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접종·진료기록 등 건강정보 한눈에…내년 플랫폼 완성
입력
수정
오늘부터 앱으로 공공기관 제공 건강정보 조회·활용 가능
정부, 마이헬스웨이 도입 방안·공공기관 보유 정보조회 앱 마련 정부가 내년까지 백신접종, 진료 기록을 비롯한 건강 관련 정보를 한 번에 조회할 수 있는 플랫폼을 단계적으로 구축한다. 정부는 이를 위한 첫 단계로 24일 공공기관이 보유한 건강정보를 볼 수 있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앱)을 내놨다.
보건복지부와 4차산업혁명위원회 등은 이날 이런 내용의 '마이 헬스웨이(의료분야 마이데이터) 도입 방안'을 발표했다. ◇ 스마트폰으로 건강정보 조회…의료기관에 전송도 가능
정부가 내년까지 구축하려는 '마이 헬스웨이 플랫폼'은 개인의 진료기록, 생활습관, 체력, 식이 등 건강정보를 한곳에 모은 시스템이다. 이용자는 스마트폰 등 기기를 통해 복잡한 진료기록이나 검사 결과 등을 시각·해석 자료로 쉽게 볼 수 있다.
진료·건강관리 외에 진료기록부, 처방전 같은 서류와 MRI(자기공명영상), CT(컴퓨터단층촬영), X선 촬영 자료도 이 플랫폼을 통해 받을 수 있다.
이 플랫폼으로는 예방접종 기록도 조회할 수 있는 만큼, 앞으로 시작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접종에 대한 정보도 담길 것으로 보인다. 이용자가 동의하면 플랫폼을 통해 의료기관 등에 건강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의료진이 환자 정보를 쉽게 접하게 되면서 응급상황이나 진료 시 더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되고, 다양한 민간기관이 건강관리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게 되는 셈이다.
복지부는 건강정보 보유 기관에서 개인이나 활용기관으로 데이터가 효율적으로 흘러간다는 의미에서 이 플랫폼이 '고속도로'와 같은 기능을 한다고 비유했다. 정부는 이 플랫폼을 기반으로 의료분야 데이터 생태계를 활성화한다는 방침이다.
◇ 오늘부터 앱으로 공공기관 제공 건강정보 조회·활용 가능
정부는 의료분야 데이터 활용을 위해 우선 이날 '나의건강기록 앱' 안드로이드 버전을 내놨다.
이 앱에서는 공공기관이 보유한 개인의 투약·진료이력, 예방접종 기록 등 건강정보를 스마트폰으로 볼 수 있다.
나의건강기록 앱은 구글 플레이스토어, 한국보건의료정보원 홈페이지 등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
정부는 올해 iOS 버전 앱도 개발하고 기능도 고도화할 방침이다. 정부는 내년에는 민간 의료기관에서 제공하는 진료기록도 볼 수 있게 조회 대상을 확대해 마이 헬스웨이 플랫폼을 구축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대규모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 기반과 안전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표준연계형식(API)을 마련할 예정이다.
또 공공기관, 의료기관 등에서 건강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체계도 구축한다.
공공건강데이터, 병원의료데이터, 개인건강데이터 등 건강정보를 유형별로 나누고 기관별 건강정보를 개인을 중심으로 통합하기 위해 데이터 표준화를 수행하려는 것이다.
정부는 데이터 제공기관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초기 인프라 개선 비용을 지원하고 데이터 제공 여부를 정부지원사업·인증·평가 등과 연계해 인센티브를 제공할 계획이다.
또 데이터를 제공받는 정보주체, 활용기관 등 수혜자를 대상으로 과금체계를 도입하는 방안도 추진할 예정이다.
정부는 데이터 생태계 조성을 위해 법·제도도 보완한다.
시스템 구축·운영의 법적 근거와 함께 부모·자녀가 개인의 자료를 대신 조회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절차도 마련하려는 것이다.
정보 활용기관에 대해서는 보안 인프라 구축 여부, 전문성 등을 평가하는 사전 심사기준을 마련할 예정이다. 아울러 정부는 의료분야 데이터 도입 쟁점과 중·장기 발전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복지부를 중심으로 관계부처, 전문가, 이해관계자 등이 참여하는 '마이 헬스웨이 추진위원회'(가칭)와 '실무추진단'을 구성·운영하기로 했다.
/연합뉴스
정부, 마이헬스웨이 도입 방안·공공기관 보유 정보조회 앱 마련 정부가 내년까지 백신접종, 진료 기록을 비롯한 건강 관련 정보를 한 번에 조회할 수 있는 플랫폼을 단계적으로 구축한다. 정부는 이를 위한 첫 단계로 24일 공공기관이 보유한 건강정보를 볼 수 있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앱)을 내놨다.
보건복지부와 4차산업혁명위원회 등은 이날 이런 내용의 '마이 헬스웨이(의료분야 마이데이터) 도입 방안'을 발표했다. ◇ 스마트폰으로 건강정보 조회…의료기관에 전송도 가능
정부가 내년까지 구축하려는 '마이 헬스웨이 플랫폼'은 개인의 진료기록, 생활습관, 체력, 식이 등 건강정보를 한곳에 모은 시스템이다. 이용자는 스마트폰 등 기기를 통해 복잡한 진료기록이나 검사 결과 등을 시각·해석 자료로 쉽게 볼 수 있다.
진료·건강관리 외에 진료기록부, 처방전 같은 서류와 MRI(자기공명영상), CT(컴퓨터단층촬영), X선 촬영 자료도 이 플랫폼을 통해 받을 수 있다.
이 플랫폼으로는 예방접종 기록도 조회할 수 있는 만큼, 앞으로 시작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접종에 대한 정보도 담길 것으로 보인다. 이용자가 동의하면 플랫폼을 통해 의료기관 등에 건강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의료진이 환자 정보를 쉽게 접하게 되면서 응급상황이나 진료 시 더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되고, 다양한 민간기관이 건강관리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게 되는 셈이다.
복지부는 건강정보 보유 기관에서 개인이나 활용기관으로 데이터가 효율적으로 흘러간다는 의미에서 이 플랫폼이 '고속도로'와 같은 기능을 한다고 비유했다. 정부는 이 플랫폼을 기반으로 의료분야 데이터 생태계를 활성화한다는 방침이다.
◇ 오늘부터 앱으로 공공기관 제공 건강정보 조회·활용 가능
정부는 의료분야 데이터 활용을 위해 우선 이날 '나의건강기록 앱' 안드로이드 버전을 내놨다.
이 앱에서는 공공기관이 보유한 개인의 투약·진료이력, 예방접종 기록 등 건강정보를 스마트폰으로 볼 수 있다.
나의건강기록 앱은 구글 플레이스토어, 한국보건의료정보원 홈페이지 등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
정부는 올해 iOS 버전 앱도 개발하고 기능도 고도화할 방침이다. 정부는 내년에는 민간 의료기관에서 제공하는 진료기록도 볼 수 있게 조회 대상을 확대해 마이 헬스웨이 플랫폼을 구축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대규모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 기반과 안전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표준연계형식(API)을 마련할 예정이다.
또 공공기관, 의료기관 등에서 건강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체계도 구축한다.
공공건강데이터, 병원의료데이터, 개인건강데이터 등 건강정보를 유형별로 나누고 기관별 건강정보를 개인을 중심으로 통합하기 위해 데이터 표준화를 수행하려는 것이다.
정부는 데이터 제공기관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초기 인프라 개선 비용을 지원하고 데이터 제공 여부를 정부지원사업·인증·평가 등과 연계해 인센티브를 제공할 계획이다.
또 데이터를 제공받는 정보주체, 활용기관 등 수혜자를 대상으로 과금체계를 도입하는 방안도 추진할 예정이다.
정부는 데이터 생태계 조성을 위해 법·제도도 보완한다.
시스템 구축·운영의 법적 근거와 함께 부모·자녀가 개인의 자료를 대신 조회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절차도 마련하려는 것이다.
정보 활용기관에 대해서는 보안 인프라 구축 여부, 전문성 등을 평가하는 사전 심사기준을 마련할 예정이다. 아울러 정부는 의료분야 데이터 도입 쟁점과 중·장기 발전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복지부를 중심으로 관계부처, 전문가, 이해관계자 등이 참여하는 '마이 헬스웨이 추진위원회'(가칭)와 '실무추진단'을 구성·운영하기로 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