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각무역으로 어떻게 큰 이윤을 남길 수 있었을까
입력
수정
지면S3
경제사 이야기영화 <캐리비안의 해적> 시리즈에서 해적선 블랙펄호의 선장 잭 스패로는 늘 술에 절어서 산다. 조니 뎁이 연기한 스패로는 흐리멍텅한 눈에 흐느적대며 걷다 가도 상황이 바뀌면 잽싸게 달려가는 유쾌한 인물이다. 스패로 같은 해적과 떼려야 뗄 수 없는 술이 바로 럼이다. 럼의 별칭이 ‘해적의 술’ ‘선원의 술’이기도 하다. 사탕수수로 설탕을 만들고 남은 찌꺼기인 당밀을 발효해 증류시켜 만든 게 럼이다. 럼은 위스키, 보드카 같은 증류주답게 무척 독하다. 알코올 도수가 최하 40도다. 럼의 색깔은 투명한 것부터 짙은 갈색까지 다양한데, 오크통에 넣어 숙성시키는 기간과 럼에 캐러멜을 섞는 정도에 따라 색이 달라진다.
보이는 경제 세계사
(20) 캐리비안 해적의 술, 럼
‘악마의 창조물’ 설탕과 노예무역
럼에 대해 말하다 보면 설탕의 역사를 돌아보지 않을 수 없다. 지금은 커피나 홍차에 설탕을 넣어 마시는 게 자연스럽지만 근대 초기까지도 설탕은 비싸고 귀한 상류층의 사치품이었다. 설탕은 17세기 초 포르투갈 선교사가 중국의 차를 네덜란드에 전하며 유럽으로 퍼졌다. 홍차에 설탕을 넣어 마시는 차 문화가 만개한 곳은 영국인데, 1662년 포르투갈의 캐서린 공주가 영국의 왕 찰스 2세와 결혼한 이후 널리 퍼졌다. 18세기에 영국이 해양 패권을 장악하면서 인도 등 동인도산 홍차와 카리브해의 서인도산 설탕이 대거 유입됐다. 신대륙에서 설탕이 들어온 뒤 홍차에 설탕을 넣어 마시는 것이 산업혁명 이후 중산층에도 퍼졌다.유럽인이 설탕을 처음 접한 것은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동방원정 때다. 그의 군대가 인도에서 단맛이 나는 식물인 사탕수수를 발견해 가져왔지만, 유럽에는 재배할 곳이 없었다. 카라반을 통해 인도에서 조금씩 운반해왔지만 설탕은 부르는 게 값이었다. 베네치아는 중세 이후 설탕 교역을 독점해 500년간 번영을 누렸다. 대항해시대가 열리자 포르투갈의 바스쿠 다 가마가 인도양 항로를 개척해 설탕을 직접 들여왔다. 리스본의 설탕값이 베네치아의 절반으로 떨어졌는데도 여전히 비쌌다.선대의 사치품은 후대의 필수품이 된다. 단맛에 길든 유럽인들은 사탕수수를 직접 재배해 설탕을 구하는 방안을 강구했다. 먼저 아프리카 연안 섬에 사탕수수 플랜테이션을 만들었다. 신대륙 발견은 설탕산업의 전환점이 됐다. 1493년에는 콜럼버스의 신대륙 항해 때 카나리아제도에서 가져간 사탕수수를 도미니카에 심었다. 기후가 비슷한 카리브해 일대와 브라질, 기아나 등지로 빠르게 확산됐다.
문제는 플랜테이션 운영에 엄청난 노동력이 들어가는 점이었다. 사탕수수를 베어내 운반하고, 자르고 끓여서 설탕을 추출하고, 땔감을 확보하는 등의 일을 모두 사람이 해야 했다. 초기에는 신대륙 원주민을 동원했지만 각종 질병에 취약했다. 그 대안으로 아프리카 흑인 노예를 투입했다. 이렇게 대항해, 신대륙 발견, 플랜테이션, 설탕 수요가 복합적으로 만들어낸 것이 삼각무역이다.삼각무역은 본래 세 지역 또는 세 국가 간 교역을 뜻하지만 16~18세기에 성행한 대서양 일대의 노예 및 설탕 무역을 가리킨다. 유럽의 무기와 화약, 의류 등을 아프리카의 노예와 교환하고 노예를 실어다 신대륙에 넘긴 뒤 설탕·럼·담배·은 등을 가져오는 것이었다. 그만큼 노예 수요도 늘어 노예 무역이 유럽의 짭짤한 수입원이 됐다. 이 시기에 신대륙으로 강제 이송된 흑인 노예가 1500만 명으로 추산된다.
럼은 미국 독립과도 관련이 있다. 미국 식민지인들도 럼을 대량 생산해 아프리카로 가져와 흑인 노예를 산 뒤 서인도제도에 팔고, 럼의 원료인 당밀을 들여오는 삼각무역으로 재미를 봤다. 그 덕에 뉴욕 보스턴 볼티모어 등이 번창해 본국을 능가하는 수준이 되자 영국은 당밀법과 설탕법을 제정해 럼 생산을 규제했다. 이런 갈등이 쌓여 독립전쟁의 불씨가 됐다. 프랑스는 나폴레옹전쟁 때 8년간 대륙봉쇄와 영국의 해상봉쇄로 설탕 공급이 막혔다. 하지만 사탕무에서 설탕을 추출하는 기술이 개발돼 전화위복이 됐다. 유럽에서도 재배되는 사탕무는 사탕수수의 독점적 지위를 무너뜨렸고, 설탕의 대중화를 앞당겼다.
사탕무는 노예무역도 종식시켰다. 1803년 덴마크를 시작으로 노예무역이 잇따라 금지됐는데 이는 사탕무라는 대체재가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영국이 실질적으로 노예제를 끝낸 것은 1838년이고, 프랑스도 1848년 노예제를 없앴다. 미국은 남북전쟁 끝에 1864년 노예를 해방시켰다.
해군의 보급품, 해적의 필수품
항해의 필수품이었던 럼은 대서양 무역에서 특히 중요했다. 장거리 항해에서 가장 큰 문제는 식수였는데 덥고 습한 바다에서 나무통에 담긴 물은 썩기 일쑤였다. 오염된 식수는 질병을 유발했다. 그래서 식수로 물 대신 술을 이용했다. 그러나 맥주, 와인 같은 저도주는 항해가 길어지면 상하긴 마찬가지였다. 독한 위스키나 브랜디는 비싼 게 흠이었다. 그런 와중에 싸고 오래 가는 럼이 등장했으니 모두가 환영할 만했다. 영화 <캐러비안의 해적>에 해적들이 수시로 럼을 마시는 장면이 나온다. 이들이 거칠고 난폭한 탓도 있지만, 선상에서 갈증을 해소하는 데 꼭 필요했기 때문이다.장거리 항해의 식수 문제는 19세기 초 철제 물 탱크가 보급되면서 해소됐다. 그러나 배에 럼을 싣던 관행은 쉽게 사라지지 않았다. 영국 해군이 럼을 지급하던 관행을 폐지한 것은 1970년에 이르러서다. 럼은 근대 항해사가 녹아 있는 술이다. 설탕에서 럼이 나왔고, 럼에 의해 설탕의 대중화도 빨라졌다. 달콤한 설탕과 거칠고 독한 럼이 유럽의 화려한 근대문화의 바탕이 되었다는 점은 역사의 아이러니다. 오형규 한국경제신문 논설실장
NIE 포인트
① 유럽에 막대한 부를 가져다주었던 삼각무역과 노예무역이 19세기에 중단된 이유는 무엇일까.② 아메리카 대륙에 속한 카리브해 연안을 ‘서(西)인도’라고 부르는 것은 왜일까.③ 상당수 국가들이 설탕세(稅)를 부과하며 사용을 억제하는 등 설탕이 비만의 주범으로 비판당하는 이유는 무엇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