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그룹 컨트롤타워 해체 4년…옥중 총수에 여전히 비상 상황
입력
수정
미전실 없애고 계열사 자율경영 전환…일부 성과 속 사법리스크 계속
국정농단 사건으로 이재용 재수감…뉴삼성 본궤도 못올라
국정농단 사건으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첫 구속된 것을 계기로 삼성이 '그룹 해체'를 선언한지 28일로 4년을 맞았다.삼성은 계열사들을 총괄하는 컨트롤타워였던 미래전략실을 폐지하고 계열사 자율 경영 체제로 전환하며 근본적인 체질 개선을 꾀해왔다.
그동안 계열사 자율 경영이 강화하고 노조를 인정하는 등의 성과가 있었지만 총수 사법 리스크가 줄어들기는 커녕 이 부회장 재수감으로 오히려 가중했다는 지적이 나온다.삼성은 2017년 2월28일 미래전략실 폐지, 계열사 자율경영 체제 전환 등을 골자로 하는 경영 쇄신안을 발표했다.과거 구조조정본부, 전략기획실 등을 거친 총수 직속 조직인 미전실은 그룹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하는 핵심 조직이었다.
국정농단 사태 당시 미전실이 정경유착 연결고리가 아니냐는 큰 비판을 직면했다.
이재용 부회장은 2016년 12월 국회 청문회에 출석해 "국민에게 부정적인 인식이 있다면 미전실을 없애겠다"고 약속했고, 이 부회장이 첫 구속된 직후 삼성이 미전실 폐지를 포함한 경영 쇄신안을 발표한 것이다.이에 따라 이름을 바꿔가며 58년 간 명맥을 이어온 미전실을 비롯해 사장단 회의, 그룹 공채, 그룹 단위 행사 등이 모두 사라졌다.
미전실 최지성 실장(부회장), 장충기 차장(사장)을 비롯해 김종중 전략팀장, 정현호 인사팀장, 성열우 법무팀장, 임영빈 금융일류화팀장, 박학규 진단팀장, 이수형 기획팀장, 이준 커뮤니케이션팀장 등이 해체 당시 모두 사임했다.
이중 정현호 팀장과 박학규 팀장은 이후 복귀해 현재 각각 삼성전자 사업조정 태스크포스(TF) 팀장·사장, 삼성전자 경영지원실장·사장을 맡고 있다.삼성은 삼성전자 등 전자 계열사, 삼성물산 등 비(非)전자 제조 계열사, 삼성생명 등 금융 계열사 3개 소그룹 체제를 기본으로 각 계열사들이 자율 경영을 강화해왔다.그 사이 이재용 부회장은 2017년 2월 첫 구속 됐다가 2018년 1월 항소심에서 집행유예로 풀려난 뒤, 그해 5월 공식적으로 삼성 총수가 됐다.
이건희 전 회장은 지난해 10월 투병 끝에 별세했다.
재계에서는 삼성의 계열사 경영이 비교적 잘 자리잡아 컨트롤타워가 사라지고 총수 사법 리스크가 이어지는 가운데서도 사업적으로는 잘 버티고 있다는 평가가 대체적이다.
대표적으로 삼성전자가 지난해 미중 무역갈등과 코로나19 등 불확실성 속에서도 반도체 슈퍼 호황기에 버금가는 호실적을 달성했다.
또한 100조원 단위의 대규모 투자 계획을 발표한 뒤 집행 중이며, 반도체·로봇 등 미래 신사업 등 분야를 중심으로 고용 창출도 이어가고 있다.
그러나 그룹 해체를 선언하며 약속했던 변화 면에서는 근본적으로 크게 달라진 게 없다는 지적이 재계에서 나온다.
이재용 부회장과 삼성은 지난해 5월 대국민 사과 회견을 기점으로 '뉴삼성'으로의 변화에 본격적으로 속도를 내고자 했지만 국정농단 사건으로 결국 다시 수감됐고, 관련한 경영권 승계 의혹 사건은 진행 중이다.
물론 노조 활동 허용, 준법 경영 강화 등 성과가 있었다.
하지만 지배구조 개선이나 새로운 대형 투자 등 핵심 과제는 총수가 정상적으로 경영에 임하지 못하는 비상 상황에서는 사실상 어렵다는 게 삼성 측 설명이다.삼성은 이 부회장 재수감 이후 준법 경영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특검 등으로부터 사실상 과거 해체했다던 미전실의 부활이 아니냐는 지적을 산 삼성전자 사업지원 TF를 개선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파기환송심 재판부도 삼성 준법감시위에 사업지원 TF에 대한 감시 방안이 미흡하다고 지적해, 준법감시위가 현재 대응 방안을 마련 중이다.
이 부회장이 추후 석방될 시기에 즈음해서 추가 쇄신안이 나올 가능성도 있다.
다만 핵심인 지배구조 개편은 그와 맞물린 경영권 승계 관련 재판이 진행 중이라 상당한 시일이 걸릴 전망이다.재계 관계자는 "삼성이 이전처럼 단기 처방식 쇄신안이 아닌 더욱 근본적이고 중장기적인 신뢰 회복 방안과 준법 시스템을 확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국정농단 사건으로 이재용 재수감…뉴삼성 본궤도 못올라
국정농단 사건으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첫 구속된 것을 계기로 삼성이 '그룹 해체'를 선언한지 28일로 4년을 맞았다.삼성은 계열사들을 총괄하는 컨트롤타워였던 미래전략실을 폐지하고 계열사 자율 경영 체제로 전환하며 근본적인 체질 개선을 꾀해왔다.
그동안 계열사 자율 경영이 강화하고 노조를 인정하는 등의 성과가 있었지만 총수 사법 리스크가 줄어들기는 커녕 이 부회장 재수감으로 오히려 가중했다는 지적이 나온다.삼성은 2017년 2월28일 미래전략실 폐지, 계열사 자율경영 체제 전환 등을 골자로 하는 경영 쇄신안을 발표했다.과거 구조조정본부, 전략기획실 등을 거친 총수 직속 조직인 미전실은 그룹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하는 핵심 조직이었다.
국정농단 사태 당시 미전실이 정경유착 연결고리가 아니냐는 큰 비판을 직면했다.
이재용 부회장은 2016년 12월 국회 청문회에 출석해 "국민에게 부정적인 인식이 있다면 미전실을 없애겠다"고 약속했고, 이 부회장이 첫 구속된 직후 삼성이 미전실 폐지를 포함한 경영 쇄신안을 발표한 것이다.이에 따라 이름을 바꿔가며 58년 간 명맥을 이어온 미전실을 비롯해 사장단 회의, 그룹 공채, 그룹 단위 행사 등이 모두 사라졌다.
미전실 최지성 실장(부회장), 장충기 차장(사장)을 비롯해 김종중 전략팀장, 정현호 인사팀장, 성열우 법무팀장, 임영빈 금융일류화팀장, 박학규 진단팀장, 이수형 기획팀장, 이준 커뮤니케이션팀장 등이 해체 당시 모두 사임했다.
이중 정현호 팀장과 박학규 팀장은 이후 복귀해 현재 각각 삼성전자 사업조정 태스크포스(TF) 팀장·사장, 삼성전자 경영지원실장·사장을 맡고 있다.삼성은 삼성전자 등 전자 계열사, 삼성물산 등 비(非)전자 제조 계열사, 삼성생명 등 금융 계열사 3개 소그룹 체제를 기본으로 각 계열사들이 자율 경영을 강화해왔다.그 사이 이재용 부회장은 2017년 2월 첫 구속 됐다가 2018년 1월 항소심에서 집행유예로 풀려난 뒤, 그해 5월 공식적으로 삼성 총수가 됐다.
이건희 전 회장은 지난해 10월 투병 끝에 별세했다.
재계에서는 삼성의 계열사 경영이 비교적 잘 자리잡아 컨트롤타워가 사라지고 총수 사법 리스크가 이어지는 가운데서도 사업적으로는 잘 버티고 있다는 평가가 대체적이다.
대표적으로 삼성전자가 지난해 미중 무역갈등과 코로나19 등 불확실성 속에서도 반도체 슈퍼 호황기에 버금가는 호실적을 달성했다.
또한 100조원 단위의 대규모 투자 계획을 발표한 뒤 집행 중이며, 반도체·로봇 등 미래 신사업 등 분야를 중심으로 고용 창출도 이어가고 있다.
그러나 그룹 해체를 선언하며 약속했던 변화 면에서는 근본적으로 크게 달라진 게 없다는 지적이 재계에서 나온다.
이재용 부회장과 삼성은 지난해 5월 대국민 사과 회견을 기점으로 '뉴삼성'으로의 변화에 본격적으로 속도를 내고자 했지만 국정농단 사건으로 결국 다시 수감됐고, 관련한 경영권 승계 의혹 사건은 진행 중이다.
물론 노조 활동 허용, 준법 경영 강화 등 성과가 있었다.
하지만 지배구조 개선이나 새로운 대형 투자 등 핵심 과제는 총수가 정상적으로 경영에 임하지 못하는 비상 상황에서는 사실상 어렵다는 게 삼성 측 설명이다.삼성은 이 부회장 재수감 이후 준법 경영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특검 등으로부터 사실상 과거 해체했다던 미전실의 부활이 아니냐는 지적을 산 삼성전자 사업지원 TF를 개선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파기환송심 재판부도 삼성 준법감시위에 사업지원 TF에 대한 감시 방안이 미흡하다고 지적해, 준법감시위가 현재 대응 방안을 마련 중이다.
이 부회장이 추후 석방될 시기에 즈음해서 추가 쇄신안이 나올 가능성도 있다.
다만 핵심인 지배구조 개편은 그와 맞물린 경영권 승계 관련 재판이 진행 중이라 상당한 시일이 걸릴 전망이다.재계 관계자는 "삼성이 이전처럼 단기 처방식 쇄신안이 아닌 더욱 근본적이고 중장기적인 신뢰 회복 방안과 준법 시스템을 확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