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씨티은행이 매물로?…잠재 후보로 거론되는 OK·DGB금융
입력
수정
글로벌 금융사인 씨티그룹이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소매 금융사업에서 발을 뺄 수도 있다는 최근 보도 이후 국내 금융권에선 한국씨티은행을 인수할 잠재적 후보로 DGB금융과 OK금융이 거론되고 있다. 매물로 나온다는 전제 하에 OK금융은 은행업 진출을, DGB금융은 수도권 거점 확대를 꾀하는 전략에서 인수전에 뛰어들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이다.
OK금융그룹 관계자는 “한국씨티은행이 매물로 나온다면 일상적인 경영활동 활동 차원에서 검토하지 않을 이유는 없다”고 24일 말했다. DGB금융도 검토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다. 현재 한국 은행업의 주가순자산비율(PBR)은 0.3~0.4배 가량이다. 한국씨티은행의 지난해 3분기 기준 순자산인 6조2953억원을 감안하면 가격이 최대 2조5000억원에 달한다는 얘기다. 염두해야할 건 씨티은행이 소비자금융 부문만을 구조조정 검토대상에 올렸다는 점이다. 소매금융을 철수한다해도 한국에서 영업하는 다른 글로벌 은행들처럼 기업금융 부문만은 계속 남겨둘 가능성이 높다는 게 금융권의 시각이다. 소비자금융은 씨티은행이 39개 점포를 통해 벌이는 자산관리(WM)와 신용카드 사업을 말한다. 한 사모펀드 운용사(PEF) 관계자는 “어떻게 사업부문을 쪼갤 것인지, 라이선스의 가치를 얼마로 책정할 것인지가 관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4대 금융지주 계열 은행들이 한국씨티은행을 인수해 덩치를 키울 유인은 거의 없다. 한 대형금융지주 관계자는 “비대면 금융이 발달하면서 대형은행들도 기존 소매금융 사업을 어떻게 조정할 것인지 고민이 깊다”고 했다.
반면 덩치를 불릴 방법을 고심하는 지방금융지주는 한국씨티은행을 눈여겨볼 가능성이 있다. ‘2뱅크 체계’ 때문에 골머리를 앓는 BNK와 JB금융보단 DGB가 관심이 클 것이라는 게 금융권의 시각이다. 다만, DGB는 현재 지점 기반의 은행업 자체가 내리막에 접어들었다는 점을 잘 알고 있다는 점이 변수다. OK금융이 후보로 거론되는 이유는 2016년 씨티캐피탈을 인수해 그룹 주력사인 OK캐피탈로 키운 전력이 있기 때문이다. 만약 한국씨티은행을 인수하면 OK금융은 대부업에서 출발해 명실상부 제도권 금융의 정점인 은행업 진출에 성공하는 것이 된다. 하지만 까다로운 대주주 요건 등 넘어야 할 산이 적지 않을 전망이다. OK금융 내부에선 은행보다단 현재 보유한 캐피털, 저축은행 등과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증권사, 카드사를 인수하는 게 먼저라는 의견도 많다.
씨티은행의 한국 소비자금융 철수가 본격화하기 위해선 3000명의 직원들의 반발과 금융당국과의 조율 등 넘어야할 과제가 적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씨티은행은 국내 은행 중 유일하게 근속연수에 따라 퇴직금 배수가 높아지는 누진제가 남아있는 은행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은행업은 라이선스 산업이라 씨티그룹이 ‘한국 철수’를 선언해도 금융당국이 허용할지부터가 관건”이라며 “4~5년전에만 매물로 나왔더라도 들여다볼 곳이 적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대훈 기자 daepun@hankyung.com
OK금융그룹 관계자는 “한국씨티은행이 매물로 나온다면 일상적인 경영활동 활동 차원에서 검토하지 않을 이유는 없다”고 24일 말했다. DGB금융도 검토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다. 현재 한국 은행업의 주가순자산비율(PBR)은 0.3~0.4배 가량이다. 한국씨티은행의 지난해 3분기 기준 순자산인 6조2953억원을 감안하면 가격이 최대 2조5000억원에 달한다는 얘기다. 염두해야할 건 씨티은행이 소비자금융 부문만을 구조조정 검토대상에 올렸다는 점이다. 소매금융을 철수한다해도 한국에서 영업하는 다른 글로벌 은행들처럼 기업금융 부문만은 계속 남겨둘 가능성이 높다는 게 금융권의 시각이다. 소비자금융은 씨티은행이 39개 점포를 통해 벌이는 자산관리(WM)와 신용카드 사업을 말한다. 한 사모펀드 운용사(PEF) 관계자는 “어떻게 사업부문을 쪼갤 것인지, 라이선스의 가치를 얼마로 책정할 것인지가 관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4대 금융지주 계열 은행들이 한국씨티은행을 인수해 덩치를 키울 유인은 거의 없다. 한 대형금융지주 관계자는 “비대면 금융이 발달하면서 대형은행들도 기존 소매금융 사업을 어떻게 조정할 것인지 고민이 깊다”고 했다.
반면 덩치를 불릴 방법을 고심하는 지방금융지주는 한국씨티은행을 눈여겨볼 가능성이 있다. ‘2뱅크 체계’ 때문에 골머리를 앓는 BNK와 JB금융보단 DGB가 관심이 클 것이라는 게 금융권의 시각이다. 다만, DGB는 현재 지점 기반의 은행업 자체가 내리막에 접어들었다는 점을 잘 알고 있다는 점이 변수다. OK금융이 후보로 거론되는 이유는 2016년 씨티캐피탈을 인수해 그룹 주력사인 OK캐피탈로 키운 전력이 있기 때문이다. 만약 한국씨티은행을 인수하면 OK금융은 대부업에서 출발해 명실상부 제도권 금융의 정점인 은행업 진출에 성공하는 것이 된다. 하지만 까다로운 대주주 요건 등 넘어야 할 산이 적지 않을 전망이다. OK금융 내부에선 은행보다단 현재 보유한 캐피털, 저축은행 등과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증권사, 카드사를 인수하는 게 먼저라는 의견도 많다.
씨티은행의 한국 소비자금융 철수가 본격화하기 위해선 3000명의 직원들의 반발과 금융당국과의 조율 등 넘어야할 과제가 적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씨티은행은 국내 은행 중 유일하게 근속연수에 따라 퇴직금 배수가 높아지는 누진제가 남아있는 은행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은행업은 라이선스 산업이라 씨티그룹이 ‘한국 철수’를 선언해도 금융당국이 허용할지부터가 관건”이라며 “4~5년전에만 매물로 나왔더라도 들여다볼 곳이 적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대훈 기자 daep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