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 CFO Insight]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ESG 경영
입력
수정
이동석 삼정KPMG 컨설팅부문 전무
![](https://img.hankyung.com/photo/202103/01.25608407.1.jpg)
이제 기후변화는 단지 영화 속 상상이 아니다. 상생과 공존을 무시한 이기심은 결국 전체 시스템을 붕괴시켜 우리 스스로를 파괴시킨다. 기업도 마찬가지다. 재무적 이익에만 골몰하는 기업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찾아온 새로운 현실에서 생존하기 어렵다. 선도적인 기업들은 이미 지속가능한 비즈니스를 위해 환경을 보호하고, 사회적 안전망을 강화하는 등 비재무적 가치를 중시하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에서 새로운 해답을 찾아가고 있다. ESG 경영을 준비하는 기업들은 먼저 자사의 경영체계를 ESG 기준에 맞춰 재정립하고 ESG에 대한 비전과 목표를 설계해야 한다. 이후 목표 달성을 위한 세부 전략과제를 세우기 위해 규제, 파이낸싱, M&A, 기술, 기업 보고(Corporate Reporting) 측면에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지속가능 발전과 ESG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면서 각국 정부는 ESG에 관해 권고를 넘어 관련 규제·정책을 적극적으로 제도화하고 있다.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에 따르면 2013년 28개에 불과했던 글로벌 ESG 관련 신규 규제·정책은 2019년 203개로 크게 늘었다. 한국 정부도 지배구조보고서 의무 공시 대상을 단계적으로 확대하는 등 ESG 관련 규제를 강화하는 추세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103/01.25608406.1.jpg)
글로벌 기업들의 경우 4차 산업혁명 관련 신기술에 ESG 요소를 접목해 기업이 직면한 비즈니스 혁신 및 사회·환경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려는 모습도 보이고 있다. 구글은 ‘모두를 위한 인공지능 개발(Advancing AI for Everyone)’이라는 슬로건 하에, AI를 통한 삶의 질 향상과 인류가 직면한 난제 해결을 추구하고 있다. 스타벅스는 블록체인으로 커피 원두의 생산 및 유통 이력을 조회하는 ‘빈투컵(Bean to Cup)’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마이크로소프트는 100% 친환경 에너지로 가동되는 해저 데이터센터 건설을 위해 ‘프로젝트 나틱(Project Natick)’을 추진하고 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ESG 경영은 리스크 관리를 넘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기업의 성장 동력이다. ESG 경영의 비전과 목표를 세우고, 핵심 아젠다를 선별해 대응 전략을 민첩하게 내재화하는 기업이 미래 경영 환경에서 생존과 번영의 해답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