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안보보좌관 "쿼드는 인도태평양 정책의 토대…더 발전시킬 것"
입력
수정
미·일·호주·인도의 대중국 견제 협의체…'쿼드 중시' 트럼프 기조 이어갈듯
쿼드 확대시 한국도 대상에 종종 거론…미중갈등서 외교적 고민 커질 수도 제이크 설리번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29일(현지시간) 일본, 호주, 인도와의 4개국 협의체인 '쿼드'(Quad)가 인도·태평양 정책의 토대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조 바이든 행정부가 중국 견제를 외교정책의 최우선순위에 두고 이를 위해 동맹과 협력을 강화하겠다는 입장을 꾸준히 밝힌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때 출범한 '쿼드'를 계승·발전시키겠다는 의지를 담은 것으로 해석된다.
설리번 안보보좌관은 이날 미국평화연구소(USIP)가 주최한 화상 세미나에 나와 쿼드를 거론하며 "우리는 정말로 그 형식과 메커니즘을 넘겨받아 더 발전시키고 싶다"고 밝혔다.
또 쿼드에 대해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실질적 미국 정책을 발전시킬 근본적인 토대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설리번 보좌관은 이어 이스라엘과 일부 중동국가 간 외교를 정상화한 트럼프 행정부의 '에이브러햄 협정'을 쿼드와 함께 이어갈 정책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에이브러햄 협정과 쿼드의 경우 바이든 행정부에서도 연속성을 이어가며 이를 강화하고 활기를 불어넣기 위해 이전 정부가 취하지 않은 조처를 할 것이라고도 밝혔다.
쿼드는 미국의 전통적 동맹인 일본, 호주에다 비동맹국 지위를 고수하던 인도가 합류해 구성된 협의체로, 중국 견제용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쿼드 4개국 외교 장관은 트럼프 행정부 때인 2019년 미국 뉴욕에서 첫 회의를 열었다.
또 지난해 10월 일본에서 두 번째 회의를 열고 동중국해와 남중국해의 정세를 주요 의제로 논의한 뒤 인도·태평양이 자유롭고 열린 공간으로 유지돼야 한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다분히 중국을 겨냥한 내용이다. 설리번 보좌관의 이날 발언은 바이든 행정부가 트럼프 전 대통령의 '미국 우선주의' 외교노선과 결별을 선언했지만, 쿼드 협의체는 트럼프 행정부의 긍정적 유산으로 발전시키겠다는 의지를 담은 것으로 여겨진다.
또 기존 4개국 외에 주변 동맹국을 추가로 규합할 수 있다는 의향을 드러낸 것 아니냐는 해석을 낳을 수 있다. 과거 트럼프 행정부 고위 인사들은 쿼드를 확대한 '쿼드 플러스' 의지를 누차 드러냈고, 한국이 대상국에 포함될 수 있다는 관측을 낳았다.
특히 스티븐 비건 전 국무부 부장관은 미국과 유럽의 연합방위 체제인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를 본떠 인도·태평양판 다자 안보틀로 '쿼드 플러스'를 구축할 필요성을 시사하는 발언까지 한 바 있다.
미중 갈등이 첨예한 와중에 한국은 그동안 쿼드 참여 요청을 받은 적이 없다며 거리를 두는 듯한 태도를 보였지만, 바이든 행정부에서도 쿼드 확대를 둘러싸고 비슷한 고민에 노출될 개연성이 있어 보인다.
실제로 스가 요시히로 일본 총리는 지난 28일 바이든 대통령과 통화 후 일본, 미국, 호주, 인도 간 협력을 추가로 증진하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고 전했다. 이는 쿼드 협의체 중시가 단지 설리번 보좌관의 개인 생각인 것이 아니라, 바이든 대통령 역시 동의하는 지점이라는 말로 볼수도 있다.
/연합뉴스
쿼드 확대시 한국도 대상에 종종 거론…미중갈등서 외교적 고민 커질 수도 제이크 설리번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29일(현지시간) 일본, 호주, 인도와의 4개국 협의체인 '쿼드'(Quad)가 인도·태평양 정책의 토대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조 바이든 행정부가 중국 견제를 외교정책의 최우선순위에 두고 이를 위해 동맹과 협력을 강화하겠다는 입장을 꾸준히 밝힌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때 출범한 '쿼드'를 계승·발전시키겠다는 의지를 담은 것으로 해석된다.
설리번 안보보좌관은 이날 미국평화연구소(USIP)가 주최한 화상 세미나에 나와 쿼드를 거론하며 "우리는 정말로 그 형식과 메커니즘을 넘겨받아 더 발전시키고 싶다"고 밝혔다.
또 쿼드에 대해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실질적 미국 정책을 발전시킬 근본적인 토대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설리번 보좌관은 이어 이스라엘과 일부 중동국가 간 외교를 정상화한 트럼프 행정부의 '에이브러햄 협정'을 쿼드와 함께 이어갈 정책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에이브러햄 협정과 쿼드의 경우 바이든 행정부에서도 연속성을 이어가며 이를 강화하고 활기를 불어넣기 위해 이전 정부가 취하지 않은 조처를 할 것이라고도 밝혔다.
쿼드는 미국의 전통적 동맹인 일본, 호주에다 비동맹국 지위를 고수하던 인도가 합류해 구성된 협의체로, 중국 견제용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쿼드 4개국 외교 장관은 트럼프 행정부 때인 2019년 미국 뉴욕에서 첫 회의를 열었다.
또 지난해 10월 일본에서 두 번째 회의를 열고 동중국해와 남중국해의 정세를 주요 의제로 논의한 뒤 인도·태평양이 자유롭고 열린 공간으로 유지돼야 한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다분히 중국을 겨냥한 내용이다. 설리번 보좌관의 이날 발언은 바이든 행정부가 트럼프 전 대통령의 '미국 우선주의' 외교노선과 결별을 선언했지만, 쿼드 협의체는 트럼프 행정부의 긍정적 유산으로 발전시키겠다는 의지를 담은 것으로 여겨진다.
또 기존 4개국 외에 주변 동맹국을 추가로 규합할 수 있다는 의향을 드러낸 것 아니냐는 해석을 낳을 수 있다. 과거 트럼프 행정부 고위 인사들은 쿼드를 확대한 '쿼드 플러스' 의지를 누차 드러냈고, 한국이 대상국에 포함될 수 있다는 관측을 낳았다.
특히 스티븐 비건 전 국무부 부장관은 미국과 유럽의 연합방위 체제인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를 본떠 인도·태평양판 다자 안보틀로 '쿼드 플러스'를 구축할 필요성을 시사하는 발언까지 한 바 있다.
미중 갈등이 첨예한 와중에 한국은 그동안 쿼드 참여 요청을 받은 적이 없다며 거리를 두는 듯한 태도를 보였지만, 바이든 행정부에서도 쿼드 확대를 둘러싸고 비슷한 고민에 노출될 개연성이 있어 보인다.
실제로 스가 요시히로 일본 총리는 지난 28일 바이든 대통령과 통화 후 일본, 미국, 호주, 인도 간 협력을 추가로 증진하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고 전했다. 이는 쿼드 협의체 중시가 단지 설리번 보좌관의 개인 생각인 것이 아니라, 바이든 대통령 역시 동의하는 지점이라는 말로 볼수도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