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아 숙련공 재입국 못해 제품불량 급증…페널티 비용 눈덩이"
입력
수정
지면A3
노환 한백재생산업 대표의 토로“외국인 근로자가 해외에서 오지 않아 공장 가동을 줄이고 있습니다. 현재까진 주야 2교대로 특근비까지 주며 공장을 돌리고 있지만 오는 7월부터 (50인 미만 사업장에도) 주 52시간 근무제가 적용되면 이마저도 어렵겠죠.”
일할 사람 없어 공장 가동 '뚝'
가까스로 中동포 새로 뽑았지만
대부분 고령자에 숙련도도 낮아
주52시간까지 적용땐 문닫을 판
경기 화성시에서 재생플라스틱 생산업체를 운영하는 노환 한백재생산업 대표(사진)는 경영을 계속 해나갈 수 있을지 고민이 많다. 이 업체는 폐플라스틱을 수거업체로부터 사들여 재활용 공정을 거쳐 재생플라스틱으로 가공하고 있다. 폐플라스틱을 쌀알만 한 작은 알갱이인 ‘펠릿’으로 최종 가공해 매월 1500t가량을 중국 등에 수출하고 있다.태국, 캄보디아, 방글라데시 등 동남아시아에서 온 외국인 근로자를 고용해 공장을 돌리고 있는데, 지난해 코로나19 사태 이후 자국을 방문했다가 돌아오지 못하는 근로자가 늘었다. 외국인이 비전문 취업비자(E9)로 국내에 입국해 ‘성실근로자’로 인정받으면 최대 4년10개월까지 체류할 수 있다. 이후에는 본국으로 갔다가 다시 비자를 발급받아 돌아오는데 이 길이 갑자기 막혀버렸다. 노 대표는 “캄보디아를 빼고는 대부분 동남아 국가에서 국내에 들어오는 길이 봉쇄됐다”며 “사내 동남아 근로자 수가 6명에서 4명으로 줄었다”고 말했다. 노 대표는 고용노동부에 국내 체류 외국인 중 추가로 두 명을 채용할 수 있도록 신청해놨지만 감감무소식이다.
인력 부족으로 공장 가동률이 떨어지면서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플라스틱 펠릿을 가공하는 6개 라인 가운데 최근 4개 라인만 간신히 돌리고 있는 형편이다. 지난해 매출은 전년보다 15%가량 줄었다. 노 대표는 “비자 만기가 다가오는 외국인 근로자가 계속 늘고 있어 상황이 더 악화되고 있다”며 한숨을 내쉬었다.
고심 끝에 그는 중국 동포 채용을 7명까지 늘렸다. 중국 동포들은 재외동포 비자(F4)를 받은 뒤 국내에 장기 체류하는 일이 많아 고용 안정성이 비교적 높다. 하지만 고용된 중국 동포가 대부분 50~60대 근로자여서 안전사고 가능성이 커지는 게 걱정이다. 노 대표는 “지난해 신입 근로자가 늘어나면서 불량률이 급증했다”며 “제품 불량을 뒤늦게 발견해 해외 고객에게 페널티(위약금)를 물기도 했다”고 말했다. “작년 지급한 페널티 비용만 수천만원에 달했다”는 설명이다.
화성=김동현 기자 3cod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