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몽룡과 춘향은 몇 살에 만났나?
입력
수정
지면S18
우리 조상들은 음력 열닷새째 날을 다양한 말로 나타냈다. 가장 흔히 쓰는절기상으로는 어느새 봄비가 내린다는 우수도 지나고 경칩(3월 5일)을 앞두고 있다. 하지만 우리네 풍습으로는 여전히 새해다. 불과 열흘 전에 음력으로 정월 초하루인 설을 쇠었고, 며칠 뒤면 열닷새 즉 ‘보름날’이다. 새해 첫 보름달은 연중 가장 크고 밝게 뜬다고 해서 예부터 특히 ‘대보름’이라고 했다. 지금은 ‘대보름(날)’이라고 하면 ‘음력 정월 보름날을 명절로 이르는 말’이다.
'보름' 외에 이날 밤을 달리 '십오야(十五夜)'라고도 했다. 조선 중종 때 문신인
이행(1478~1534)이 지은 시조 '八月十五夜(팔월십오야)'(팔월 보름날 밤에)가 전해온다.
음력 열닷새…‘오’가 세 개라 ‘삼오야’라 불러
우리 조상들은 음력 열닷새째 날을 다양한 말로 나타냈다. 가장 흔히 쓰는 ‘보름’ 외에 이날 밤을 달리 ‘십오야(十五夜)’라고도 했다. 조선 중종 때 문신인 이행(1478~1534)이 지은 시조 ‘八月十五夜(팔월십오야)’(팔월 보름날 밤에)가 전해온다. ‘십오야’가 예부터 써온 말이었음을 알 수 있다. 이 말은 특히 음력 8월 보름을 가리키기도 한다. ‘추석’ 또는 ‘한가위’라고도 하는데, 이는 명절로 이르는 말이다.‘십오야’는 1979년 혼성밴드 와일드캐츠가 같은 제목으로 부른 노래가 인기를 끌면서 언중 사이에 널리 알려졌다. “십오야 밝은 둥근달이 둥실 둥실 둥실 떠오면~ 설레는 마음 아가씨 마음~.” 경쾌하고 빠른 템포로 응원가로도 많이 불린 이 노래의 원곡은 가수 김상희가 불렀던 ‘삼오야 밝은달’이다. ‘십오야’를 ‘삼오야’라고도 부른다.우리말에는 이처럼 어떤 수나 때를 나타내는, 독특한 방식의 말이 꽤 있다. ‘이팔청춘’과 ‘과년’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모두 16세 무렵의 꽃다운 청춘을 뜻하는 말이라는 점이다. 춘향전에서 이몽룡과 성춘향이 처음 만나 말을 틀 때 이 얘기가 나온다. 몽룡이 나이를 묻자, 춘향이 “십육 세”라고 대답하고 몽룡은 “나와 동갑 이팔이라”라고 화답한다. 이팔(二八), 즉 ‘팔’이 두 개이니 십육을 나타내는 말이다. 이몽룡과 성춘향이 만나 사랑을 나눈 게 16세 때이니 유교 문화가 지배하던 당시로선 파격적인 애정행각이었던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