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동결자금 관련 우리 측 제안에 이란 동의"
입력
수정

우리나라는 70억달러(약 7조7000억원) 규모로 알려진 국내 이란 동결자금의 활용을 위해 이란 측과 다양한 방안을 협의해왔다. 구체적 방안은 공개하지 않았지만 의약품, 의료기구 구매 등 인도적 물자교역을 확대하는 내용이 포함됐을 것으로 보인다.또 이란의 밀린 유엔 분담금을 한국 내 동결자금으로 내는 방안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우리나라와 이란이 이런 방안에 서로 동의를 했더라도 동결자금 해제를 위해선 미국의 승인이 필수적이다. 한미는 이 방안에 대한 협의를 거의 마무리하고 구체적인 송금 방법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협의를 통해 이란에 억류된 한국 화학 운반선 '한국케미'호와 선장의 석방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앞서 이란혁명수비대는 지난달 4일 오만 인근 해역에서 한국케미호를 나포해 한국인 5명을 포함해 선원 20명을 억류한 바 있다. 최근 선장을 제외한 나머지 인원의 석방을 발표했다.
노정동 한경닷컴 기자 dong2@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