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 박사가 SM·빅히트 찾아간 까닭은
입력
수정
서비스경제연구시리즈 첫 번째로제조업 이후 한국 경제의 먹거리는 무엇일까. 이 같은 질문이 반복될 때마다 주로 언급되는 대안은 '서비스산업'이다. 그렇다면 서비스산업 중 어떤 산업에 주목해야 할까. 어떤 지원이 필요할까. KDI가 한국 경제의 오랜 의문에 답하기 위해 '서비스경제연구시리즈'를 시작했다. 첫 번째로 주목한 건 'K팝 공연'이다.
'K팝 공연산업'에 주목
"콘서트 시장은 대중 음악산업의 견인차"
4일 KDI에 따르면 KDI는 최근 '서비스경제연구시리즈' 1호로 'K팝 공연산업의 발전방안 연구'를 발간했다. 연관 산업으로 파급효과가 크고 제조업을 보완하는 대표적인 서비스산업이라고 봤기 때문이다. 연구총괄을 맡은 구자현 연구위원 등 KDI 연구진은 SM이나 빅히트 같은 대형 연예기획사 관계자들을 직접 면담하기도 했다.K팝이 아니라 K팝 '공연'에 초점을 맞췄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상황에서 정보통신기술(ICT) 등 기존에 한국이 강점을 보인 산업과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는 데 주목했다. 보고서는 "기술의 발달로 인해 기존 음악산업을 이끌었던 음반 시장이 쇠퇴하고 디지털 음원이 주도하는 상황에서 향후 콘서트 시장은 대중 음악산업의 견인차로서 시장이 더욱 확대될 전망"이라고 내다봤다.글로벌 회계컨설팅기업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PwC)에 따르면 한국 음악시장 규모는 2015년 8억1600만 달러에 불과했지만 2024년에는 15억4700만 달러까지 커질 것으로 추산된다. 공연음악 매출액도 2019~2024년 연 평균 2.37%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글로벌 K팝 스타들의 선전으로 더 큰 성장도 기대되는 상황이다. 아이돌그룹 BTS는 2019년 무역전문지 폴스타가 집계한 그 해의 전 세계 아티스트 중 공연 수입 5위에 오른 바 있다.
비대면콘서트 성공사례 쏟아지지만…
'인류 역사는 코로나 이전과 이후로 나뉜다'는 말은 K팝 공연에도 예외가 아니다. 보고서는 K팝 공연을 코로나19 이전 오프라인 공연과 코로나19 이후 온라인 공연으로 나눠 분석했다. 비대면 온라인 공연의 성장 가능성에 주목하면서도 이에 접근하기 힘든 아티스트나 기획사들은 경쟁력이 더욱 약화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보고서는 "코로나19 이후 기존에 계획됐던 공연들이 모두 취소된 상황에서 위기 극복을 위해 대형 아이돌 기획사를 중심으로 온라인 콘서트가 진행됐다"고 했다. 지난해 6월 열린 BTS의 온라인 콘서트 '방방콘 더 라이브'에는 107개 지역에서 최대 75만6000명의 유료 관객이 동시 접속했다. 5만명 이상을 수용할 수 있는 스타디움 공연 15회에 맞먹는 규모다. 이 콘서트는 세계 최대 온라인 유료 공연으로 기네스북에 올랐다.
다만 보고서는 "이러한 성공은 해외 팬덤이 두터운 인기 아이돌에 한정된 성공사례라는 한계를 지닌다"며 "온라인 공연의 수익 창출을 위한 두터운 팬덤이 부재하고 증강현실(AR)·확장현실(XR) 등 공연 첨단기술에 대한 접근성이 낮은 중소기획사 아이돌들과 온라인 콘서트에서 시각적 효과로 보여줄 것이 많지 않은 비아이돌 대중가수들 및 인디 아티스트들의 경우 오프라인 공연의 부재로 인한 대응책이 없어 많은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공연인력 역량 강화하고 노동조건 개선해야"
보고서는 K팝 공연의 가치사슬 구조를 기획, 제작, 유통, 소비로 나눠 분석했다. K팝 공연의 현주소를 세세하게 담은 기록물에 가깝다. 대표적인 K팝 공연장인 KSPO돔의 대관 절차를 전달하면서 "매년 상반기(1~6월)의 정기대관 공모는 전년도 8~9월경에, 하반기(7~11월) 정기대관 공모는 당해 연도 1~2월경에 이뤄지며 가장 대관 경쟁이 치열한 연말(12월)은 당해 연도 5월경에 진행된다. 체육행사를 우선적으로 배정한 후 나머지 일자 중에 정기대관이 이뤄지고 정기대관 공모 후 잔여 일정에 대해 수시대관 접수가 가능하다"고 서술하는 식이다.K팝 공연산업 발전을 위한 제언도 담겼다. 보고서는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특정 영역의 전문성을 가진 인력들이 분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공과 직무 관련성은 낮게 나타났다"며 "교육 방식도 대부분 정규교육과정이나 인턴·현장실습 등 입직 전 경험에 기반하고 있어 직무역량을 축적할 기회가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공연인력의 역량 강화와 노동조건의 개선은 K팝 공연산업의 발전을 위한 전제조건"이라며 "예비 및 현장 인력들의 직무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는 집중화된 교육훈련 체계, 다양한 역량을 가진 인력들이 공연산업에 원활하게 진입할 수 있는 인력 네트워크 구축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첨단 공연기술 개발 및 적용을 위해서도 인력 확보는 시급한 과제다. 보고서는 "무대에서 임팩트 있는 효과를 볼 수 있는 실감 무대장치 기술의 경우 선진국이 비교 우위에 있으나 기술 인력의 부족으로 국내 도입이 어려운 실정"이라며 "공공부문의 투자가 필요하다"고 했다.전체 예산의 0.35%(2019년 기준)에 불과한 문화예술 분야 국가 연구개발(R&D) 예산을 증대해야 한다는 게 보고서의 주장이다. 또 저작권, 암표 등 규제를 정비하고, 투자유치 활성화를 위한 공신력 있는 통계 기반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KDI는 약 1년 주기로 서비스경제연구시리즈를 발간할 예정이다. 각 서비스산업의 현황을 분석하고 지원방안을 모색한다.
구은서 기자 k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