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우려 넘어 '실체적 위험'으로 다가온 인플레
입력
수정
지면A35
글로벌 시장금리의 바로미터인 미국 10년 만기 국채 금리가 지난 17일 코로나 직전 수준(연 1.20%)을 돌파하더니 그제는 장중 연 1.39%까지 오르며 최근 1년 새 최고치를 기록했다. 금리에 민감한 미국 기술주가 추풍낙엽처럼 떨어지며 이날 나스닥지수는 2.46% 급락했다. 미 중앙은행(Fed)의 완화적 통화정책 기조가 유지될 것이란 믿음이 사라진 것은 아니지만, 시장금리 상승에 따른 경기회복 지연 우려가 그만큼 크다는 방증이다. 인플레가 우려 단계를 넘어 눈앞의 ‘실체적 위험’으로 다가오고 있다는 점에 투자주체들이 당혹해하는 분위기다.
세계경제는 거의 한 세대 동안 저물가를 이어온 만큼 인플레 현상이 낯설기만 한 게 사실이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로 인한 수요 감소, ‘세계의 공장’ 중국의 공급능력 확대, ‘아마존 효과’로 대표되는 유통·물류혁명이 인플레를 ‘짖지 않는 개’처럼 만들었다. 수년간 이어진 주요국의 제로금리 정책과 코로나 극복을 위한 경기부양책에도 미국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작년 3월 이후 0.1~1.5%에서 오르내린 이유이기도 하다.하지만 바이든 정부가 1조9000억달러의 부양책을 본격 집행하고, 백신 접종이 개시돼 경기회복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그 바람에 원자재 가격의 ‘슈퍼사이클(장기간 고공행진)’ 가능성마저 점쳐지는 상황이다. 급격한 소비 회복 시 공급 애로에 따른 물가상승을 점칠 정도로 인플레는 코앞의 문제가 됐다.
최근 수년간 디플레이션을 걱정했던 만큼 각국 중앙은행이 적정 수준의 인플레는 용인할 것으로 보인다. 당장 금리인상 등 ‘인플레 파이터’로 돌변할 가능성은 희박하다. 하지만 인플레가 ‘돈의 힘’으로 밀어올린 주식 등 위험자산과는 상극이란 점에서 자산시장의 전환기적 변화에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경기회복이 미흡한데 시장금리와 물가 상승이 겹치면 투자자산의 가치 하락, 각종 대출금 이자부담, 실질소득 감소로 인한 경제주체들의 충격이 불가피하다.
코로나 위기가 여전한데 한국 경제에도 인플레 위험이 본격화한다면 경제회복의 퍼즐은 더욱 풀기 어려워질 것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019년 0.4%, 작년 0.5%에 이어 지난 1월에도 0.6%에 그쳤다. 하지만 주택, 주식, 암호화폐, 유가, 생필품 등 오를 수 있는 것은 거의 다 오르는 상황이다. 봉급만 그대로이니 인플레는 ‘보이지 않는 세금’이나 다름없다. ‘30년 만의 인플레 귀환’에 대비해 리스크 관리에 만전을 기해야 할 때다.
세계경제는 거의 한 세대 동안 저물가를 이어온 만큼 인플레 현상이 낯설기만 한 게 사실이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로 인한 수요 감소, ‘세계의 공장’ 중국의 공급능력 확대, ‘아마존 효과’로 대표되는 유통·물류혁명이 인플레를 ‘짖지 않는 개’처럼 만들었다. 수년간 이어진 주요국의 제로금리 정책과 코로나 극복을 위한 경기부양책에도 미국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작년 3월 이후 0.1~1.5%에서 오르내린 이유이기도 하다.하지만 바이든 정부가 1조9000억달러의 부양책을 본격 집행하고, 백신 접종이 개시돼 경기회복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그 바람에 원자재 가격의 ‘슈퍼사이클(장기간 고공행진)’ 가능성마저 점쳐지는 상황이다. 급격한 소비 회복 시 공급 애로에 따른 물가상승을 점칠 정도로 인플레는 코앞의 문제가 됐다.
최근 수년간 디플레이션을 걱정했던 만큼 각국 중앙은행이 적정 수준의 인플레는 용인할 것으로 보인다. 당장 금리인상 등 ‘인플레 파이터’로 돌변할 가능성은 희박하다. 하지만 인플레가 ‘돈의 힘’으로 밀어올린 주식 등 위험자산과는 상극이란 점에서 자산시장의 전환기적 변화에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경기회복이 미흡한데 시장금리와 물가 상승이 겹치면 투자자산의 가치 하락, 각종 대출금 이자부담, 실질소득 감소로 인한 경제주체들의 충격이 불가피하다.
코로나 위기가 여전한데 한국 경제에도 인플레 위험이 본격화한다면 경제회복의 퍼즐은 더욱 풀기 어려워질 것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019년 0.4%, 작년 0.5%에 이어 지난 1월에도 0.6%에 그쳤다. 하지만 주택, 주식, 암호화폐, 유가, 생필품 등 오를 수 있는 것은 거의 다 오르는 상황이다. 봉급만 그대로이니 인플레는 ‘보이지 않는 세금’이나 다름없다. ‘30년 만의 인플레 귀환’에 대비해 리스크 관리에 만전을 기해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