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올해 성장률 3% 유지…수출 호조에도 소비 부진
입력
수정
기존 전망보다 상품수출 1.8%p↑ 민간소비 1.1%p↓
경기회복·유가상승 등에 올해 물가상승률 1.3% 전망…0.3%p↑
한국은행은 25일 우리나라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작년보다 3%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지난해 11월 26일 발표된 기존 전망과 같고, 내년 성장률 역시 2.5%로 유지됐다.
당초 경제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한은이 최근 수출 호조를 반영해 성장률을 0.1%포인트 안팎 소폭 상향 조정할 것이라는 관측이 많았는데, 실제로 한은도 수정 경제전망 보고서에서 올해 상품수출 증가율 전망치를 7.1%로 제시했다.
기존 수출 성장률(5.3%)보다 1.8%p나 올려 잡은 것이다.아울러 상품 수입 증가율도 5.9%에서 6.4%로 0.5%p 상향조정됐지만, 경상수지 흑자 규모 전망치는 600억달러에서 640억달러로 늘었다.
설비투자 증가율(5.3%)도 기존(4.3%)와 비교해 1.0%p나 높아졌다.
하지만 결정적으로 민간소비 성장률이 2.0%로 기존(3.1%)보다 1.1%p나 떨어졌다.결국 한은은 수출·투자 호조 효과를 작년 11월 이후 코로나19 3차 확산과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 탓에 크게 위축된 소비가 상쇄한다고 보고, 경제 성장률 전망을 바꾸지 않은 것으로 해석된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이날 금통위 직후 기자간담회에서 "올해 주요국 백신보급과 적극적 재정부양책 등으로 글로벌 교역조건은 우호적일 것"이라며 "하지만 코로나19 장기화로 대면서비스 소비가 크게 위축되고 그 부분에 종사하는 계층을 중심으로 소득 여건이 개선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이번 겨울 국내 코로나 확산세가 생각보다 심해 소비가 지난번 본 것(작년 11월 전망)보다 더 부진할 것으로 생각된다"고 말했다.한은의 고용 회복 전망도 어두워졌다.
지난해 11월 전망 당시 한은은 올해 취업자가 13만명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지만, 이번 전망에서는 증가 폭이 8만명으로 줄었다.
반대로 실업률 전망치는 3.8%에서 4.0%로 높아졌다.
김웅 한은 조사국장은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4.8%에서 5%로 상향조정하면서도 우리나라 성장률은 3.0%로 유지했다"며 "대외여건은 플러스(+)지만, 소비가 사회적 거리두기로 부진하고, 고용의 경우도 1월 취업자 수가 전년동월대비 거의 100만명 가량 줄어드는 등 소득 여건에 제약이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올해 취업자 수 8만명은 정부가 추진하는 공공부문 80만∼100만명 일자리 부분이 추가된 결과"라고 덧붙였다.
하지만 4차 재난지원금의 경우 아직 구체적 규모, 지원 대상, 재원 마련 방안 등이 확정되지 않아 이번 한은 경제 전망에는 반영되지 않았다.
이날 금통위가 실물경기의 인플레이션 압력이 크지 않다는 판단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했지만, 한은은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1.3%로 기존 전망치(1.0%)보다 0.3%p 올려 잡았다.
경기 회복과 최근 국제 유가·원자재·곡물 가격 상승 흐름, 전·월세 가격 강세 등을 반영한 것이다.
금통위는 이날 통화정책방향 의결문에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농축수산물가격 오름세 확대에도 공공서비스 가격 하락세 지속 등으로 0%대 중반 수준에 머물렀으며, 근원인플레이션율(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도 0%대 중반을 유지했다.
하지만 일반인 기대인플레이션율은 2% 내외 수준으로 높아졌다"며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국제유가 상승, 점진적 경기개선 등의 영향으로 지난해 11월 전망치(1.0%)를 상회하는 1%대 초중반, 근원인플레이션율은 1% 내외 수준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대신 한은이 예상하는 내년 소비자물가 상승률 수준은 기존 1.5%에서 1.4%로 오히려 낮아졌다.
김웅 조사국장은 "올해 물가상승률이 높아지는데 따른 '기저효과"라고 설명했다.
이번 전망에서 올해 평균 도입 유가는 국제 유가 전문기관의 전망을 바탕으로 배럴당 56달러로 가정됐다.
내년 GDP, 상품수출, 민간소비 성장률은 각 2.5%, 2.3%, 2.8%로 예상됐다.
기존 전망과 비교해 성장률과 수출에는 변함이 없지만, 민간소비는 0.3%p 높아졌다.
늦춰진 소비 수요가 내년부터 서서히 살아난다고 봤다는 뜻이다.
한은이 이날 내놓은 경제 전망은 코로나19 확산세가 올해 중후반 이후 점차 진정된다는 '기본' 가정에 따른 것이다.
하지만 세계 코로나19 진정 시점 내년 초중반께로 늦춰지는 '비관' 시나리오에서는 올해와 내년 성장률이 각 2.4%, 1.9%까지 떨어질 것으로 예상됐다.반대로 코로나19 확산이 올해 초중반 이후 빠르게 수습되는 '낙관' 시나리오에서 올해 성장률은 3.8%, 내년 성장률은 3.1%로 높아진다는 게 한은의 분석이다.
/연합뉴스
경기회복·유가상승 등에 올해 물가상승률 1.3% 전망…0.3%p↑
한국은행은 25일 우리나라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작년보다 3%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지난해 11월 26일 발표된 기존 전망과 같고, 내년 성장률 역시 2.5%로 유지됐다.
당초 경제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한은이 최근 수출 호조를 반영해 성장률을 0.1%포인트 안팎 소폭 상향 조정할 것이라는 관측이 많았는데, 실제로 한은도 수정 경제전망 보고서에서 올해 상품수출 증가율 전망치를 7.1%로 제시했다.
기존 수출 성장률(5.3%)보다 1.8%p나 올려 잡은 것이다.아울러 상품 수입 증가율도 5.9%에서 6.4%로 0.5%p 상향조정됐지만, 경상수지 흑자 규모 전망치는 600억달러에서 640억달러로 늘었다.
설비투자 증가율(5.3%)도 기존(4.3%)와 비교해 1.0%p나 높아졌다.
하지만 결정적으로 민간소비 성장률이 2.0%로 기존(3.1%)보다 1.1%p나 떨어졌다.결국 한은은 수출·투자 호조 효과를 작년 11월 이후 코로나19 3차 확산과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 탓에 크게 위축된 소비가 상쇄한다고 보고, 경제 성장률 전망을 바꾸지 않은 것으로 해석된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이날 금통위 직후 기자간담회에서 "올해 주요국 백신보급과 적극적 재정부양책 등으로 글로벌 교역조건은 우호적일 것"이라며 "하지만 코로나19 장기화로 대면서비스 소비가 크게 위축되고 그 부분에 종사하는 계층을 중심으로 소득 여건이 개선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이번 겨울 국내 코로나 확산세가 생각보다 심해 소비가 지난번 본 것(작년 11월 전망)보다 더 부진할 것으로 생각된다"고 말했다.한은의 고용 회복 전망도 어두워졌다.
지난해 11월 전망 당시 한은은 올해 취업자가 13만명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지만, 이번 전망에서는 증가 폭이 8만명으로 줄었다.
반대로 실업률 전망치는 3.8%에서 4.0%로 높아졌다.
김웅 한은 조사국장은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4.8%에서 5%로 상향조정하면서도 우리나라 성장률은 3.0%로 유지했다"며 "대외여건은 플러스(+)지만, 소비가 사회적 거리두기로 부진하고, 고용의 경우도 1월 취업자 수가 전년동월대비 거의 100만명 가량 줄어드는 등 소득 여건에 제약이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올해 취업자 수 8만명은 정부가 추진하는 공공부문 80만∼100만명 일자리 부분이 추가된 결과"라고 덧붙였다.
하지만 4차 재난지원금의 경우 아직 구체적 규모, 지원 대상, 재원 마련 방안 등이 확정되지 않아 이번 한은 경제 전망에는 반영되지 않았다.
이날 금통위가 실물경기의 인플레이션 압력이 크지 않다는 판단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했지만, 한은은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1.3%로 기존 전망치(1.0%)보다 0.3%p 올려 잡았다.
경기 회복과 최근 국제 유가·원자재·곡물 가격 상승 흐름, 전·월세 가격 강세 등을 반영한 것이다.
금통위는 이날 통화정책방향 의결문에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농축수산물가격 오름세 확대에도 공공서비스 가격 하락세 지속 등으로 0%대 중반 수준에 머물렀으며, 근원인플레이션율(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도 0%대 중반을 유지했다.
하지만 일반인 기대인플레이션율은 2% 내외 수준으로 높아졌다"며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국제유가 상승, 점진적 경기개선 등의 영향으로 지난해 11월 전망치(1.0%)를 상회하는 1%대 초중반, 근원인플레이션율은 1% 내외 수준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대신 한은이 예상하는 내년 소비자물가 상승률 수준은 기존 1.5%에서 1.4%로 오히려 낮아졌다.
김웅 조사국장은 "올해 물가상승률이 높아지는데 따른 '기저효과"라고 설명했다.
이번 전망에서 올해 평균 도입 유가는 국제 유가 전문기관의 전망을 바탕으로 배럴당 56달러로 가정됐다.
내년 GDP, 상품수출, 민간소비 성장률은 각 2.5%, 2.3%, 2.8%로 예상됐다.
기존 전망과 비교해 성장률과 수출에는 변함이 없지만, 민간소비는 0.3%p 높아졌다.
늦춰진 소비 수요가 내년부터 서서히 살아난다고 봤다는 뜻이다.
한은이 이날 내놓은 경제 전망은 코로나19 확산세가 올해 중후반 이후 점차 진정된다는 '기본' 가정에 따른 것이다.
하지만 세계 코로나19 진정 시점 내년 초중반께로 늦춰지는 '비관' 시나리오에서는 올해와 내년 성장률이 각 2.4%, 1.9%까지 떨어질 것으로 예상됐다.반대로 코로나19 확산이 올해 초중반 이후 빠르게 수습되는 '낙관' 시나리오에서 올해 성장률은 3.8%, 내년 성장률은 3.1%로 높아진다는 게 한은의 분석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