아직 비즈니스 모델이 구축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상용화가 늦어지고 있다.

홍윤정 기자 yj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