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사업소득 3분기 연속 감소…재난지원금으로 버텨
입력
수정
근로·사업소득 통계작성 이래 4분기 기준 최대 감소…이전소득은 최대 증가
가계 흑자폭 증가…소비 줄인 '불황형 흑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고용 한파와 자영업 타격으로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이 2003년 통계 작성 이래 처음으로 3개 분기(2∼4분기) 연속 뒷걸음질 쳤다.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이 같은 분기 기준으로 가장 크게 감소했으나 2차 재난지원금 등 이전소득은 크게 늘어 4분기 가계소득을 떠받쳤다.
◇ 근로소득 0.5%↓, 사업소득 5.1%↓…이전소득은 25.1%↑
통계청이 18일 발표한 '가계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0년 4분기(10∼12월) 전국 가구(2인 이상·농림어가 제외)의 월 평균 명목소득은 516만1천원으로 1년 전보다 1.8% 증가했다.
증가율은 3분기(1.6%)보다 커졌지만, 세부 항목을 살펴보면 가계의 어려움이 드러난다. 고용 한파가 닥치면서 소득 중 비중이 65.9%로 가장 큰 근로소득은 340만1천원으로 0.5% 감소했다.
3분기(-1.1%)보다 감소율이 축소됐으나 4분기 기준으로는 2003년 통계 작성 이래 최대 감소폭이다.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 등으로 자영업이 휘청이면서 사업소득은 99만4천원으로 5.1% 감소했다. 감소율이 3분기(-1.0%)보다 큰 폭 확대됐고 역시 4분기 기준으로 통계 작성 이래 최대다.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은 2분기부터 세 분기 연속으로 감소했는데, 이는 사상 처음이다.
재산소득은 2만8천원으로 7.4% 늘었다. 3분기(18.5%)보다는 증가폭이 줄었다.
가계 소득을 떠받친 것은 이전소득이다.
이전소득은 63만6천원으로 25.1% 늘어 4분기 기준 통계 작성 이래 최대 증가폭을 보였다.
정부가 지급하는 지원금과 수당 등 공적이전소득(41만7천원)은 22.7% 늘었다.
소상공인 새희망자금과 긴급고용안정지원금 등 2차 재난지원금 지급이 공적이전소득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친지 용돈 등 사적이전소득(22만원)이 30.0% 증가했다.
추석 연휴 영향으로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경조소득이나 실비보험금 등 비경상소득은 10만2천원으로 49.1% 증가했다. ◇ 오락·문화 등 소비 0.1% 감소…평균소비성향 69.6%
4분기 가구당 월 평균 소비지출은 290만7천원으로 1년 전보다 0.1% 감소했다.
3분기(-1.4%)보다는 감소폭이 줄었으나 여전히 가계가 허리띠를 졸라매는 모습이다.
특히 의류·신발(-9.2%)과 오락·문화(-18.7%), 음식·숙박(-11.3%) 등 대면 서비스업 관련 소비가 감소했다.
고교 무상교육 등으로 정규교육 지출이 줄고 학원·보습교육 지출도 줄면서 교육 지출은 15.2% 감소했고, 휴대전화 구입 등 통신 지출도 6.8% 줄었다.
반면 식료품·비주류음료(16.9%), 가정용품·가사서비스(15.6%), 보건(8.5%) 등은 증가했다.
코로나19에 따라 '집콕' 관련 품목 소비가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월세 등 주거비와 주택 수리비, 연료비 등이 늘어 주거·수도·광열 지출은 5.5% 증가했다.
비소비지출은 98만6천원으로 0.3% 감소했다.
4분기 연속 감소인데 코로나19에 따른 종교시설 운영 중단, 외출·모임 자제 등의 영향으로 추정된다.
경조사비 등 가구간 이전지출(-4.0%), 헌금 등 비영리단체로 이전지출(-16.1%), 이자비용(-4.7%)이 줄어든 반면 연금기여금(5.0%), 사회보험료(7.9%)는 늘었다.
세금 중에는 소득세·재산세 등 경상적 소득에 부과되는 경상조세(4.4%)가 증가했으나 상속·증여세와 양도소득세·퇴직소득세·취등록세 등 비경상조세(-2.5%)는 감소했다.
4분기 소득은 소폭 늘고 비소비지출은 줄면서 소득에서 비소비지출을 뺀 처분가능소득은 가구당 월 평균 417만5천원으로 1년 전보다 2.3% 증가했다.
처분가능소득에서 소비지출이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평균소비성향은 69.6%로 1.7%포인트 하락했다.
100만원을 벌면 69만6천원을 쓴다는 의미로, 4분기 기준 통계 작성 이래 최저치다.
처분가능소득에서 소비지출을 뺀 가계 흑자액은 126만9천원으로 8.2% 증가했고 흑자율은 30.4%로 1.7%포인트 상승했다. 소비가 줄어 흑자가 커진 '불황형 흑자'다.
/연합뉴스
가계 흑자폭 증가…소비 줄인 '불황형 흑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고용 한파와 자영업 타격으로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이 2003년 통계 작성 이래 처음으로 3개 분기(2∼4분기) 연속 뒷걸음질 쳤다.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이 같은 분기 기준으로 가장 크게 감소했으나 2차 재난지원금 등 이전소득은 크게 늘어 4분기 가계소득을 떠받쳤다.
◇ 근로소득 0.5%↓, 사업소득 5.1%↓…이전소득은 25.1%↑
통계청이 18일 발표한 '가계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0년 4분기(10∼12월) 전국 가구(2인 이상·농림어가 제외)의 월 평균 명목소득은 516만1천원으로 1년 전보다 1.8% 증가했다.
증가율은 3분기(1.6%)보다 커졌지만, 세부 항목을 살펴보면 가계의 어려움이 드러난다. 고용 한파가 닥치면서 소득 중 비중이 65.9%로 가장 큰 근로소득은 340만1천원으로 0.5% 감소했다.
3분기(-1.1%)보다 감소율이 축소됐으나 4분기 기준으로는 2003년 통계 작성 이래 최대 감소폭이다.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 등으로 자영업이 휘청이면서 사업소득은 99만4천원으로 5.1% 감소했다. 감소율이 3분기(-1.0%)보다 큰 폭 확대됐고 역시 4분기 기준으로 통계 작성 이래 최대다.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은 2분기부터 세 분기 연속으로 감소했는데, 이는 사상 처음이다.
재산소득은 2만8천원으로 7.4% 늘었다. 3분기(18.5%)보다는 증가폭이 줄었다.
가계 소득을 떠받친 것은 이전소득이다.
이전소득은 63만6천원으로 25.1% 늘어 4분기 기준 통계 작성 이래 최대 증가폭을 보였다.
정부가 지급하는 지원금과 수당 등 공적이전소득(41만7천원)은 22.7% 늘었다.
소상공인 새희망자금과 긴급고용안정지원금 등 2차 재난지원금 지급이 공적이전소득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친지 용돈 등 사적이전소득(22만원)이 30.0% 증가했다.
추석 연휴 영향으로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경조소득이나 실비보험금 등 비경상소득은 10만2천원으로 49.1% 증가했다. ◇ 오락·문화 등 소비 0.1% 감소…평균소비성향 69.6%
4분기 가구당 월 평균 소비지출은 290만7천원으로 1년 전보다 0.1% 감소했다.
3분기(-1.4%)보다는 감소폭이 줄었으나 여전히 가계가 허리띠를 졸라매는 모습이다.
특히 의류·신발(-9.2%)과 오락·문화(-18.7%), 음식·숙박(-11.3%) 등 대면 서비스업 관련 소비가 감소했다.
고교 무상교육 등으로 정규교육 지출이 줄고 학원·보습교육 지출도 줄면서 교육 지출은 15.2% 감소했고, 휴대전화 구입 등 통신 지출도 6.8% 줄었다.
반면 식료품·비주류음료(16.9%), 가정용품·가사서비스(15.6%), 보건(8.5%) 등은 증가했다.
코로나19에 따라 '집콕' 관련 품목 소비가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월세 등 주거비와 주택 수리비, 연료비 등이 늘어 주거·수도·광열 지출은 5.5% 증가했다.
비소비지출은 98만6천원으로 0.3% 감소했다.
4분기 연속 감소인데 코로나19에 따른 종교시설 운영 중단, 외출·모임 자제 등의 영향으로 추정된다.
경조사비 등 가구간 이전지출(-4.0%), 헌금 등 비영리단체로 이전지출(-16.1%), 이자비용(-4.7%)이 줄어든 반면 연금기여금(5.0%), 사회보험료(7.9%)는 늘었다.
세금 중에는 소득세·재산세 등 경상적 소득에 부과되는 경상조세(4.4%)가 증가했으나 상속·증여세와 양도소득세·퇴직소득세·취등록세 등 비경상조세(-2.5%)는 감소했다.
4분기 소득은 소폭 늘고 비소비지출은 줄면서 소득에서 비소비지출을 뺀 처분가능소득은 가구당 월 평균 417만5천원으로 1년 전보다 2.3% 증가했다.
처분가능소득에서 소비지출이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평균소비성향은 69.6%로 1.7%포인트 하락했다.
100만원을 벌면 69만6천원을 쓴다는 의미로, 4분기 기준 통계 작성 이래 최저치다.
처분가능소득에서 소비지출을 뺀 가계 흑자액은 126만9천원으로 8.2% 증가했고 흑자율은 30.4%로 1.7%포인트 상승했다. 소비가 줄어 흑자가 커진 '불황형 흑자'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