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령도시될 판"…지난해 서울 '폐업률 1위' 어디? [신현보의 딥데이터]

[신현보의 딥데이터 34]
코로나19 직격탄 맞은 외식업
(1) 2020년 서울 자치구별 폐업률

동작구 전년比 4%P↑…번화가 집중 탓
직장이 재택근무 영향에 종로구 1%P↑
서대문·마포는 감소…"더 폐업할 곳도 없다"
한경연 "선별 지원이 소비 진작에 더 효과적"
비대면 스마트화 촉진시켜야한다는 의견도
사진=연합뉴스
무섭지만 당장 폐업 보다는 낫다고 생각해 빚으로 버티고 있습니다. 지난해 내내 좀만 기다리면 되겠지 했는데 끝이 없어요. 하루하루 정말 죽을 맛입니다.
서울 동작구 노량진 학원가에서 음식점을 운영하는 윤모씨는 지난해 임대료, 관리비 등 고정비 감당이 어려워 시중은행에서 3000만원을 대출 받았다. 하지만 이후 상황이 나아지지 않으면서 '빚 돌려막기'를 계속하고 있다. 그는 "주변에 많게는 1억원까지 빚 내는 사람도 봤다"고 귀띔했다.

실제로 예년에는 사람들로 붐볐을 거리는 텅텅 비었고 곳곳에 '임대' 문구를 써붙인 폐업 점포가 눈에 띄었다. 사당동에서 포차를 운영하는 박모씨는 "원래 금요일 밤부터 주말에 주로 벌이했는데 요즘엔 주중이 그나마 낫다. 그것도 사실 예전의 반토막 수준"이라고 하소연했다.지난 22일 오후 7시경 기자가 찾은 사당, 노량진, 중앙대 앞 등 동작구 주요 상권은 유령도시를 방불케 했다.

동작구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지난해 서울에서 요식업 피해가 가장 극심했던 곳이다. 동작구는 시장, 대학가, 학원가 등이 모두 밀집해있어 코로나19 타격에 매우 취약했던 것으로 파악된다.

25일 한경닷컴 뉴스랩이 행정안전부 지방인허가에서 음식점 및 유흥·단란주점 데이터를 산출해 분석한 결과, 작년 서울 지역 폐업률은 8.5%로 전년 대비 0.4%포인트 감소했다. 언뜻 코로나19 상황에서도 폐업률이 개선된 것처럼 보이지만, 자치구별로 살펴보면 얘기가 달라진다.주거 지역형 동네 상권이 발달한 지역은 타격이 덜한 반면 동작구처럼 직장인·학생 등 유동인구에 기반해 상권이 발달한 지역은 큰 타격을 받았다.

폐업률은 따로 통계가 발표되지 않는다. 한경닷컴 뉴스랩은 폐업률을 파악하기 위해 폐업 업체 수를 총 업체 수(영업업체+폐업업체)로 나누어 계산했다.

전문가들은 "지역별·업체별로 피해 규모가 다른 만큼 선별 지원을 강구하고, 비대면 외식이 활황인 점을 감안해 타격이 큰 상점을 도울 수 있는 체계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영향으로 노량진 학원가 일대가 텅텅 비었다. '임대' 표지를 붙인 폐업 점포가 곳곳에 즐비했다. 학원가를 비롯해 대학가, 시장 등 번화가가 밀집한 동작구가 지난해 폐업률 및 폐업률 증감율이 서울에서 가장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신현보 한경닷컴 기자

동작서 폐업률 확 뛰었다…종로·관악·강서 순

서울시 자치구별 폐업률.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인해 외식업 피해가 극심한 가운데, 동작구 폐업점포 수가 전년 대비 4.1%포인트 증가하면서 가장 높은 상승폭을 기록했다. /그래프=신현보 한경닷컴 기자
지난해 폐업률이 가장 크게 뛴 곳은 동작구였다. 전년 대비 4.1%포인트 증가한 12.4%를 기록했다. 동작구의 폐업률은 지난 5년간 2018년을 제외하고는 서울 평균보다 낮았는데 지난해 크게 늘어난 것이다.노량진 학원가를 비롯해 중앙대·숭실대 등 대학 상권, 사당역·이수역 부근 번화가 등 상권이 복합적으로 밀집한 곳이 동작구다. 작년 코로나19로 인해 이들 지역이 한꺼번에 직격탄을 맞으면서 동작구 모든 법정동에서 폐업률이 증가했다. 대표적으로 중앙대 앞인 흑석동은 6.1%포인트(7%→13.1%), 숭실대가 위치한 상도동은 4.1%포인트(7.6%→11.7%) 올랐고 노량진동 6.1%포인트(7.6%→11.7%), 사당동 1.7%포인트(8.4%→10.1%)씩 각각 폐업률이 증가했다.

직장인 재택 근무 등의 영향을 받은 종로구는 전년 대비 1%포인트 폐업률이 증가했다. 특히 광화문 바로 앞 중학동의 폐업률이 24.5%포인트(3.6%→28.1%) 증가했다. 이 법정동에는 마이크로소프트·SKC·매일유업 등 주요 기업들 영향에 유동인구가 많아 통상 연간 폐업점 수가 한 자릿수이거나 아예 없는 해도 많았지만, 지난해만 폐업점 수가 18개를 기록하면서 이같이 나타났다. 이밖에 동대문역 부근인 창신동 2.4%포인트(3.9%→6.3%), 종각역 주변 관철동 2.8%포인트(4.4%→7.2%), 혜화역 앞 명륜4가 3.6%포인트(3.3%→6.9%)로 폐업률이 늘었다.

이어 관악구(0.9%포인트) 강서구(0.7%포인트) 성북구(0.6%포인트) 순으로 폐업률이 전년 대비 늘었다. 관악구와 성북구는 서울대, 고려대 등 대학가 유동인구 영향이 큰 것으로 추정된다. 강서구의 경우 김포공항 인근 상권이 피해가 막심한 결과로 풀이된다.

영등포·서대문·마포구는 감소…
"더 폐업할 곳도 없다"

영등포구·서대문구·마포구 등은 전년 대비 폐업률이 오히려 줄었다. 다만 상황이 나아진 것은 아니다. 코로나19 사태 전부터 폐업이 계속 늘어난 탓에 생긴 역(逆)기저효과로 보인다. 상권에선 "더 폐업할 곳도 없는 상황"이란 탄식도 흘러나온다. 2019년까지 홍대와 마포가 있는 마포구는 4년 연속, 서강대·연세대·이화여대 등이 위치한 서대문구와 타임스퀘어 등이 위치한 영등포구는 각각 3년 연속 폐업률이 증가해왔다.

이밖에 강북구·서초구·중랑구·광진구 등 주거 밀집형 지역들은 대체로 폐업률이 거의 안 오르거나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외식 소비 행태가 '퇴근→외식→귀가'에서 '퇴근→귀가→외식'으로 변화하면서 생활형 외식이 대세가 되어가는 양상이다.

선별·맞춤형 지원 체계 절실

서울시는 그간 코로나 타격이 큰 소상공인 등에 대한 선별 지원을 원칙으로 내세웠지만, 지난 22일 더불어민주당 소속 김인호 서울시의회 의장이 '보편적 재난지원금'을 지급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재난지원금 지급 대상 문제를 재점화했다.

전문가들은 선별지원 효과가 더 크다고 봤다. 한국경제연구원은 최근 한국·미국·일본 재난지원금의 소비 진작 효과를 비교한 결과, 코로나19 피해 계층의 한계소비성향(추가로 발생한 소득 중 소비되는 금액의 비율)이 높다며 "선별지원이 효과적"이라고 말했다. 한경연은 "국제통화기금(IMF)도 피해 계층을 중심으로 한 선별적 지원방안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고 했다.

정원석 소상공인연합회 전략사업추진단장은 "코로나19에 모두가 피해를 본 것은 아니지 않느냐. 재난지원금이든 대책 마련이든 선별 지원이 맞다고 본다"고 주장했다.이와 별개로 기술 수용성이 더딘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비대면 스마트화를 촉진시켜 위기를 극복해야 한다는 조언도 나왔다. 김삼희 한국외식산업연구원 연구실장은 지난해 12월 '외식업체 생존, 비대면 서비스와 디지털 기술 수용에 달렸다' 보고서에서 "적용 가능한 정보기술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이를 기반으로 실효성 있는 지원체계를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신현보 한경닷컴 기자 greaterfo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