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형 퇴직연금 아직도 없으십니까…여기가 'IRP맛집'
입력
수정
지면A17
Cover Story하나금융 100세 행복연구센터가 지난해 50~64세 퇴직자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이들의 퇴직 연령(가장 오래 다닌 회사 기준)은 평균 49.5세에 불과했다. 노령연금인 국민연금 수령 시점(61~65세)까지 남은 ‘소득 크레바스(연금 개시 전까지 소득 없이 지내는 기간)’가 평균 12년6개월에 달한다는 의미다. 평균 수명이 점차 늘어나는 가운데 국민연금과 기업 퇴직연금, 개인연금으로 이뤄진 ‘3층 연금’을 마련해야 할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노후를 위해 개인형 퇴직연금(IRP)에 당장 가입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미래 소득원이 될 연금형 금융상품 중 기본 세액공제 한도가 가장 크고 퇴직금 수령 기능을 통해 소득세도 대폭 줄일 수 있어서다.
개인형 퇴직연금, 아직도 없으십니까?
만50세 年900만원 공제
납입금 年10% 수익 효과
총급여 5500만원 미만은
최대 115만원 돌려받아
이직해도 계좌는 그대로
지난해만 잔액 30% 늘어
IRP는 기본 세액공제만으로 매년 납입금액의 연 10% 이상의 수익을 내는 효과가 있다. 이벤트 예·적금을 찾아다니는 것보다 훨씬 나은 셈이다. 기본 세액공제 한도는 연 700만원(만 50세 이상 연 900만원)이다. 총 급여 5500만원 미만으로 공제율 16.5%를 적용하면 돌려받을 수 있는 세금은 최대 115만5000원에 달한다. IRP와 ‘사촌지간’인 연금저축의 새액공제 한도는 연 400만원 규모다. 정주연 농협은행 퇴직연금컨설팅팀장은 “회사 퇴직금을 IRP나 연금저축 계좌로 수령하면 소득세의 30%를 줄일 수 있고, 나머지 70%도 분리과세돼 운용기간 동안 수익률을 높일 수 있다”며 “IRP는 연금저축과 달리 압류될 위험이 없다는 것도 장점”이라고 설명했다.IRP는 자산 운용을 가입자 본인이 결정한다는 점이 확정기여형(DC) 퇴직연금과 같다. 하지만 직장을 그만두면 새 직장에서 다시 가입해야 하는 일반 퇴직연금과는 달리 연속성이 보장된다.IRP 잔액은 2020년 말 33조5569억원을 기록해 전년도의 25조3950억원과 비교해 32% 증가했다. 증시 활황과 세제 혜택 덕분이다. 정부는 IRP 활성화를 목적으로 2020년부터 3년간 만 50세 이상 세액 공제 한도를 900만원까지로 늘렸다(연 소득 1억2000만원 이상은 700만원). IRP에 대한 세액공제는 덜 낸 세금 또한 복리로 운용된다는 점에서 더욱 효과적이다.
잦은 변경보다는 장기 투자
IRP 계좌로는 주식을 직접 사는 게 불가능하다. 주식과 채권, 대체투자 상품을 담은 실적 배당형 펀드(위험자산)에 전체의 70%까지 투자할 수 있다. 안전자산을 30%까진 반드시 담아야 한다는 의미다. 그런데 이 30%를 반드시 저축은행과 은행 예금에만 묻어야 한다고 오해하는 사람이 많다. 퇴직연금 감독규정에 따르면 IRP에는 ‘증권에 대한 분산투자 등으로 투자 위험도를 낮춘 상품’을 100%까지 담을 수 있다. 채권형 펀드, 채권혼합형 펀드, 단기금융 펀드를 30% 이상 담고, 나머지 70%를 위험 자산으로 굴리는 적극적 운용이 가능하다는 의미다.최근 IRP 포트폴리오를 바꿔 수익률을 높인 사람이 많다. 증시가 저점에 진입했다고 여기면 주식형 펀드 비중을 높이고, 반대면 원금을 지킬 수 있는 안전자산을 늘려 위험을 회피하는 식이다. 포트폴리오 변경도 간편해졌다. 예전처럼 창구에 찾아가거나 전화를 통해 상담할 필요가 없다. 금융회사 모바일 앱을 이용하면 간편하게 포트폴리오를 바꿀 수 있고, 로보어드바이저를 통해 추천 상품을 받을 수도 있다. 최은미 하나은행 연금사업지원섹션 차장은 “잦은 포트폴리오 변경은 추천하는 방식이 아니다”며 “장기 투자와 자산 배분으로 변동성을 줄이는 게 연금 투자의 기본”이라고 말했다.
세액공제 한도까지 붓는 건 불리할 수도
IRP 가입 금액은 세액공제 한도만큼 하는 게 일반적이다. 하지만 전문가들이 한도를 꽉 채워 붓는 건 생각해 볼 문제라고 조언한다. 소득이 적은 30대 직장인은 주택 구입과 자녀 육아 등 목돈이 들어갈 일이 많다. 생애 소득 관점에선 한도를 꽉 채우는 게 불리할 수도 있다. 전문가들은 30대라면 매달 급여일에 20만~30만원가량을 IRP에 자동이체를 통해 넣고, 연말 성과급이나 연말정산 환급액 등의 규모를 보고 세액공제 한도를 맞추라고 권한다.연 소득 6000만원인 30대 직장인이 연간 240만~360만원을 IRP계좌에 쌓고, 일회성 소득 200만~300만원을 넣는다고 가정하면 연간 불입 금액은 최대 공제한도 700만원에 못 미치는 440만~660만원이 된다. 연금 수령 기간이 얼마 남지 않았고, 노후 대비에 쓸 여유 자금이 있다면 연간 최대 한도인 1800만원까지 넣는 것도 고려할 만하다. 세액공제 한도를 넘은 금액은 나중에 연금으로 받거나 중도에 꺼내 쓸 때 ‘과세 제외’ 금액에 해당돼 비과세 혜택을 받을 길이 있기 때문이다.
서영일 신한은행 퇴직연금사업부 프로(세무사)는 “세액공제를 받지 않은 추가 납입 금액에서 발생하는 운용 수익은 연간 1200만원 이하로 연금을 받는 경우에 한해 저율로 분리과세 되는 장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IRP에는 너무 많은 상품을 한꺼번에 담을 필요가 없다. 5개 안팎이면 무난하다. 비슷한 상품이 얼마든지 있다. 10개를 넘어섰다면 비슷한 상품이 담긴 경우가 대부분이다.
포트폴리오를 짜는 큰 원칙은 연령과 위험(리스크) 감수 성향이다. 직장생활이 많이 남은 20~30대는 60~70%(한도)까지 위험자산을 담아 공격적으로 운용할 필요가 있다. 은퇴 연령이 다가올수록 안전자산 비중을 높이는 변화도 필수다. 은퇴 시점에 맞춰 위험자산(주식)과 안전자산(채권) 비중을 알아서 조절하는 ‘타깃데이트펀드(TDF·target date fund)’를 담는 게 중요한 요령이다. TDF에는 ‘2045’와 같은 숫자가 붙는다. 2045라는 숫자가 있다면 가입자의 은퇴 시기를 2045년으로 맞추고, 비중을 조절해 간다는 의미다.
김대훈 기자 daepun@hankyung.com
(도움주신 분들)
서영일 신한은행 퇴직연금사업부 프로(세무사)
정주연 농협은행 퇴직연금컨설팅팀장
최은미 하나은행 연금사업지원섹션 차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