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수첩] 아웅산수지 리더십에 대한 아쉬움

미얀마 군부와 사실상 공생 관계
親中 노선으로 국제사회 방관 자초

박상용 국제부 기자 yourpencil~@hankyung.com
미얀마 국민들이 군부 쿠데타에 반발해 거리로 나선 지 2일로 27일째다. 그동안 시민 30여 명이 목숨을 잃었고 1132명이 체포됐다. 특히 지난달 28일엔 18명이 숨져 ‘피의 일요일’로 기록됐다.

SNS에도 관련 사진이 쏟아졌다. 트위터에 ‘#whatshappeninginmyanmar(미얀마에서 벌어지는 일)’이라는 해시태그로 검색하면 미얀마의 실상을 생생하게 확인할 수 있다. 무장 군인들에게 둘러싸여 린치를 당하는 시위대 모습도 많고, 총을 맞고 쓰러진 여성을 황급히 옮기는 장면도 있다. 최루탄을 맞아 눈코가 빨개진 아이가 목이 터져라 울고 있는 사진도 보인다.이들의 옷은 모두 피범벅이다. 이들은 “얼마나 많은 사람이 목숨을 잃어야 유엔이 행동에 나설 것인가”라며 국제사회에 도움을 호소하고 있다. 하지만 미국 등 주요 국가들은 미얀마 문제에 개입하는 것을 주저하고 있다. 미얀마 군부 고위 인사에 대한 자금 동결 등 제한적인 조치만 취하고 있을 뿐이다. 유럽연합(EU)은 제재를 검토하고 있다는 말만 반복하고 있다.

역설적이지만 구금 중인 아웅산수지 미얀마 국가고문이 국제사회의 방관을 자초한 측면이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수지 고문은 2016년 문민정부 1기 출범 때 국가고문에 취임한 이후 줄곧 친중 노선을 걸었다. 처음 방문한 국가도 중국이었다. 미얀마 군부와 친밀한 관계를 유지해온 중국이 수지 고문과도 손을 잡게 된 것이다.

자연스레 미얀마에 대한 중국의 영향력은 커졌다. 중국은 현재 미얀마 제1의 무역 상대국이다. 미얀마 전체 무역의 3분의 1을 중국이 차지한다. 대미 무역 규모의 10배에 달한다. 중국은 미얀마 제2투자국이기도 하다. 미얀마와 경제 교류가 많지 않은 미국으로선 제재 수단이 많지 않다. 게다가 과도한 압박을 가하면 미얀마 군부가 오히려 친중 노선을 강화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수지 고문이 택한 ‘반쪽짜리 민주화’가 쿠데타를 자초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그는 상·하원 의석의 25%를 군부에 할당하는 등 군과 권력을 분점해왔다. 사실상 군에 끌려다녔다는 비판이 많다. 이런 가운데 작년 11월 총선에서 수지 고문이 이끄는 여당이 다시 승리하자 권력에서 멀어질 것을 우려한 군이 쿠데타를 감행했다는 해석이 설득력을 얻는다.

수지 고문은 30일째 구금돼 있다. 선동과 수출입법 위반, 코로나19 예방 수칙 위반, 전기통신법 위반 등의 혐의를 받고 있다. 이런 혐의만으로도 최장 징역 9년을 선고받을 수 있다. 수지 고문이 군부에 휘둘리지 않고, 중국으로도 기울지 않았더라면 그의 신변이나 미얀마 상황은 어떻게 됐을까. 역사에 가정법은 없다지만 아쉬움이 남는 건 기자만의 느낌은 아닐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