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런 버핏도 투자한 스노플레이크, 데이터 공유플랫폼 진화에 주목해야
입력
수정
지면A18
애널리스트 View작년 한 해 미국 기업공개(IPO) 시장이 뜨거웠다. 그중 가장 주목받은 기업은 스노플레이크(Snowflake)인데, 특히 작년 9월 IPO 당시 워런 버핏이 투자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한국 투자자에게도 유명해진 기업이다.
한주기 삼성증권 선임연구원

예를 들어 전통 데이터 웨어하우스 아키텍처와 달리 스토리지와 컴퓨팅을 분리시켜 성능을 크게 개선시켰고, 이를 기반으로 비용 구조도 최적화시키는 데 성공했다.
스노플레이크가 데이터 공유 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다는 점에도 주목해야 한다. 이제 데이터도 사고파는 시대다. 그렇다면 수요자와 공급자를 연결시켜 줄 중개인이 필요하다는 뜻이다. 스노플레이크는 2019년 ‘데이터 익스체인지(Data Exchange)’를 출시하며 데이터 공유 플랫폼으로 진화하기 시작했다.이제 어떤 기업이든 가치 있는 데이터만 보유하고 있다면 스노플레이크의 데이터 마켓플레이스를 통해 시장에 내다 팔 수 있게 됐다. 수요자로서도 필요한 데이터를 손쉽게 구매해 경영에 필요한 인사이트를 도출할 수 있어 이득이다. 데이터 공유는 모두가 윈윈하는 구조다. 스노플레이크의 데이터 공유 플랫폼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다.
마지막으로 스노플레이크의 중립적인 포지션이 곧 경쟁력임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스노플레이크와 글로벌 클라우드 업체들(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구글)은 경쟁사인 동시에 파트너다. 3사 역시 경쟁 데이터베이스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반면 스노플레이크의 서비스는 3사의 클라우드 인프라에서 구동돼 협력 관계이기도 하다. 중요한 점은 기업 고객이 단일 클라우드 플랫폼에 종속되는 것을 꺼리는 까닭에 멀티 클라우드가 대세가 되고 있어, 각 클라우드 플랫폼의 데이터베이스 허브로 작용할 수 있는 스노플레이크가 3사 대비 유리한 구조가 된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