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행 수월한 ESG채권…사후관리 부실 우려
입력
수정
지면A5
일반 회사채 최소 2곳이 신용평가ESG(환경·사회·지배구조) 열풍의 부작용인 ‘그린워싱’ 우려는 채권시장에서도 나오고 있다. 채권 발행회사가 ESG 이미지를 내세워 저금리에 자금을 조달한 후 집행 단계에서는 약속을 지키지 않더라도 규제할 수단이 마땅찮기 때문이다. ESG채권은 통상 일반 회사채 대비 금리가 낮고, 해외에서는 투자자가 세제 혜택을 받을 수도 있다.
ESG는 1개 기관 검증 받아도 돼
표면금리 낮아 불안요소도 존재
22일 미래에셋대우에 따르면 지난달 국내 채권시장에서 발행된 ESG 회사채 규모는 5조1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 기간 발행된 전체 회사채 물량의 20%에 달한다. ESG채권 발행액은 지난해(64조원)에 이어 올해도 사상 최고치를 경신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화건설은 지난 16일 600억원 규모 ESG회사채에 대한 수요예측을 한 결과 3670억원이 몰려 발행액을 1200억원까지 늘리기도 했다.ESG채권 시장이 성장하면서 업계에서는 ‘불량 ESG채권’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ESG채권의 발행 조건이 일반 회사채보다 수월한 반면 인증기관 간 경쟁은 심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ESG채권을 발행하기 위해서는 회계법인, 신용평가사의 검토를 받아야 한다. 최소 두 개 기관의 신용평가가 필요한 회사채와 달리 한 곳의 회계법인을 통해 검증을 받거나, 신용평가사의 인증을 받으면 된다.
실적을 채우기 위해 기관이 느슨한 평가 기준을 적용하고, 사후관리가 부실하더라도 이를 규제할 제도가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수익성 측면에서도 ESG채권은 일반 회사채보다 표면금리가 낮아 불안 요소가 존재한다. 채권의 시장 가격은 발행금리뿐 아니라 수요와 공급, 듀레이션(잔존만기) 등에 따라 결정되는데, ESG채권은 발행금리가 낮은 대신 시장에서 인기(수요)가 높다. 해당 채권의 인기가 떨어져 차익거래가 어려운 상황이 되면 평가이익은 없어지고, 낮은 이자의 채권만 떠안아야 하는 구조다.윤원태 SK증권 연구원은 “ESG채권 가격은 일반채권과 동일하게 발행사의 신용등급 및 디폴트 위험에 영향을 받을 뿐 아니라 ESG 인증등급 변동이라는 추가 변수에 의해 결정된다”며 “국제적으로 그린워싱 방지 정책이 강화될수록 ESG 등급 하락은 채권 투자에 치명적인 손실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범진 기자 forwar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