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대체투자 늘린 보험사, 1.2兆 '부실징후'
입력
수정
지면A14
36개사 투자액 70조원금융감독원이 코로나19 사태 이후 보험사들의 해외 대체투자를 점검한 결과 부실 징후가 있는 자산이 1조2000억원대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하고 감독을 강화하기로 했다. 3000억원은 이미 직접적인 손실 위험에 노출됐다. 대체투자는 주식과 채권 외에 부동산이나 항공기·선박, 사회간접자본(SOC) 등에 투자하는 것을 말한다. 보험사에서만 그 규모가 70조원을 웃돈다.
코로나로 호텔·항공사 실적 악화
'원금 손실 우려' 2721억원
'수익성 악화' 1조원 달해
리스크 관리 강화 나선 금감원
"상반기 안에 관리기준 마련"
올해 만기 자산만 4조원
금감원은 22일 ‘보험회사 해외 대체투자 현황 및 향후 감독 방향’을 공개하며 리스크관리 모범규준을 상반기 안에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모범규준에는 현지 실사를 하거나 담보물의 법률상 관리관계를 확인하는 등 검증절차를 구체화할 예정이다. 저당 잡은 물건의 가격이 약간만 떨어져도 원금 회수가 불투명해지는 ‘고(高)담보인정비율(LTV) 투자’ 심의절차도 의무화된다. 금감원 관계자는 “대체투자 잔액의 68.3%인 48조1000억원의 만기가 2030년 이후에 돌아오지만 4조4000억원은 올해 만기가 끝난다”며 “호텔과 오피스 등 부동산에 투자한 2조원의 경우 매각하거나 임차인을 새로 구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금감원에 따르면 해외 대체투자 실적이 있는 36개 보험사의 대체투자 자산은 70조4000억원이다. 저금리 여파로 주력 투자처인 채권시장이 위축되면서 최근 2~3년간 대체투자가 급속도로 늘었다. 보험업계 총자산(1087조원)의 6.5% 수준이지만 투자자산 한 곳에서만 사고가 터져도 개별 회사에 미치는 타격이 크다.
보험업계는 지난해 코로나19 여파로 야외 활동이 줄어들면서 당기순이익이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했다. 하지만 미래에셋생명과 KB손해보험은 영업이익이 줄었고 롯데손해보험은 또다시 적자를 냈다. 해외에 투자한 호텔과 항공사 등의 영업실적이 곤두박질치면서 손실을 입은 영향이다.
중순위·후순위 채권도 많아
금감원은 해외 대체투자에서 부실 징후가 뚜렷하거나 수익성이 계획보다 떨어진 자산 규모를 1조2778억원으로 집계했다. 돈을 빌려간 차입자의 부도 또는 공사 지연·중단 등으로 원금 손실 우려가 큰 자산이 2721억원이고, 금리를 낮춰주거나 건물 임대료를 깎아주는 투자 조건 조정으로 수익성이 떨어진 자산도 1조원에 이르렀다. 지난해 9월 말 기준이어서 현재 상황은 더 나빠졌을 가능성이 크다는 게 보험업계의 추정이다.국내 보험사들은 일반적으로 중순위나 후순위로 돈을 빌려주는 사례가 많다. 사업이 실패했을 때 담보를 매각해 돈을 제대로 회수하기 어렵지만 수익률이 높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선순위 대출자가 부도를 내고 담보를 매각하겠다고 하면 한국 보험사들이 돈을 떼일 수 있기 때문에 기업의 연명 자금을 추가로 요구받는 경우가 많다”며 “돈을 돌려받을 수도, 돈을 더 투입할 수도 없는 진퇴양난에 빠질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금감원은 보험사들이 똑같은 곳에 투자해놓고 건전성이나 손실 강도를 서로 다르게 평가하는지 확인하고 충당금을 적정하게 쌓을 수 있도록 지도할 계획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보험사의 자산 건전성이 떨어지면 궁극적으로 보험 가입자에게까지 피해가 갈 수 있다”며 “대체투자 비중이 높고 내부 통제가 취약한 보험회사에 대해서는 건전성 현황을 매월 따져볼 것”이라고 말했다.
박종서/김대훈 기자 cosm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