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 자체보다 환경이 중요…가장 살고 싶은 곳은 유엔빌리지" [강영연의 인터뷰 집]
입력
수정
"발코니 있는 아파트, 사회적 갈등 해결의 시작점 될 것"
집의 가치는 주변과의 관계에서 결정
가족과의 관계는 집 구조로 바꿀 수 있다
유현준 홍익대 교수 인터뷰
"나에게 집은 무엇일까" '인터뷰 집'은 이런 의문에서 시작했습니다.
투자 가치를 가지는 상품, 내가 살아가는 공간. 그 사이 어디쯤에서 헤매고 있을 집에 대한 솔직한 이야기를 해보고 싶습니다. 오를만한 아파트를 사는 것이 나쁜 건 아닙니다. 그것으로 돈을 버는 것도 죄악은 아니겠죠. 하지만 누구나 추구해야하는 절대선도 아닐 겁니다. 기사를 통해 어떤 정답을 제시하려는 게 아닙니다. 누가 옳다 그르다 판단할 생각도 없습니다. 다양한 사람들의 인터뷰를 통해 각자가 원하는 공간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그것을 나누는 것이 목적입니다.
이 글을 읽는 사람들이 내가 원하는 집에 대해서 생각해볼 수 있는 계기가 됐으면 합니다. 인터뷰는 나이, 직업, 학력, 지역 등에서 최대한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 이야기를 들으려합니다. 자신의 의견을 말씀하시고 싶은 분, 내 주변에 사람을 추천해주시고 싶으시다면 이메일로 연락주세요. 직접 찾아가 만나겠습니다.
유현준 홍익대 교수는 '공간과 그 안에서의 소통'을 강조하는 전문가다. 그는 공간에 따라 그곳을 구성하는 사람들 사이의 관계가 달라진다고 했다. 집 안에서의 소통으로 가족과의 관계가 좋아질 수 있고, 밖에서의 소통은 사회 구성원간의 갈등을 해결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창의력을 키우기 위해 하늘을 볼 수 있는 집에 살아야 한다고 했다. 모두 단독주택에 살 수 없는 현실을 고려해 아파트에 발코니를 설치하는 것이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발코니가 사회적 갈등 해결의 시작점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도 했다.유 교수는 "집집마다 마당같은 발코니가 있다면 1층을 관대하게 나눌 수 있을 것이고 이는 소셜믹스를 풀어낼 수 있는 시작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집 자체보다 주변 환경이 중요
집을 구매할 때는 투자가치 여부도 고려할 수 밖에 없다고 했다. 전체 자산의 상당부분을 부동산이 차지하는 현실적인 상황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는 설명이다. 그는 "공간만 생각하는 사람으로 생각하는데 두마리 토끼를 다 잡아야 하는 사람"이라며 "당연히 투자도 생각해야한다"고 말했다.
◆창의성을 위해선 공간의 낭비가 필요
그는 층고가 높은 집에 살고 싶다고 했다. 가장 원하는 것은 마당이 있는 단층집이지만 2~3층 정도로 타협을 한다고 하면 다른 층과 소통할 수 있는 공간이 있으면 좋겠다고도 했다. 방의 한 부분은 복층 구조였으면 좋겠다는 설명이다. 이도저도 안 된다면 차라리 옥탑방이 좋을 것 같다고도 했다. 마당도 있고, 독립된 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어서다.그는 층고가 높은 건물에 사는 것이 창의성을 높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미네소타 대학의 실험결과에 따르면 2.6m 천정고의 교실에서 공부한 아이보다 3.0m 교실에서 공부한 학생의 창의력이 2배가 높았다고 합니다. 낭비되는 공간이 생각할 수 있는 여지를 남기는 것이죠."
아파트와 주택의 가장 큰 차이점이 외부와의 연결성이라고 봤다. 아파트는 현관을 나가서 엘리베이터를 타고 다시 아파트 문을 나서야 밖에 나올 수 있지만 주택은 문만 열고 나가면 외부환경과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이다. 유 교수는 "천정고가 가장 높은 곳은 야외다"라며 "내가 천정고를 높일 수 있는 여력이 안 된다면 자연공간에 많이 접할 수 있는 곳에 살면 창의적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아파트에서도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발코니를 제안했다. 다만 윗집 발코니에 막혀있는 모습이 아닌 개방형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 "비도 맞을 수 있고, 하늘을 볼 수 있는 발코니를 만들면 아파트의 단점을 어느 정도 보완할 수 있다고 봅니다.".
발코니를 만들어 소셜믹스 기능도 강화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개인들이 아파트 안에 있는 발코니를 외부공간으로 충분히 활용하면 1층 정원을 외부인들에게 이용할 수 있게 해줄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아파트 단지안 정원에 외부사람을 못들어오게 하는 것은 거기가 유일하게 남아있는 나의 외부공간이기 때문"이라며 "집집마다 마당같은 발코니가 있다면 1층을 관대하게 나눌 수 있을 것이고 이는 소셜믹스를 풀어낼 수 있는 시작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소통할 수 있는 집 원해
지금 살고 있는 집이 썩 마음에 들진 않는다고 했다. 아이들 교육때문에 마련한 집이어서다. "경제적 능력과 내가 살고 싶은 동네가 항상 일치하는 건 아니잖아요. 미친듯이 집값이 오를 때 이러다가 내가 집을 못사겠구나하는 생각이 들어서 급하게 하나 산 집도 있습니다. 살고 싶은 동네에서 그나마 좀 가깝고 제가 생각하는 환경이 주변에 있고 가까운 곳이죠."그가 집에 갖추고 싶은 3가지는 마당(혹은 발코니, 온실), 나무로 된 테이블, 아이랜드 키친이다. 유 교수는 "마주볼 수 있는 공간을 중요하게 생각한다"며 "나무 재질 식탁은 따뜻해서 오래 앉아 밥도 먹고, 일도할 수 있을 것 같고 아일랜드 키친에서는 같이 요리도 하고 얘기도 할 수 있는 공간이 될 것 같다"고 설명했다.
강영연 기자 yy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