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당이 왜 이래" 산재 청문회 '일사천리' 결정된 뒷 얘기
입력
수정
"국민의힘이 먼저 제안…민주당도 놀라"국회 환경노동위원회가 22일 예정된 산업재해 관련 청문회에 포스코, CJ대한통운, 현대건설 등 9개 기업 대표이사를 부르기로 했다. 경영계에서는 또 다시 정치권이 '기업 망신주기' 행태를 보이고 있다는 비판이 나오는 가운데 이번 기업인 출석 요청이 여당이 아닌 야당 주도로 이뤄졌다는 점에서 이런저런 뒷말이 나오고 있다.
민주당 입장에선 손도 안대고 코푼 격
"호통 아닌 소통 청문회" 지켜질지 주목
환노위는 지난 8일 전체회의에서 '산업재해 관련 청문회 실시계획서 채택의 건'과 관련한 증인·참고인 출석 등을 의결했다. 여야는 출석 대상으로 건설(GS건설·포스코건설·현대건설)·택배(쿠팡·롯데글로벌로지스·CJ대한통운)·제조업(LG디스플레이·현대중공업·포스코) 분야의 대표이사로 정했다.

국회 안팎에서는 '생경한 풍경'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국회 환노위 관계자는 "통상적으로 국정감사든 청문회든 여당에서 기업인들을 호출하겠다고 하면 야당은 이를 막거나 증인 채택을 최소화해왔던 게 전례"라며 "이번에는 야당의 제안에 여당도 놀라는 분위기였다"고 전했다.
청문회가 성사된 배경엔 야당 의원실 소속 보좌관의 역할 커청문회 성사와 기업인 '줄소환'은 국민의힘 소속 한 의원실의 A보좌관의 '작품'이라는 후문이다. 경위야 어찌됐건 해당 기업인들을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22일 국회 청문회장에서 선서를 해야한다. 여야 의원들의 호통도 들어야 하고, 할 말이 많아도 말을 아끼고 '표정관리'도 해야 한다.
경영계는 국회의 청문회 개최 소식에 성명을 냈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어려운 경영환경에서 기업에 부담을 주는 청문회 개최가 의결된 것에 대해 유감"이라며 "기업들에 책임 추궁보다는 기업의 안전관리상 애로점이나 사고예방을 위한 다양한 의견을 청취하는 협의하는 자리가 되길 당부한다"고 '당부'했다.
"야당이 기업을 더 못살게 군다"는 지적에 "기존의 호통 청문회가 아니라 기업의 산재 예방책을 점검하고 대책을 들어보는 자리가 될 것"이라는 국민의힘 환노위 간사의 말이 지켜질지 주목된다.
백승현 기자 arg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