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3·1절…정치권 '反日장사' 벗어나 진정한 克日 해야
입력
수정
지면A23
102주년 3·1절이다. 해마다 이날이면 대한민국은 정치와 경제, 문화와 사회의 다양한 영역에서 성숙한 독립국으로 발전하고 있는지 성찰하게 된다. 그러면서 최근 몇 년간은 미래로 성큼 나아가지 못하는 한·일(韓日) 관계를 진지하게 돌아보게 된다.
많은 국민이 발전적·미래지향적 한·일 관계의 필요성을 말한다. “과거보다는 미래가 중요하다”고 하면서도 상생과 미래로의 방향 전환은 선뜻 못 하고 있다. 일본이라는 상대가 있는 문제이기도 하지만, 한·일 관계에서는 유난히 감성적·감정적 측면이 크게 작용하기 때문이다. 이성적·논리적 인식과 합리적 해법이 뒤로 밀리는 안타까운 교착 상황이 그렇게 장기화되고 있다. 그 책임이 어디에 더 있는가를 따지는 것 또한 그렇다. ‘미래 상호 발전’ 차원에서는 한 시대 전 일을 두고 겉도는 주장과 언어를 나열하는 것만큼이나 문제해결에 도움이 되지 못한다. 양국이 노력할 일은 굴곡의 제국주의시대 역사를 일단락하고, 현재 공유할 수 있는 국가적 가치를 재확인하며 미래를 위해 협력하는 것이다.과거사로 일본을 탓하기에 앞서 대한민국 스스로 반성할 점은 과연 없는가. 툭하면 반일(反日)정서를 자극해온 정치권에 먼저 묻지 않을 수 없다. 일본의 ‘수출규제’에 “죽창 들고 맞서자”고 선동적 구호를 외친 것도 정치권이었다. ‘위안부 판결’이 정부 간 합의를 흔들어버리면서 나온 일본 반응에 대응할 우리의 ‘외교 카드’를 가로막은 거칠고 다분히 감정적인 또 하나의 포퓰리즘이었던 것이다. 오죽하면 표를 계산한 ‘반일 장사’라는 비판이 나왔으며, 반일종족주의라는 자성적 진단이 나왔는지 여권이 특히 더 주목할 필요가 있다.
최근 우리 정부의 대일 유화 제스처가 확연히 보인다. 반면에 일본의 움직임은 상대적으로 느리고 신중한 것 같다. 오늘 3·1절 기념사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좀 더 적극적이고 전향적 대일 메시지를 내놓기를 바라는 것도 그래서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 3·1절에도 ‘미래로 나아가자’고 했다. 올 들어서도 “한·일 관계 개선을 동북아 평화진전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한 바 있다.
양국 간 미래 아젠다를 선점하는 차원에서 한국이 상호발전 관계를 주도하기 바란다. 한·미·일 3국 협력체제 복원에 큰 관심을 보이는 바이든 미국 정부에 떠밀리는 대일 관계개선은 바람직하지도 않고, 지속되기도 쉽지 않을 것이다. 정치적 목적의 반일 장사는 고귀한 3·1정신의 모욕이다. 감정적 반일에서 벗어나야 진정한 극일(克日)도 가능하다.
많은 국민이 발전적·미래지향적 한·일 관계의 필요성을 말한다. “과거보다는 미래가 중요하다”고 하면서도 상생과 미래로의 방향 전환은 선뜻 못 하고 있다. 일본이라는 상대가 있는 문제이기도 하지만, 한·일 관계에서는 유난히 감성적·감정적 측면이 크게 작용하기 때문이다. 이성적·논리적 인식과 합리적 해법이 뒤로 밀리는 안타까운 교착 상황이 그렇게 장기화되고 있다. 그 책임이 어디에 더 있는가를 따지는 것 또한 그렇다. ‘미래 상호 발전’ 차원에서는 한 시대 전 일을 두고 겉도는 주장과 언어를 나열하는 것만큼이나 문제해결에 도움이 되지 못한다. 양국이 노력할 일은 굴곡의 제국주의시대 역사를 일단락하고, 현재 공유할 수 있는 국가적 가치를 재확인하며 미래를 위해 협력하는 것이다.과거사로 일본을 탓하기에 앞서 대한민국 스스로 반성할 점은 과연 없는가. 툭하면 반일(反日)정서를 자극해온 정치권에 먼저 묻지 않을 수 없다. 일본의 ‘수출규제’에 “죽창 들고 맞서자”고 선동적 구호를 외친 것도 정치권이었다. ‘위안부 판결’이 정부 간 합의를 흔들어버리면서 나온 일본 반응에 대응할 우리의 ‘외교 카드’를 가로막은 거칠고 다분히 감정적인 또 하나의 포퓰리즘이었던 것이다. 오죽하면 표를 계산한 ‘반일 장사’라는 비판이 나왔으며, 반일종족주의라는 자성적 진단이 나왔는지 여권이 특히 더 주목할 필요가 있다.
최근 우리 정부의 대일 유화 제스처가 확연히 보인다. 반면에 일본의 움직임은 상대적으로 느리고 신중한 것 같다. 오늘 3·1절 기념사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좀 더 적극적이고 전향적 대일 메시지를 내놓기를 바라는 것도 그래서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 3·1절에도 ‘미래로 나아가자’고 했다. 올 들어서도 “한·일 관계 개선을 동북아 평화진전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한 바 있다.
양국 간 미래 아젠다를 선점하는 차원에서 한국이 상호발전 관계를 주도하기 바란다. 한·미·일 3국 협력체제 복원에 큰 관심을 보이는 바이든 미국 정부에 떠밀리는 대일 관계개선은 바람직하지도 않고, 지속되기도 쉽지 않을 것이다. 정치적 목적의 반일 장사는 고귀한 3·1정신의 모욕이다. 감정적 반일에서 벗어나야 진정한 극일(克日)도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