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연 "작년 고용 상황, IMF 다음으로 가장 나빠"
입력
수정
일자리 질 악화…단기는 늘고 장기는 줄어작년 국내 고용 상황이 1998년 외환위기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통계청 경제활동인구 조사 데이터 등을 활용해 지난해 고용지표를 분석한 결과를 16일 발표했다.한경연은 지난해 고용의 특징을 △주요 고용지표 역대 두 번째로 악화 △일자리 질 저하 △취업자 고령화 △고졸 일자리 타격 △비경제활동인구 급증 등을 꼽았다.
먼저 지난해 취업자 및 경제활동인구 감소와 실업자 수 증가가 외환위기 이후 가장 컸던 것으로 조사됐다. 작년 경제활동인구는 전년 대비 17만4000명 줄어 감소 폭이 1998년(35만4000명)에 이어 두 번째로 컸다.
지난해 취업자 수도 전년 대비 21만8000명 줄었다. 이는 1998년 127만6000명에 이어 두 번째로 큰 감소다.반면 지난해 실업자 수는 110만8000명으로,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 149만명, 1999년 137만4000명에 이어 많았다.
실업률도 4.0%로 2001년(4.0%)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장기 실업은 증가하고, 단기는 감소하는 등. 일자리 질도 악화했다.
주당 36시간 이상 일하는 취업자는 2011만2000명으로, 전년 대비 120만3000명 줄었다. 1998년(165만 명) 대비 두 번째 감소 폭이다.반면 36시간 미만 취업자는 595만6000명으로, 55만4000명 늘었다.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도 16만5000명 감소해 1998년(24만7000명)에 이어 크게 줄었다.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는 9만명 증가했다. 연령별 취업자를 살펴보면 60세 이상만 전년 대비 37만5000명 늘었다.
연령별 취업자는 2004년 이후 40대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지만 지난해 처음으로 50대 취업자(635만6000명)가 40대 취업자(634만6000명)를 넘어섰다. 60세 이상 취업자(507만6000명)는 청년 취업자(376만3000명)를 큰 폭으로 앞질렀다.교육 수준별로 일자리를 비교한 결과, 고졸 일자리가 가장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실업자 수는 대졸 이상은 전년 대비 1000명 줄고, 중졸은 7000명 증가했지만 고졸은 3만2000명이나 급증해 전체 실업자 증가의 70%를 차지했다. 지난해 고용률도 대졸 이상과 중졸은 전년 대비 각각 0.7%포인트, 0.4%포인트 감소에 그쳤지만, 고졸은 1.9%포인트 줄었다.
작년 비경제활동인구도 1677만3000명으로 전년 대비 45만5000명이 늘어 2009년 이후 최대 증가 폭을 기록했다. 이중 '그냥 쉬었음' 인구는 237만4000명으로, 통계 작성 이후 최대고치를 기록했다.
구직단념자도 60만5000명으로 역대 최대였다. 특히 20대의 비경제활동인구는 7.5% 늘어 전체 평균(2.8%)을 크게 넘어섰다.
비경제활동인구 증가는 확장실업자와 확장실업률 증가로 이어졌다. 확장실업자는 실업자에 단기 근로를 하지만 재취업을 원하는 사람, 구직활동은 안 하지만 일자리를 원하는 사람, 구직활동을 했지만 당장 일을 시작하진 못하는 사람을 합쳐서 계산한 수치로, 체감실업자라고도 한다.
지난해 확장실업자는 406만9000명, 확장실업률은 13.6%를 기록해 양자 모두 2015년 통계 작성 이후 최대를 보였다.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공공부문 일자리보단 규제 완화, 경영환경 개선 등 민간경제 활력 제고를 통해 양질의 일자리가 창출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조아라 한경닷컴 기자 rrang12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