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마을] 성악설은 인간의 상상일 뿐…위기의 순간, 툭 튀어나오는 '善'

휴먼카인드

뤼트허르 브레흐만 지음
조현욱 옮김 / 인플루엔셜
588쪽│2만2000원
GettyImagesBank
“인간은 선하다.”

네덜란드의 저널리스트 뤼트허르 브레흐만은 신간 《휴먼카인드》에서 이렇게 정의한다. 《리바이어던》 에서 ‘만인에 대한 만인의 투쟁’을 주창한 토머스 홉스, 인간의 이타성을 부정한 리처드 도킨스의 《이기적 유전자》, 자기 이익의 극대화만을 추구하는 ‘호모 이코노미쿠스’ 등 인간에 대한 냉소적 견해는 틀렸다고 주장한다.저자는 “인간은 위기의 순간에 군중심리와 공황에 빠지는 것이 아니라 선한 본성에 압도당한다는 사실을 역사가 증명한다”고 했다. 인간의 내면이 악하다는 결론을 내렸던 각종 심리학 연구의 오류와 모순을 그 증거로 내세운다. ‘스탠퍼드 교도소 실험’이 대표적 사례다. 1971년 사회심리학자 필립 짐바르도는 학생 18명에게 교도관과 죄수 역할을 맡겼다. 실험 참여자들은 교도소란 부정적 환경에 놓이면서 가혹행위를 저지르는 비인간적 모습을 보였다고 한다. 이를 근거로 짐바르도는 “일반인도 괴물이 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실험 내용과 결과를 바탕으로 한 영화도 제작돼 대중에게도 잘 알려져 있다.

하지만 저자는 50년이 지난 후 후속 연구와 스탠퍼드대 기록보관소 자료들을 분석한 결과 짐바르도가 자신이 원하는 실험 결과를 끌어내기 위해 교도관 역할을 한 참여자들에게 일부러 가혹행위를 요구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밝혔다. 영국 BBC방송이 2001년 리얼리티 쇼를 통해 이 실험을 재현했는데 아무 일도 벌어지지 않았고, 심지어 교도관과 죄수 역할을 한 사람들끼리 친구가 됐다.인간 내면의 야만과 폭력성을 고발한 윌리엄 골딩의 소설 《파리대왕》 역시 허구에 가깝다고 지적한다. 저자는 몇 달 동안의 문헌 조사와 인터뷰를 통해 1965년 폴리네시아 통가의 무인도 아타섬에 15개월간 고립됐던 소년 여섯 명의 실화를 찾아냈다. “벌이 꿀을 만들듯 인간은 악을 낳는다”는 소설 속 구절과 달리 현실 속 소년들은 건강한 모습으로 생활에 필요한 것을 모두 갖추고 평화롭고 이상적인 사회를 이루고 있었다.

이 책에선 ‘호모 퍼피(Homo Puppy)’라는 개념을 소개한다. 현 인류가 타인과 협력하고 공감하도록 진화해온 유일한 종으로서 모방을 통해 사회적 학습을 한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호모 사피엔스가 네안데르탈인을 제치고 유일한 인류로 생존할 수 있었다고 설명한다. 하지만 현대사회의 핵심 제도인 학교, 기업, 교도소 등은 성악설을 전제로 설계됐다. 사람들은 자연히 부정적 사회화 과정을 거치며 인간에게 내재된 선한 본성을 끊임없이 의심한다. 저자는 “이런 불신이 곧 냉소주의와 양극화, 배제와 이기심, 불평등과 관료주의를 낳는 근본적 원인”이라고 지적한다.

저자는 “우리가 천사는 아니지만 선한 본성에 대한 믿음이 사회를 재조직하는 근본 원리가 될 수 있다”고 강조한다. 또 “선행을 부끄러워하지 말고 널리 퍼뜨려야 한다”며 “‘선행의 전염성’은 인류를 새롭게 태어나게 할 것”이라고 강조한다.

이미아 기자 mi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