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무 올랐나 '상투론' 제기…지난달 주택 거래량 급감
입력
수정
2·4 부동산 대책 이후 관망세가 나오면서 1월 주택 거래량이 급감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1월 주택 거래량은 9만696건으로 전월 대비 35.4%, 작년 같은 달보다 10.5% 감소했다. 전월과 전년 동월대비 주택 거래량이 함께 감소한 것은 지난 2019년 9월 이후 16개월 만이다.수도권(4만7132건)은 전월 대비 25.4%, 전년 같은 달보다 14.9% 각각 줄었고, 지방(4만3547건)은 전월 대비 43.5%, 전년 같은 달 대비 5.2% 각각 위축됐다. 임병철 부동산114 수석연구원은 "그동안 가격이 많이 올랐고 겨울 비수기가 겹치면서 거래가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그는 "2·4 부동산 대책을 지켜보자는 관망세도 거래 감소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했다.
주택 가격 상승 폭도 둔화하는 모습이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달 둘째 주(8일 기준)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0.27% 올라 지난주(0.28%)보다 상승 폭이 약간 줄었다. 서울은 전주 0.10%에서 둘째 주에는 0.09%로 상승 폭이 감소했다.
민간 조사업체인 부동산114에 따르면 2월 셋째 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0.14% 올라 같은 달 첫째 주보다 상승률(0.17%)이 꺾였다.다만 주택 거래량과 집값 상승세가 주춤하지만 전문가들 사이에선 일시적인 현상이라는 의견이 많다. 권대중 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거래 위축은 대출 규제가 영향을 미쳤을 수도 있다"면서 "고가 주택의 경우 대출이 막혀 현금 부자가 아니면 집을 사기가 어렵다"고 했다. 그는 "가격 조정이나 하락이 현실화하려면 주요 지역에서 최고점 거래가 멈춰야 한다"면서 "통계가 의미를 가지려면 앞으로 몇 달 더 지켜봐야 한다"고 했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시중 유동성이나 가구 수 증가 등 정부가 그동안 얘기했던 부동산 가격 상승의 근본 원인에 변화가 없고, 공급이 금방 늘어나는 것도 아니다"라면서 "시장의 안정이나 하락 등 방향성을 논하기엔 근거가 너무 부족하다"고 설명했다.
반면 1월의 거래량 통계가 향후 시장 흐름의 변화를 알리는 신호로 볼 수 있다는 견해도 있다. 고종완 한국자산관리연구원 원장은 "한 달 통계를 갖고 예단하기는 어렵지만, 정부의 수요억제와 공급 확대 등 정책 요인에 그동안의 과열에 대한 경계감이 확산하면서 수요자들의 상승 기대심리가 약화했다고 봐야 할 것"이라고 했다.그는 "현 단계에서 집값이 하락으로 방향을 틀었다고 볼 수는 없지만, 안정세로 가고 있다고 얘기할 수는 있을 것"이라면서 "거래량은 실제 주택 가격에 1∼2분기 정도 선행하는 만큼 1월의 추세가 봄 이사 철에도 이어진다면 집값의 방향성이 확실해질 것"이라고 밝혔다.
안혜원 한경닷컴 기자 anhw@hankyung.com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1월 주택 거래량은 9만696건으로 전월 대비 35.4%, 작년 같은 달보다 10.5% 감소했다. 전월과 전년 동월대비 주택 거래량이 함께 감소한 것은 지난 2019년 9월 이후 16개월 만이다.수도권(4만7132건)은 전월 대비 25.4%, 전년 같은 달보다 14.9% 각각 줄었고, 지방(4만3547건)은 전월 대비 43.5%, 전년 같은 달 대비 5.2% 각각 위축됐다. 임병철 부동산114 수석연구원은 "그동안 가격이 많이 올랐고 겨울 비수기가 겹치면서 거래가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그는 "2·4 부동산 대책을 지켜보자는 관망세도 거래 감소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했다.
주택 가격 상승 폭도 둔화하는 모습이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달 둘째 주(8일 기준)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0.27% 올라 지난주(0.28%)보다 상승 폭이 약간 줄었다. 서울은 전주 0.10%에서 둘째 주에는 0.09%로 상승 폭이 감소했다.
민간 조사업체인 부동산114에 따르면 2월 셋째 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0.14% 올라 같은 달 첫째 주보다 상승률(0.17%)이 꺾였다.다만 주택 거래량과 집값 상승세가 주춤하지만 전문가들 사이에선 일시적인 현상이라는 의견이 많다. 권대중 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거래 위축은 대출 규제가 영향을 미쳤을 수도 있다"면서 "고가 주택의 경우 대출이 막혀 현금 부자가 아니면 집을 사기가 어렵다"고 했다. 그는 "가격 조정이나 하락이 현실화하려면 주요 지역에서 최고점 거래가 멈춰야 한다"면서 "통계가 의미를 가지려면 앞으로 몇 달 더 지켜봐야 한다"고 했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시중 유동성이나 가구 수 증가 등 정부가 그동안 얘기했던 부동산 가격 상승의 근본 원인에 변화가 없고, 공급이 금방 늘어나는 것도 아니다"라면서 "시장의 안정이나 하락 등 방향성을 논하기엔 근거가 너무 부족하다"고 설명했다.
반면 1월의 거래량 통계가 향후 시장 흐름의 변화를 알리는 신호로 볼 수 있다는 견해도 있다. 고종완 한국자산관리연구원 원장은 "한 달 통계를 갖고 예단하기는 어렵지만, 정부의 수요억제와 공급 확대 등 정책 요인에 그동안의 과열에 대한 경계감이 확산하면서 수요자들의 상승 기대심리가 약화했다고 봐야 할 것"이라고 했다.그는 "현 단계에서 집값이 하락으로 방향을 틀었다고 볼 수는 없지만, 안정세로 가고 있다고 얘기할 수는 있을 것"이라면서 "거래량은 실제 주택 가격에 1∼2분기 정도 선행하는 만큼 1월의 추세가 봄 이사 철에도 이어진다면 집값의 방향성이 확실해질 것"이라고 밝혔다.
안혜원 한경닷컴 기자 anh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