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한은 이양하고 무한 책임지는 게 '슈퍼 리더십'"
입력
수정
지면A32
김병호 前 하나금융지주 부회장“최고경영자(CEO)는 확실한 성공 계획을 제시해야 합니다. 권한은 최대한 이양하고, 책임은 무한대로 지는 게 ‘슈퍼 리더십’입니다.”
리더십 책 '황금률을 버려라' 펴내
김병호 전 하나금융지주 부회장(사진)은 1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금융업의 급격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선 직원, 세상과 소통하는 리더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이같이 말했다.그는 30여 년을 하나금융에 몸담다가 하나은행장을 거쳐 2018년 지주 부회장을 끝으로 일선에서 물러났다. SK(주) 사외이사와 국제금융공사(IFC) 고문직을 맡고 있다. 김 전 부회장은 리더의 덕목과 자질에 대한 이야기를 담은 책 《황금률을 버려라》(한국경제신문i)를 최근 펴냈다. 그는 책의 내용에 대해 “후배들에 대한 조언이라기보다는 CEO 시절의 경험을 담은 ‘통렬한 자기 반성문’”이라고 했다.
김 전 부회장은 “금융업의 변동에 적응하려면 조직이 민첩성과 회복력을 갖춰야 한다”며 “직원 각자가 셀프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유연한 조직문화를 조성하는 게 리더의 역할”이라고 했다. 그는 리더십의 방향으로 ‘다극화된 집중’이라는 언뜻 모순된 이야기를 꺼냈다. 리더는 조직의 목표와 문화를 만드는 데 집중하고, 권한은 직원들에게 최대한 이양하라는 의미다. 그래서 책의 제목처럼 ‘예전 방식의 황금률’은 버릴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김 전 부회장은 “네가 바라는 대로 남을 대접하라는 황금률은 리더의 이기적인 소통방식이 될 수 있다”며 “리더는 귀를 열어야 한다”고 했다. 조직 변화를 위한 ‘골든 타임 6개월’도 강조했다. 김 전 부회장은 “새로 조직원이 된 사람이 기존 문화를 체화하거나, 이탈하는 데까지 걸리는 시간이 6개월”이라며 “참신한 시각을 갖고 있는 이들에게 엉뚱하고, 기발한 아이디어를 얻어 조직에 적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제이미 다이먼 JP모간 회장, 워런 버핏 벅셔 해서웨이 회장의 예를 들며 ‘주주서한’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그는 “국내 기업도 주주서한을 통해 주주 및 이해관계자와의 소통 수준을 높여야 한다”고 했다. 그는 후배들에게 “국내 금융사들이 해외 진출을 위해선 본사부터 외국인 영입에 공을 들이는 등 환경을 갖추는 게 우선”이라고 당부했다.
김대훈 기자 daep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