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넥슨의 파격 임금인상…기업활동 돕는 게 최고 복지정책

신입사원(개발 직군) 연봉을 국내 최고 수준인 5000만원으로 올리기로 결정한 넥슨코리아의 파격 행보는 기업의 힘을 새삼 돌아보게 한다. 신입 연봉 5000만원은 대기업 평균(3347만원)보다 50%나 높고, ‘초일류’ 삼성전자(4676만원)보다도 많은 수준이다. 기존 직원들의 연봉도 일괄해서 800만원씩 오른다.

연봉 인상과 함께 내놓은 다양한 상생형 사회공헌 방안도 주목 대상이다. 넥슨은 초등학생 코딩교육 플랫폼과 어린이병원 건립을 지원하고, 직원들과 함께하는 기부캠페인도 발표했다. 또 지난 2년간 중단했던 신입·경력 공채도 재개하기로 했다. 넥슨은 게임업계 선두주자라지만 ‘대기업’과는 거리가 먼 회사다. 그런데도 직원을 국내 최고로 대우하고 과감한 사회공헌에 나서는 파격 행보가 가능한 것은 게임업계 최초로 매출 3조원을 돌파(추정)하고 사상 최대 이익을 내는 실적 덕분이다.초일류로 도약하기 위한 방안을 고민한 끝에 “연봉을 올리는 게 최고의 격려라는 결론을 내렸다”는 이정헌 넥슨코리아 대표의 말은 많은 점을 일깨운다. 설립 20여 년에 불과한 기업도 하기에 따라서는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같은 양질의 일자리와 직원복지, 사회후생에 기여하는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시켰다. 기업이 잘되면 고용시장에 온기가 돌고 사회 복지까지도 업그레이드되는 선순환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입증한 것이다. 결국 “기업을 지원하는 게 최고의 복지정책”이라는 당연한 명제에 이르게 된다.

문제는 정부 정책이 거꾸로 가고 있다는 점이다. 기업을 ‘적폐’로까지 모는 사회 분위기가 확산일로다. 청와대 핵심 경제참모가 “기업 기 살리자는 주장이 개탄스럽다”고 했을 정도다. 이런 인식으로 정책을 세우다보니 게임산업 종주국이 ‘금지의 덫’에 걸려 어느새 중국 눈치를 보는 신세로 전락하고 말았다. 게임이 4차 산업혁명 기술이 집약된 융합콘텐츠라는 장점을 무시하고 부작용에만 집착하는 이분법적 편견 탓이다.

선순환을 외면한 결과 기업이 해외로 빠져나가고 외국인 직접투자도 갈수록 위축되고 있다. 정부는 지금도 툭하면 기부금을 달라고 손을 벌린다. 그렇게 마련한 돈으로 퍼주기하며 생색내는 대열에 야당까지 가세했다. 기업을 적폐로 몰고 친노조 편향을 노골화하다 보니 ‘정치리스크가 기업경영의 최대 위협’이라는 말까지 나온다. 온갖 공짜복지가 아니라 기업을 뛰게 해 생산적 복지구조를 만드는 게 최우선 정책이 돼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